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
1.화장품 업종, 불확실성 확대 시기
- 최근 중국 화장품 소매판매와 대 중국 화장품 수출 대조적인 모습
- 중국 화장품 소매판매 회복세이나, 중국향 화장품 수출 부진, 이는 중국에서 한국 화장품의 시장 점유율 하락을 의미
- 매크로 지표 저하는 화장품 업종에 대한 투심 약화와 밸류에이션 하락으로 이어질 가능성
- 개별 업체들의 펀더멘탈 중심 투자 바람직
2. 2018년 세계 면세점 순위 발표에 대한 단상: 글로벌 Top 3 업체에 대한 과소평가!
- ''2018년 세계 면세점 순위''에서 신라면세점 세계 3위, 롯데면서젬 세계 2위 등극
- 한국 면세점의 글로벌 브랜드 소싱 능력과 바잉 파워 경쟁력 상승을 의미
- 중국의 글로벌 브랜드에 대한 수요 있는 한, 한국 면세점의 성장 여력과 펀더멘탈 이상 없을 것
- 호텔신라 주가 하락 저가 매수 기회
3. Top Picks: 호텔신라/신세계/GS리테일, 클리오/LG생활건강/연우
1) 유통: 공격적으로 본다면 호텔신라/신세계, 안정적으로는 GS리테일
- 면세점의 펀더멘탈 개선 지속, 밸류에이션 저평가, 호텔신라/신세계 저점 매수 유효
- GS리테일의 경우 최저임금 불확실성 완화/2분기 양호한 실적과 시장재편 수혜/여유있는 밸류에이션
- GS 홈쇼핑의 경우 과도한 주가하락/ 4% 넘는 높은 배당 수익률 긍정적
2) 화장품: 클리오 주가 하락 과도, 실적 시즌 부각될 종목들
- 클리오 과도한 주가 하락, 밸류에이션 12MF PER 17배 하락, 비중확대 바람직
- LG생활건강 안정적 실적 개선 지속, 높은 브랜드력
- 연우 2분기 높은 실적 모멘텀 기대, 중국 사업 확대 기대
- 반면, 아모레퍼시픽 비용 절감을 통한 이익 개선보다, 브랜드 인지도 제고를 위한 투자 필요한 상황
4. 기업(탐방) 업데이트: 롯데쇼핑
5.주간Top Picks(TP 만원)
- 클리오 (TP 2.8만원): 단기 펀더멘탈 무관한 과도한 주가 하락, 높은 실적 모멘텀, 대 중국 브랜드 인지도 개선
- 호텔신라 (TP 13만원): 제반 불확실성 주가 모두 반영, 견조한 펀더멘탈, 12MF PER 18배 밸류에이션 여유
하나 박종대

게시판 활동 내용에 따라 매월 새롭게 선정되는 운영배심원(10인 이하)이 의견을 행사할 수 있습니다.
운영배심원 4인이 글 내리기에 의견을 행사하게 되면 해당 글의 추천수와 반대수를 비교하여 반대수가 추천수를 넘어서는 경우에는 해당 글이 블라인드 처리 됩니다.
※ 본 기능은 시범적용으로 추후 운영방침이 개선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