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
[석유화학] 시황 초강세 지속
조회 : 106
▶ 제품가격 초강세 지속. 지난 주 금요일 대비 이번 주 11/25일(수)까지 주요 제품 가격 상승률은 다음과 같음
- BPA +14%, 아세톤 +11%, LLDPE +8%, HDPE/LDPE +7%, PP/PS +6%, ABS +4%
- 특히, 11/25(어제)는 PE가격의 급등이 눈에 띄었음. 보통 PE가격은 하루 1% 내외에서 움직이는데, 어제는 하루 가격 상승률이 7~8%에 달해. 매우 이례적인 흐름이며, 타이트한 수급을 증명하는 움직임. PP 또한 주중 내내 강세
- ABS/PS는 원재료 BD, SM 상승분보다 높은 가격 상승폭을 나타내며 스프레드는 추가적으로 확대되는 모습. 타이트한 수급 상황 및 원가 상승분을 충분히 전가할 수 있는 상황을 증명
- BPA 강세는 전방 자동차/가전 플라스틱 원재료인 폴리카보네이트(PC)와 페인트 원재료 에폭시의 수요 개선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 BPA 중국 가동률은 100%에 육박하는 타이트한 흐름이 최근 몇 개월 간 지속되면서 수급 밸런스의 임계점을 돌파한 것으로 추정됨. 이로 인해 BPA 마진은 6년 밴드 상단을 강하게 뚫고 상승하는 모습. 아세톤 또한 전방 손세정제 관련 IPA의 수요 강세로 초강세 흐름 지속
▶ 백신 개발과 유가 강세가 Restocking을 자극. ‘차화정’과 유사한 흐름이 전개
- 4Q가 보통 비수기임을 감안할 때 현재의 시황 강세는 매우 이례적. 정기보수와 운송 이슈로 인한 일시적인 강세 가능 성에 대한 반박이 있을 수 있음. 하지만, 정기보수는 매년 4Q에 집중되어 왔기 때문에 올해의 특별한 이슈가 아니며, 운송 이슈는 전반적인 내구재/비내구재 수요 강세 감안 시 지속 가능성이 있기에 일시적인 흐름으로 판단해서는 안됨
- 백신 개발로 인한 불확실성 해소와 유가 상승은 타이트한 현 수급 상황에서 강한 Restocking 발생 가능성을 높임. 원가 상승분보다 더 큰 폭의 제품 가격 상승을 향후에도 목격하게 될 가능성 높음. ‘차화정’과 유사한 흐름이 전개
▶ Top Picks: PE/PP/ABS 노출도가 높은 롯데케미칼/대한유화, BPA/아세톤/ABS/PS 노출도가 높은 금호석유
하나 윤재성

게시판 활동 내용에 따라 매월 새롭게 선정되는 운영배심원(10인 이하)이 의견을 행사할 수 있습니다.
운영배심원 4인이 글 내리기에 의견을 행사하게 되면 해당 글의 추천수와 반대수를 비교하여 반대수가 추천수를 넘어서는 경우에는 해당 글이 블라인드 처리 됩니다.
※ 본 기능은 시범적용으로 추후 운영방침이 개선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