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실시간 속보창 보기
  • 검색 전체 종목 검색

언론사별 뉴스

보령 해상풍력단지 조성사업 보령수협 등 수산인들 "결사 반대"
프라임경제 | 2020-10-24 11:53:39

[프라임경제] 보령수협은 지난 23일 충남 보령시가 공공주도로 대규모 해상풍력단지를 추진하는가운데, 지역 어업인이 배제된 채 일방적으로 추진되고 있는 해상풍력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어업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정책 마련을 촉구하는 수산인의 '반대'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어 난항이 예상된다고 밝혔다.

수산인들에 따르면 외연열도에 해상풍력단지가 들어서면 해양생물 서식지 파괴 및 화학물질 누수·소음과 진통으로 인한 생태계 교란 등의 피해가 우려되는 가운데 이에 대한 객관적 자료나 대책도 전무하다는 주장이다.

특히, 이번에 정책건의서와 함께 제출된 서명부에는 지난 8월27일부터 10월8일까지 43일간 해상풍력 대책위가 전개한 '일방적 해상풍력 추진 반대 서명운동'에 참여한 53만8337명의 전국 어업인과 일반 시민이 동참한 것으로 알려졌다.

보령수협 최요한 조합장은 "지난 13일 31개 어촌계장 회의를 통해 '풍력발전에 대해 찬성은 단 한 명도 없고, 전부 목숨을 걸고 반대 한다.'는 의견으로 통일했다. 현재 보령시가 추진하는 풍력단지는 어민들의 삶을 앗아갈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현재 어민들은 시에서 해상풍력단지를 추진하는 것과 관련 영문을 잘 모르고 있다. 풍력이 뭔지 왜 풍력을 세우는 것인지 아무런 설명이 없었다."며 "정부가 대안에너지 차원으로 서해안부터 남해까지 풍력이나 태양광으로 대처하고 있는데 직접적으로 어민들의 터전에 대한 얘기지만 시의 소통 없이 밀어붙이기식 행정은 말이 안된다."고 말했다.

보령수협에 따르면 수협중앙회를 통해 53만8337명의 서명부를 받아 '해상 풍력발전' 반대의 입장을 산업통상자원부, 해양수산부, 국무조정실에 각각 전달했다. 보령시의 경우 5700여명이 포함됐다.

최요한 조합장은 "1960년~1990년대까지 식량안보를 이유로 간척사업으로 어민들의 터전이 줄어 들었고, 1980년 보령화력 1·2호기로 시작해 90년대 이후에는 화력발전소로 어민들은 삶의 터전을 전부 빼앗겼다"며 "사업추진 이전에 관련 있는 어민 등을 대상으로 공론화의 자리를 가져야 했지만, 공모사업 선정 이후 통보성으로 알리는 것을 누가 받아들이겠나"고 말했다.

김동일 시장이 어민단체 등에게 '해상풍력단지 좋은 사업이니 찬성해 달라'는 등의 입장을 밝히는 것 역시 호응 받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최 조합장은 "관련 사업이 어민들 삶의 터전에 대한 우선이 아닌 정치적으로 호도되지 않길 바란다"며 "지역사회의 공론화, 관련 사업에 따른 어민피해 조사 및 대책 등의 선행을 촉구했다.

이에 대해 보령시 이선규 지역경제과장은 "당초 보령시에서 관련 사업공모에 있어 큰 기대를 하지 않았던 분위기도 있었지만, 선정발표 이후 추석 전후로 수산인들 간담회를 최우선으로 진행했다"며 "1차 간담회에서 김동일 시장이 참석해 '어업인들이 반대하는 사업은 강행할 수 없다'는 발언처럼 시에서도 같은 입장"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번 공모사업 선정은 2022년 말까지 준비단계로 민·관협의체를 구성해 사업대상지 풍향계측 및 환경영향평가 등을 거쳐 사업 실현에 타당성을 검토한 후 결정된 사항이다라"며 "어렵게 정부 공모사업에 선정된 만큼 수산인들을 비롯해 지역에서 관련 사업성에 대한 논의를 통해 결정할 것이다라"고 밝혔다.

보령시는 지난 9월 산업통상자원부가 공모한 공공주도 대규모 해상풍력 단지 개발사업에 선정돼 오는 2023년까지 3년간 최대 국비 45억원을 확보했다고 밝혔다.

한편, 보령시가 공모에 참여한 해상풍력 단지는 보령시와 한국중부발전(주)이 공동으로 참여해 외연도 북측, 황도 남측 해상 62.8km 면적에 오는 2025년까지 1GW급 해상풍력 발전 설비를 갖추는 것으로 약 6조원이 소요된다.

수협 해상풍력 대책위 관계자는 "정부는 53만명이 넘는 목소리에 응답해 해상풍력 병폐를 해소하고 어업피해 최소화와 어업인 권익보호를 위한 정책을 즉각 마련해야 한다"며 정부에서 지난 7월17일 발표한 해상풍력 제도개선에 담긴 △입지적정성 평가 △어업인 참여 보장 △법·제도개선 등에 적극 나서 줄 것을 요구했다.


오영태 기자 gptjd00@hanmail.net <저작권자(c)프라임경제(www.newsprime.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이시각 주요뉴스
  • 한줄 의견이 없습니다.

한마디 쓰기현재 0 / 최대 1000byte (한글 500자, 영문 1000자)

등록

※ 광고, 음란성 게시물등 운영원칙에 위배되는 의견은 예고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