토론·상담
[아나패스(123860)] 탐방노트
조회 : 323
1. 사업개요
▶ 주문형 반도체(ASIC)를 주력으로 개발하여 고객사에 공급하는 Fabless 업체
> 주요 제품으로 TV 패널향 T-Con(Timing Controller)을 생산하고 있으며, 주요 고객사로는 삼성디스플레이를 확보
> 주주현황: 최대주주 및 특별관계인 15.97%, 자사주 7.63%
> 임직원수: 18년 4월말 기준 총 123명 중 연구개발 77명
> 파운드리 사용 현황: TSMC, UMC 등 대만업체들의 12인치 생산라인을 주로 활용 중
▶ 주문형 반도체(ASIC)를 주력으로 개발하여 고객사에 공급하는 Fabless 업체
> 주요 제품으로 TV 패널향 T-Con(Timing Controller)을 생산하고 있으며, 주요 고객사로는 삼성디스플레이를 확보
> 주주현황: 최대주주 및 특별관계인 15.97%, 자사주 7.63%
> 임직원수: 18년 4월말 기준 총 123명 중 연구개발 77명
> 파운드리 사용 현황: TSMC, UMC 등 대만업체들의 12인치 생산라인을 주로 활용 중
2. 핵심 기술
▶ AiPi Interface(디스플레이 패널 인터페이스)
> 기존 패널업체들은 미국 Texas Instrument, Natio nal Semico nductor의 인터페이스를 사용. 다만, 미국 업체들의 인 터페이스 방식은 Driver IC로 신호를 보내는 데에 있어 방식이 복잡하다는 단점이 있었음
> 아나패스의 AiPi 방식은 기존 방식 대비 여러 장점을 보유: 1) 채널당 전송속도 향상, 2) PCB 간소화, 3) Driver IC 수량 감소, 4) 전력 소모 및 EMI 노이즈 개선 → 패널업체들 입장에선 AiPi 인터페이스를 통해 원가 절감 효과를 야기
> 이를 바탕으로, 2008년부터 삼성디스플레이의 공급처로 선정되며 본격적인 성장 시작
rf. 삼성디스플레이 신제품(TV 패널)에는 아나패스의 AiPi 인터페이스가 적용(삼성디스플레이 TV 패널 내 아나패스 TCon 점유율은 약 40-50% 수준, 그 외 삼성시스템 LSI 담당)
▶ AiPi Interface(디스플레이 패널 인터페이스)
> 기존 패널업체들은 미국 Texas Instrument, Natio nal Semico nductor의 인터페이스를 사용. 다만, 미국 업체들의 인 터페이스 방식은 Driver IC로 신호를 보내는 데에 있어 방식이 복잡하다는 단점이 있었음
> 아나패스의 AiPi 방식은 기존 방식 대비 여러 장점을 보유: 1) 채널당 전송속도 향상, 2) PCB 간소화, 3) Driver IC 수량 감소, 4) 전력 소모 및 EMI 노이즈 개선 → 패널업체들 입장에선 AiPi 인터페이스를 통해 원가 절감 효과를 야기
> 이를 바탕으로, 2008년부터 삼성디스플레이의 공급처로 선정되며 본격적인 성장 시작
rf. 삼성디스플레이 신제품(TV 패널)에는 아나패스의 AiPi 인터페이스가 적용(삼성디스플레이 TV 패널 내 아나패스 TCon 점유율은 약 40-50% 수준, 그 외 삼성시스템 LSI 담당)
3. 최근 현황
▶ 2Q18 실적은 매출액 132억원(+16%QoQ, -46%YoY), 영업적자 24억원으로 적자확대를 기록
> 전체 매출 중 TV향 T-Con 매출 비중은 약 85%(High-end 50%, Low-end 35%), 태블릿향 및 기타 15%
> 최근 실적 악화의 주요 원인은, 1) 삼성디스플레이의 TV 패널 공급량 감소, 2) 믹스 악화
> 다만, 1) 삼성디스플레이의 8K TV 패널 공급 가시화, 2) 모바일향 T-Con 공급 확대를 통한 외형 성장 및 믹스 개선 을 통해 실적은 2Q18를 저점으로 하반기부터는 점진적인 개선을 예상
▶ 2Q18 실적은 매출액 132억원(+16%QoQ, -46%YoY), 영업적자 24억원으로 적자확대를 기록
> 전체 매출 중 TV향 T-Con 매출 비중은 약 85%(High-end 50%, Low-end 35%), 태블릿향 및 기타 15%
> 최근 실적 악화의 주요 원인은, 1) 삼성디스플레이의 TV 패널 공급량 감소, 2) 믹스 악화
> 다만, 1) 삼성디스플레이의 8K TV 패널 공급 가시화, 2) 모바일향 T-Con 공급 확대를 통한 외형 성장 및 믹스 개선 을 통해 실적은 2Q18를 저점으로 하반기부터는 점진적인 개선을 예상
4. 하반기 기회 요인 점검
▶ 삼성디스플레이의 8K TV 패널 공급 가시화
> 삼성전자는 연초 개최되었던 CES 2018에서 85인치 대형 8K QLED TV를 출시. 삼성전자가 출시한 8K QLED TV는 인공지능(AI) 기술을 적용하여 저해상 영상을 8K 수준의 고화질로 변화해주는 TV로서 18년 하반기부터 국내와 미국 등 순차적으로 판매를 시작할 계획인 것으로 파악
> 삼성디스플레이의 8K TV 패널은 아나패스의 AiPi 인터페이스를 사용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추정. 8K TV 패널향 T-Con은 기존 4K TV 패널향 대비 약 2배 수준의 ASP 상승 효과를 야기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믹스 개선에 긍정적
> 참고로, 12년 4K UHD TV가 처음 출시되고 난 후 4K UHD TV의 시장 침투는 14년부터 본격적으로 확대. 이로 인해, 14년 아나패스의 실적 또한 창사 이래 최대 실적을 기록(매출액 1,340억원, 영업이익 232억원 기록)
▶ 삼성디스플레이의 8K TV 패널 공급 가시화
> 삼성전자는 연초 개최되었던 CES 2018에서 85인치 대형 8K QLED TV를 출시. 삼성전자가 출시한 8K QLED TV는 인공지능(AI) 기술을 적용하여 저해상 영상을 8K 수준의 고화질로 변화해주는 TV로서 18년 하반기부터 국내와 미국 등 순차적으로 판매를 시작할 계획인 것으로 파악
> 삼성디스플레이의 8K TV 패널은 아나패스의 AiPi 인터페이스를 사용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추정. 8K TV 패널향 T-Con은 기존 4K TV 패널향 대비 약 2배 수준의 ASP 상승 효과를 야기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믹스 개선에 긍정적
> 참고로, 12년 4K UHD TV가 처음 출시되고 난 후 4K UHD TV의 시장 침투는 14년부터 본격적으로 확대. 이로 인해, 14년 아나패스의 실적 또한 창사 이래 최대 실적을 기록(매출액 1,340억원, 영업이익 232억원 기록)
▶ 모바일 패널향 T-Con 공급 가시화
> 모바일 패널향 T-Con은 현재 삼성시스템 LSI가 독점적으로 공급 중
> 아나패스는 기존 AiPi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한 모바일향 인터페이스를 삼성디스플레이와 공동 개발을 진행. SID 2017에서 모바일 디스플레이용 메모리 인터페이스 및 구동 IC 관련 논문을 발표 후 경쟁력을 입증
> 아나패스와 삼성디스플레이가 소개한 신규 인터페이스의 장점은 1) 전송 속도 및 전력 소모 개선, 2) 공정 간소화(핀 수량 감소) 및 구동 IC의 크기 축소(기존 대비 20-30%) 등을 보유 → 패널업체들 입장에선 IC 가격 및 패널 모듈의 원가 개선 효과와 베젤리스(Bezel-less) 디자인 구현을 기대
> 삼성디스플레이는 18년 상반기 아나패스의 TED(T-Con Embedded Driver) IC를 처음 적용하여 모바일향 디스플레이 패널을 생산. 이는, 중국 세트업체인 메이쥬의 기념 모델인 메이쥬 15플러스 제품에 적용
> 이를 바탕으로 아나패스는 향후 모바일향 제품 공급 확대를 기대
rf. 삼성디스플레이의 연간 TV 패널 / 모바일 패널 공급량은 각각 약 4천만대 / 3.8억대
> 모바일 패널향 T-Con은 현재 삼성시스템 LSI가 독점적으로 공급 중
> 아나패스는 기존 AiPi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한 모바일향 인터페이스를 삼성디스플레이와 공동 개발을 진행. SID 2017에서 모바일 디스플레이용 메모리 인터페이스 및 구동 IC 관련 논문을 발표 후 경쟁력을 입증
> 아나패스와 삼성디스플레이가 소개한 신규 인터페이스의 장점은 1) 전송 속도 및 전력 소모 개선, 2) 공정 간소화(핀 수량 감소) 및 구동 IC의 크기 축소(기존 대비 20-30%) 등을 보유 → 패널업체들 입장에선 IC 가격 및 패널 모듈의 원가 개선 효과와 베젤리스(Bezel-less) 디자인 구현을 기대
> 삼성디스플레이는 18년 상반기 아나패스의 TED(T-Con Embedded Driver) IC를 처음 적용하여 모바일향 디스플레이 패널을 생산. 이는, 중국 세트업체인 메이쥬의 기념 모델인 메이쥬 15플러스 제품에 적용
> 이를 바탕으로 아나패스는 향후 모바일향 제품 공급 확대를 기대
rf. 삼성디스플레이의 연간 TV 패널 / 모바일 패널 공급량은 각각 약 4천만대 / 3.8억대
5. 기타
▶ GCT: 5G 상용화에 대한 기대감
> 현재 지분율 32%로 최대주주. 2차례 걸쳐 약 600억원을 투자(13년 투자)했으나, 현재 장부가치는 ‘0’
> 13년 투자를 진행했으나, 17년까지 매년 약 200억원의 순손실을 기록
> 과거 4G 시장에 진입하기 위해 노력했으나, 후발주자로서 시장 내 입지 부족으로 실적 개선 미미. 다만, 5G Chipset 을 오랜 기간 동안 준비하며 향후 5G 시대 확대에 따른 수혜를 기대
▶ GCT: 5G 상용화에 대한 기대감
> 현재 지분율 32%로 최대주주. 2차례 걸쳐 약 600억원을 투자(13년 투자)했으나, 현재 장부가치는 ‘0’
> 13년 투자를 진행했으나, 17년까지 매년 약 200억원의 순손실을 기록
> 과거 4G 시장에 진입하기 위해 노력했으나, 후발주자로서 시장 내 입지 부족으로 실적 개선 미미. 다만, 5G Chipset 을 오랜 기간 동안 준비하며 향후 5G 시대 확대에 따른 수혜를 기대
신영 이원식

게시판 활동 내용에 따라 매월 새롭게 선정되는 운영배심원(10인 이하)이 의견을 행사할 수 있습니다.
운영배심원 4인이 글 내리기에 의견을 행사하게 되면 해당 글의 추천수와 반대수를 비교하여 반대수가 추천수를 넘어서는 경우에는 해당 글이 블라인드 처리 됩니다.
※ 본 기능은 시범적용으로 추후 운영방침이 개선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