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실시간 속보창 보기
  • 검색 전체 종목 검색

언론사별 뉴스

저축은행중앙회장 선거 2파전…민·관 출신 맞붙었다
비즈니스워치 | 2019-01-17 18:29:01

[비즈니스워치] 강현창 기자 khc@bizwatch.co.kr
7명이 출사표를 던졌던 저축은행중앙회장 선거가 결국 민·관 2파전으로 압축됐다.

지난 16일 회장후보추천위원회가 박재식 전 한국증권금융 사장과 남영우 전 한국투자저축은행 대표, 한이헌 전 국회의원 등 3명을 최종후보로 결정했지만 한 전 의원이 사퇴했다. 한 전 의원은 후보 인터뷰 과정에 연봉 삭감을 통보받은데 대해 불쾌감을 표하며 사퇴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따라 관료 출신 박재식 후보와 저축은행 업계 출신 남영우 후보가 최종 후보가 됐다. 회장 선정은 오는 21일 열리는 저축은행중앙회 총회에서 79개 회원사 투표를 통해 이뤄질 예정이다.

◇ 박재식 후보, 정부·정책금융 두루 거쳐..소통능력 강점

박재식 후보는 정부와 정책금융기관에서 쌓은 경력과 이같은 경력을 배경으로 정부, 금융당국과 소통능력을 발휘할 수 있다는 점이 강점으로 꼽히고 있다.

박 후보는 1958년 충남 공주 출생으로 제26회 행정고시에 합격해 미국 워싱턴주 금융감독청, 노무현 정권 청와대 정책조정비서관실 선임행정관, 우정사업본부 보험사업단장, 기획재정부 국고국장, 금융정보분석원 원장, 한국증권금융 사장 등을 역임했다.

▲ 박재식 전 한국증권금융 사장

박 후보는 증권금융 시절 민간연기금 투자풀과 우리사주 활성화 지원, 확대된 증권사 자금공급 등의 성과를 보였다. 이를 통해 당시 거래량 부족으로 자금경색을 겪던 증권업계에 유동성 지원을 크게 늘렸다는 평가다.

다만 저축은행 경험이 부족한 것이 단점으로 꼽힌다. 박 후보 재경부(현 기재부)시절 저축은행 담당업무를 했지만 약 20년 전 일이다. 친여권 성향을 가진 기관출신 인사라는 점도 다소 부담이다. 

하지만 저축은행중앙회장 자리가 은행 실무를 처리하기보다는 유관기관과의 폭넓은 소통능력이 필요하다는 업계 목소리도 커 강점이 있다는 설명이다.

한 저축은행 관계자는 "업계의 여러가지 숙원사업은 금융당국의 협조없이 어려운 것들이 많다"며 "(업계에서) 당국과의 소통에 강점이 있는 '힘 있는 낙하산'을 바라는 것은 비밀도 아니다"고 말했다

◇ 남영우 후보, 저축은행 등 업계 40년 전문가

남영우 후보는 저축은행의 옛 명칭인 상호신용금고에서 시작해 저축은행업계에서 잔뼈가 굵은 인물이다. 1954년 충북 청주 출생으로 1973년 농협을 거쳐 1978년 동부상호신용금고에 입사했다.

이후 건국상호신용금고와 삼보상호신용금고, 한솔상호저축은행 등을 거친 뒤 2004년부터 한국투자저축은행 입사해 대표이사까지 역임하면서 현재까지 저축은행 경력만 40년이다.

▲ 남영우 전 한국투자저축은행 대표

한국투자저축은행은 2011년 저축은행 사태에도 흑자를 유지한 곳이다. 남 전 대표는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으로 위기가 촉발됐다는 분석에 따라 PF대출 중단을 결정해 위기를 막았다.

당시 PF대출은 저축은행의 주 수입원중 하나였지만 담보의 부실을 감지하지 못한 많은 저축은행이 뛰어들면서 폐업하거나 매각됐다. 남 전 대표가 이끌던 한국투자저축은행은 위기상황에서도 흑자기조를 유지해 최근까지 17년 연속 흑자를 달성했다.

저축은행에 대한 이해가 깊고 위기관리 능력도 뛰어나다는 강점이 있는 반면 기관경력이 전무해 금융당국과의 소통능력이 검증되지 않았다는 약점이 있다.

이에 대해 저축은행 관계자는 "크고 작은 일들이 끊이지 않았던 저축은행 업계에서 안정적인 경영을 보여준 후보"라며 "오래도록 안정적인 경영을 유지했다는 점에서 당국과의 소통도 기대할만 하다"고 말했다.

◇ 차기 중앙회장, IT경쟁력·규제완화 등 과제 산적

저축은행 업계에서는 그 어느때보다 차기 저축은행중앙회장의 책임이 막중한 시기라고 입을 모으고 있다.

현재 저축은행 업계는 시중은행 등에 비해 IT경쟁력이 부족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순우 현 회장도 이를 개선하기 위해 IT시스템 개편 등 사업을 추진했지만 아직 괄목할만한 성과를 기대하기는 어려운 수준이다.

저축은행 업계는 새 회장이 IT경쟁력을 위한 중장기적인 로드맵을 제시하는 한편 다른 업권에 비해 높은 예보료 조정, 지역별로 막혀있는 영업제한, M&A 규제 등 규제완화에 힘써 달라고 당부하고 있다.

또 정부가 요구하는 중금리대출의 활성화 등 서민금융기관의 역할 강화도 저축은행중앙회가 조율해야 할 숙제다. 이를 위해 정교한 신용평가시스템 개발과 운영 등이 업계가 중앙회에 바라는 솔루션이다.

한 저축은행 관계자는 "우리 업계는 과거 저축은행 사태 이후 각종 규제가 강화되면서 사업을 확장하기 어려운 상황"이라며 "국민의 신뢰를 회복하고 이제는 필요없는 규제를 하나씩 걷어내는 것이 우리가 중앙회에 바라는 일"이라고 말했다.



ⓒ비즈니스워치(www.bizwatch.co.kr) -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이시각 주요뉴스
  • 한줄 의견이 없습니다.

한마디 쓰기현재 0 / 최대 1000byte (한글 500자, 영문 1000자)

등록

※ 광고, 음란성 게시물등 운영원칙에 위배되는 의견은 예고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