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실시간 속보창 보기
  • 검색 전체 종목 검색

주요뉴스

다 손보겠다는 트럼프…한국 경제 '풍랑 예고'
SBSCNBC | 2017-01-23 19:14:43
<앵커>
대내적으로 일자리, 대외적으로 트럼프 행정부, 바로 우리가 직면한 최대 악재인데요,

"미국 제품을 사고, 미국인을 고용할 것이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 20일 밝힌 취임사의 핵심은 예상대로 '아메리카 퍼스트'였습니다.

취임 일성으로 배타적인 미국 우선주의 국정 기조를 사실상 전면에 내세우며 전 세계를 긴장시키고 있습니다.

이러한 보호무역 기조는 글로벌 무역 의존도가 높은 우리나라에도 적지 잖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입니다.

경제부 조슬기 기자 나와 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가 대통령 취임사를 통해 전 세계를 상대로 강경한 보호무역주의를 공식 선언했죠?

<기자>
16분간 이어진 취임 연설에서 가장 많이 쓴 단어는 '미국(America)'으로 모두 18번, 다음이 '미국인(American)' 16번이었습니다.

국가 간 외교에서 자국의 이익을 최우선으로 하는 것은 모든 나라의 원칙이라며, 미국산을 사고, 미국인을 고용하라는 게 트럼프의 2가지 원칙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 들어보시겠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 미국 대통령: 이 순간부터 모든 것은 '미국 우선주의'로 이뤄질 것입니다. 무역, 세금, 이민, 대외 정책과 관련된 모든 정책은 미국 노동자, 미국 가정을 위해 이뤄질 것입니다.]

<앵커>
사실상 트럼프발 무역전쟁의 서막이 올랐다고 보이는데, 당장 북미자유무역협정(NAFTA)부터 뜯어고치겠다고 공언했죠? 

<기자>
트럼프 대통령은 니에토 멕시코 대통령과 이달 31일에, 트뤼도 캐나다 총리와는 빠른 시일 내 정상 회담을 갖겠다고 밝혔습니다.

대통령 취임식 직후 백악관은 홈페이지를 통해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 이탈 방침과 북미자유무역협정(NAFTA) 탈퇴 가능성을 시사한 것과 무관치 않은데요.

우리나라도 남의 일이 아닌 게 미국과 자유무역협정, FTA를 맺은 상황에서 재협상 문제가 향후 수면 위로 부상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습니다.

수출 중심의 소규모 개방 경제인 한국으로선 트럼프의 대통령 취임으로 뚜렷해진 보호무역주의의 파고를 우선 넘는 게 당면 과제로 떠올랐습니다.

<앵커>
트럼프가 취임 일성으로 나프타 재협상을 공식화함에 따라 당장 멕시코에 진출한 우리 기업들이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죠?

<기자>
미국·멕시코·캐나다가 맺은 나프타를 미국시장 진출의 교두보로 삼아 멕시코로 몰려간 우리나라 수출 기업들은 전략의 수정이 불가피해졌습니다.

당장 북미 지역에 무관세로 수출하기 위해 연 40만대 생산 규모의 멕시코 공장을 준공한 기아자동차를 비롯해 기아차와 함께 멕시코에 동반 진출한 현대제철, 멕시코 4곳에 자동차용 강판 공장을 갖춘 포스코도 발등에 불이 떨어졌습니다.

멕시코에서 세탁기와 냉장고 등을 생산해 무관세로 미국에 수출해온 삼성전자와 LG전자도 나프타 체제가 흔들리면 대미 수출 전략을 다시 짜야 하는 상황입니다.

<앵커>
미국의 통상 압력, 예상한대로 파고가 심한데 한국 경제에 상당한 위협 요인이 될 것 같은데요?

<기자>
보호무역주의로 인한 글로벌 교역이 위축되면 내수 기반이 취약하고 수출에 의존하는 한국 경제는 직격탄을 맞게 됩니다.

당장 미국이 중국, 멕시코 등과 무역 전쟁에 나서면 이들 국가에 대한 우리의 중간재 수출이 크게 위축될 수 밖에 없습니다.

특히, 한미 FTA 개정이 현실화되면 수출 의존도가 높은 한국 경제는 치명타를 피할 수 없습니다.   

현대경제연구원이 이와 관련한 보고서를 최근 내놨는데, 트럼프 정부가 한미 FTA를 폐기하면 한국의 대미 수출은 연간 약 32억5000만 달러, 우리 돈으로 3조8000억 원 감소한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연간 대미 수출 총액의 5% 가량으로, 2020년까지 4년간 손실을 추정하면 총 130억1000만 달러, 약 15조3000억 원입니다.

또 대미 수출 손실에 따른 국내 고용 감소분은 연간 3만2000명으로 추산했는데, 이 역시 지난해 전체 취업자 29만9000명의 약 10% 수준입니다. 

<앵커>
미국의 보호무역주의 강화 움직임에 대비하기 위한 정부의 선제적 대응 노력이 어느 때보다 중요해 보이는데, 정부의 입장은 어떻습니까?

<기자>
정부도 미국 신정부의 보호무역주의 정책으로 우리 경제 리스크가 확대될 수 있다고 보고 대응책 마련에 나섰습니다.

하지만 미국과의 소통 강화, 시장 동향 모니터링 등에 초점이 맞춰져 있을 뿐 여전히 묘안을 찾지 못한 채 동분서주하고 있습니다.

오늘도 트럼프 행정부 출범에 따른 통상환경 변화에 대비하기 위해 통상 관련 업무를 수행하는 상무관들이 한 자리에 모여 대응 방안을 논의했지만 뾰족한 해법을 내놓지 못했습니다.

정부가 그 동안 수출 활성화에만 지나치게 초점을 맞춰서일까요?

상대적으로 수출 다변화 노력을 기울이지 않아온 점을 감안하면 정부의 최근 움직임은 뒷북 대응이라는 지적을 낳고 있습니다.
 
이시각 주요뉴스
  • 한줄 의견이 없습니다.

한마디 쓰기현재 0 / 최대 1000byte (한글 500자, 영문 1000자)

등록

※ 광고, 음란성 게시물등 운영원칙에 위배되는 의견은 예고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