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상의, '규제트리' 발표..."데이터 3법 입법 촉구"
파이낸셜뉴스 | 2019-12-08 13:01:06
파이낸셜뉴스 | 2019-12-08 13:01:06
"데이터 3법에 세부 산업분야 19개 중 12개가 막혀 있어"
[파이낸셜뉴스] 국내 신성장 산업이 경쟁력을 갖추려면 면 대못규제, 중복규제, 소극규제 등 신산업 3대 규제를 풀어야 한다는 주장이 재계에서 나왔다.
대한상공회의소 지속성장이니셔티브(SGI)는 8일 '신산업 규제트리와 산업별 규제사례' 보고서를 통해 하나의 산업을 둘러싸고 나뭇가지처럼 얽혀있는 연관 규제들을 도식화한 '규제트리'를 공개했다. 이번 연구는 정부가 선정한 '9대 선도사업' 중 △바이오·헬스 △드론 △핀테크 △인공지능(AI) 등 4개 분야에 대한 SGI와 한국행정연구원의 빅데이터 분석, 전문가 인터뷰, 법령 분석 등을 통해 이뤄졌다.
SGI는 4개 신산업 발전을 가로막는 '대못규제' 중 하나인 '데이터 3법'에 대한 입법을 촉구했다. 규제트리 분석 결과 세부 산업 분야 19개 가운데 63%에 달하는 12개 분야가 데이터 3법에 막혀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예컨대 바이오·헬스 분야는 개인정보보호법과 의료법 등 때문에 원격 진료 등의 첨단 서비스가 불가능하고, 지난해 평창 올림픽에서 인텔이 선보인 이른바 '드론 오륜기' 기술도 국내에서는 개인정보보호법과 항공안전법 등으로 기술 고도화가 힘든 상황이다. 핀테크 역시 신용정보법과 자본시장법 등으로 중금리 대출 등 신규 금융 서비스 출시가 힘들며 AI는 개인정보보호법 정보통신망법 등으로 AI 고도화를 위한 빅데이터 활용이 제한돼 있다.
SGI는 "이미 뒤처진 신산업 분야에서 경쟁국을 따라잡으려면 데이터 3법의 조속한 입법이 우선이다. 나아가 가명 정보 기준 명확화 등 관련 제도를 정비해 데이터 활용 기반을 확충해 나가야 한다"며 "신산업은 중복규제에 막혀있다"며 융복합 신산업의 경우 기존 산업들이 받는 규제 2∼3개를 한꺼번에 적용받고 있다고 주장했다.
SGI는 부처 간 상시협력 채널의 역할을 할 수 있는 국무조정실 등 컨트롤타워의 기능을 강화해 다부처 규제를 중점 관리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또, 규제의 틀을 제대로 갖춰주지 않는 '소극 규제'로 불법인지 아닌지조차 판단하기 어렵다는 문제점도 지적했다. 아울러 이를 해결하기 위해선 규제 인프라가 미비하고 이해관계자 간 대립이 첨예한 분야에 대해서는 규제샌드박스, 자유 특구 등 혁신제도를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한다고 건의했다. 서영경 SGI 원장은 "부처별 칸막이식 규제집행으로 신산업 도입과 시장화에 지연을 초래하고 있다"며 "규제트리는 향후 신산업 규제개선을 위한 방향과 전략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로써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pride@fnnews.com 이병철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파이낸셜뉴스] 국내 신성장 산업이 경쟁력을 갖추려면 면 대못규제, 중복규제, 소극규제 등 신산업 3대 규제를 풀어야 한다는 주장이 재계에서 나왔다.
대한상공회의소 지속성장이니셔티브(SGI)는 8일 '신산업 규제트리와 산업별 규제사례' 보고서를 통해 하나의 산업을 둘러싸고 나뭇가지처럼 얽혀있는 연관 규제들을 도식화한 '규제트리'를 공개했다. 이번 연구는 정부가 선정한 '9대 선도사업' 중 △바이오·헬스 △드론 △핀테크 △인공지능(AI) 등 4개 분야에 대한 SGI와 한국행정연구원의 빅데이터 분석, 전문가 인터뷰, 법령 분석 등을 통해 이뤄졌다.
![]() |
SGI는 "이미 뒤처진 신산업 분야에서 경쟁국을 따라잡으려면 데이터 3법의 조속한 입법이 우선이다. 나아가 가명 정보 기준 명확화 등 관련 제도를 정비해 데이터 활용 기반을 확충해 나가야 한다"며 "신산업은 중복규제에 막혀있다"며 융복합 신산업의 경우 기존 산업들이 받는 규제 2∼3개를 한꺼번에 적용받고 있다고 주장했다.
![]() |
pride@fnnews.com 이병철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이시각 주요뉴스
이시각 포토뉴스


- 한줄 의견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