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실시간 속보창 보기
  • 검색 전체 종목 검색

글로벌마켓

러시아, 세계 최초로 아프간 탈레반 정부 공식 인정...대사 교환
파이낸셜뉴스 | 2025-07-04 12:41:02
러시아, 세계 최초로 탈레반 정부 공식 인정하고 대사 교환
약 4년 동안 고립된 탈레반은 중국 등 비(非) 서방 국가들과 외교 박차


3일(현지시간) 아프가니스탄 카불에서 드미트리 지르노프 아프가니스탄 주재 러시아 대사(왼쪽)가 아미르 칸 무타키 탈레반 외무장관과 악수하고 있다.AFP연합뉴스
3일(현지시간) 아프가니스탄 카불에서 드미트리 지르노프 아프가니스탄 주재 러시아 대사(왼쪽)가 아미르 칸 무타키 탈레반 외무장관과 악수하고 있다.AFP연합뉴스


[파이낸셜뉴스] 러시아가 지난 2021년부터 아프가니스탄을 다시 지배한 탈레반 정권을 공식적인 정부로 인정했다. 앞서 중국 등 일부 국가들이 탈레반의 사절을 외교 관리로 대우했으나 탈레반을 정부로 인정한 것은 러시아가 세계 최초다.

탈레반 정부의 외무부는 4일(현지시간) 소셜미디어 엑스(X)에 글을 올려 러시아가 파견한 드미트리 지르노프 아프가니스탄 주재 대사가 아미르 칸 무타키 탈레반 외무장관과 전날 만났다고 밝혔다. 지르노프는 이번 회동에서 러시아 연방이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토후국’을 공식 국가로 인정한다고 알렸다. 해당 국호는 이슬람 원리주의 조직인 탈레반이 지난 2001년 미국의 침공을 받기 전에 아프가니스탄을 지배하면서 사용했던 명칭이다. 탈레반은 2021년에 미국의 지원을 받았던 아프가니스탄 정부를 몰아내면서 옛 국호를 되살렸다.

탈레반 역시 러시아에 대사를 보냈다. 러시아 외무부는 3일 성명에서 탈레반이 임명한 굴 하산 러시아 주재 대사가 제출한 신임장을 받았다고 밝혔다. 이어 탈레반에 대한 공식 정부 인정이 "생산적인 양국의 협력 관계"를 발전시킨다고 주장했다. 탈레반 외무부는 2일 발표에서 러시아 주재 대사가 현지 정부의 승인 하에 공식 임무를 시작했다고 알렸다.

1996~2001년 사이 아프간을 지배했던 탈레반은 미국의 침공 이후 약 20년 동안 미국 및 친미 성향의 아프가니스탄 정부와 충돌했다. 탈레반은 2021년 미군 철수 직후 기존 정부를 무너뜨리고 아프가니스탄을 다시 차지했으나 국제 사회에서 공식적인 정부로 인정받지 못했다. 중국과 아랍에미리트연합(UAE), 우즈베키스탄, 파키스탄 등 일부 국가들은 탈레반이 파견한 대사들을 외교 사절로 대우했지만 탈레반을 국가 조직으로 공식 인정하지는 않았다.

앞서 2020년대 들어 본격적으로 서방과 사이가 틀어진 러시아는 각종 국제 행사에 탈레반 대표단을 초청하는 등 외교 관계를 강화했다. 러시아 대법원은 지난 4월 "테러리스트 단체 지정 목록에 포함된 탈레반 운동에 대한 금지를 중단한다"며 22년 동안 이어진 러시아 정부의 탈레반 활동 금지 조치를 해제하라고 결정했다.

NYT는 이번 정부 인정이 탈레반 정부에게 상당한 승리라고 분석했다. 탈레반 정부는 지난해 하반기부터 적극적인 외교 정상화 및 외국인 투자 논의에 나섰으며, 중국은 올해 파키스탄과 경제 협력을 아프가니스탄까지 확대한다고 밝혔다. 러시아 외무부는 정부 인정을 통해 탈레반과 에너지 및 교통, 농업 기반 시설 협력을 추진한다고 예고했다.

한편 알렉산더 도브린트 독일 내무장관은 3일 인터뷰에서 "아프가니스탄 측과 대화하려면 여전히 제3자가 필요하다. 이게 영구적 해결책이 돼서는 안 된다"며 "난민 송환을 위해 아프가니스탄과 직접 협정을 맺는 방안을 구상 중"이라고 말했다.


3일(현지시간) 러시아 모스크바에서 안드레이 루덴코 러시아 외무차관(오른쪽)이 굴 하산 탈레반 대사와 함께 대사 신임장을 들고 있다.AFP연합뉴스
3일(현지시간) 러시아 모스크바에서 안드레이 루덴코 러시아 외무차관(오른쪽)이 굴 하산 탈레반 대사와 함께 대사 신임장을 들고 있다.AFP연합뉴스
이시각 주요뉴스
  • 한줄 의견이 없습니다.

한마디 쓰기현재 0 / 최대 1000byte (한글 500자, 영문 1000자)

등록

※ 광고, 음란성 게시물등 운영원칙에 위배되는 의견은 예고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