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실시간 속보창 보기
  • 검색 전체 종목 검색

뉴스속보

BMW 가격 '뚝'…소비자 구매로 이어지나?
SBSCNBC | 2016-08-29 10:05:23
■ 경제 와이드 이슈& '이슈&라이프' - 권용주 오토타임즈 기자

<앵커>
요즘 수입차 ‘제 값 주고 사면 바보’라는 말이 나돌 정도로 할인폭이 엄청납니다.

하지만 일부 수입사는 오히려 할인폭을 줄이고 있기도 한데요.

왜 이런 현상이 나타나는지 자세히 짚어보겠습니다.

오토타임즈 권용주 자동차 전문기자입니다.

일단 개별소비세가 정상적으로 부과되면서 할인폭이 많이 늘었다고 하는데, 얼마나 해주나요?

<기자>
벤츠는 일부 전시장에서 A, B, CLA, GLA 클래스 등의 모델에 최대 17% 할인 혜택을 주고, BMW는 5시리즈에 700만원 할인해주고 있습니다.

일본 수입사들은 차종에 따라 다르지만 토요타 아발론의 경우 36개월 무이자 할부, 캠리는 24개월 1%대 저금리 할부도 제공합니다.

인피니티와 닛산도 24개월 무이자, 푸조도 2008 펠린과 308 1.6 알뤼르 구매자에게 최대 11% 할인해주고 있습니다.

<앵커>
만만치 않은 혜택인데, 이렇게 할인을 늘리는 이유가 있나요?

<기자>
기본적으로 시장의 빈 자리를 먼저 채우려는 것입니다.

다시 말해 아우디와 폭스바겐이 판매 중지되면서 두 회사가 판매하던 물량의 빈자리가 6,000여대 정도 생긴 것입니다.

이 자리를 먼저 차지하기 위해 할인폭이 늘어난 것입니다.

<앵커>
그런데 아우디폭스바겐은 대부분 디젤을 팔았잖아요.

그럼 상대적으로 같은 디젤을 주력하로 판매하는 독일 경쟁사들의 입지가 늘어나는 건가요?

<기자>
반은 맞고 반은 틀린 말입니다.

여기서 절반이라는 것은 ‘그래도 디젤’을 사려는 구매자가 여전히 건재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디젤에 주력하는 BMW 등이 반사이익을 본다는 것이고, 이외 절반은 미세먼지 논란으로 디젤에 대한 신뢰가 떨어졌고, 휘발유 가격도 안정세니까 휘발유차로 이동하는데, 제 아무리 휘발유 가격이 안정세라도 언제 다시 오를지 모르고 기름 값은 아끼는 게 최선이라는 생각에 휘발유 하이브리드가 주력인 일본차로 옮겨간다는 것입니다.

물론 국산차로 다시 돌아가는 소비자도 적지 않음. 한 마디로 아우디폭스바겐의 빈 공간을 서로 차지하기 위해 할인이 늘었다고 보는 게 타당합니다.

<앵커>
하지만 이런 가운데 오히려 할인을 줄이는 곳도 있어요. 왜 그런가요?

<기자>
BMW가 최근 공식적인 할인 외에 이른바 판매사 또는 판매자가 별도로 추가해주는 ‘이면 할인’을 줄인 것 때문에 나온 얘기입니다.

보통 소비자들이 자동차를 살 때는 하나의 제품을 두고도 여기저기 비교하고, 영업소도 돌아다녀보고 또 판매하는 분들로부터 견적도 받은 후에 결정하게 됩니다.

그런데 결과적으로 가장 저렴한 곳을 선택하는 게 대다수입니다.

그렇다보니 견적을 내줄 때 판매자가 자신의 수당을 할인에 넣는 일이 다반사입니다.

이렇게 파는 사람도 있고, 그렇지 않은 사람도 있다보니 어떤 소비자는 싸게 샀는데, 어떤 소비자는 그보다 비싸게 구매해 불만이 제기합니다.

우리가 보통 ‘배고픈 건 참아도 배 아픈 건 못 참는다’라는 말이 있는 것처럼 이런 불만을 줄여보자는 차원에서 공식견적실명제를 도입한 것입니다.

<앵커>
오히려 이 제도가 경쟁사가 사라진 점을 활용한 마진 확대 제도다 이런 비판도 분명 있더라고요?

<기자>
보는 시각에 따라 해석이 달라질 수 있는 부분입니다.

사실 BMW 입장에선 그간 바짝 추격하는 브랜드가 바로 아우디였습니다.

그런데 아우디가 사라졌으니 소비자들이 BMW로 이동할 것으로 볼 수 있을텐데, 그렇다면 할인을 줄여 수입사와 판매사 마진을 늘려가자는 생각일 수도 있습니다.

그런데 사실 이 제도가 도입된 것은 아우디폭스바겐 판매 중지가 나오기 이전입니다.

이게 왜 나왔냐면 최근 판매자와 소비자를 연결해주는 온라인 앱서비스가 등장했습니다.

이 곳에서 오프라인에선 결코 불가능한 할인 액수가 제시됐습니다.

그걸 들여다보니 판매자들이 자신의 모든 수당을 할인으로 제시해 일단 판매 대수를 늘려가더라는 것입니다.

그래서 이걸 바로잡기 위해 이제 실명 달아서 견적을 내주기로 한 것입니다.

그랬더니 수당마저 할인에 넣던 판매자가 사라져 할인이 줄어든 것처럼 보이는 것입니다.

<앵커>
그럼 소비자에게는 안 좋은 거네요?

<기자>
구매 때 초점을 오로지 할인에 맞춘다면 소비자에겐 반갑지 않은 소식입니다.

그런데 누구는 싸게 사고, 누구는 비싸게 산다고 하면 비싸게 산 사람은 허탈하겠죠.

그래서 일정 수준을 맞춰가겠다는 것인데, 실제 구매에 들어가는 비용을 소비자들이 확인할 수 있도록 해놔서 소비자의 비용 과다 납부를 방지하는 효과도 있습니다.

일종의 원 프라이스 같은 것인데, 사실 수입사가 판매사의 가격을 통제하는 건 공정거래법 위반입니다.

그래서 가격을 통제하는 게 아니라 견적 때 실명을 쓰라고 한 것입니다.

실명만 써도 과도한 할인이 줄어들어 버린 것입니다.

<앵커>
그런데 수입차 보면 할인액이 정말 엄청나요, 일부러 그런 작전을 쓴다면서요?

<기자>
예를 들어 시장에 투입할 만한 적정 가격이 2,000만원이다, 그러면 초기에 가격을 2,500만원으로 설정해 발표합니다.

그럼 500만원 여유가 생기는데, 잘 팔리면 500만원도 남는 것이고, 안 팔리면 500만원 깎아주면 됩니다.

그렇게 하면 원래 설정해놨던 2,000만원은 유지하는 것입니다.

그런데 이런 전략은 국산차도 마찬가지입니다.

신차 내놓을 때 보통 10% 내외 운용폭을 가져갑니다.

그래야 나중에 할인 카드가 시장에 먹히기 때문입니다.

<앵커>
감사합니다.  
이시각 주요뉴스
  • 한줄 의견이 없습니다.

한마디 쓰기현재 0 / 최대 1000byte (한글 500자, 영문 1000자)

등록

※ 광고, 음란성 게시물등 운영원칙에 위배되는 의견은 예고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