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실시간 속보창 보기
  • 검색 전체 종목 검색

뉴스속보

중동 산유국들, 미래 석유수출 담보로 돈 빌린다
파이낸셜뉴스 | 2017-03-27 06:29:05
사우디아라비아, 오만 등 중동 산유국들이 막대한 재정적자를 메우기 위해 미래 석유수출 대금을 담보로 금융기관들로부터 돈을 빌리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석유수출금융이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25일(현지시간) 오만이 최근 5년치 석유생산을 담보로 40억달러를 융통하는 계약이 성사단계에 들어가는 등 중동 산유국들의 석유수출금융이 활발해질 조짐을 보이고 있다고 보도했다.

지난달에는 아부다비국영석유공사(애드녹·ADNOC)가 액화석유가스(LPG) 10년치 생산을 넘기기로 하고 자금을 빌렸고, 세계 최대 석유수출국 가운데 하나인 사우디도 석유수출금융을 검토하고 있다.

이들은 자국의 최우량자산인 석유자원을 매각한다는 것 때문에 주저하고 있지만 결국 석유수출금융 시장의 문을 두드릴 수밖에 없을 전망이다. 막대한 재정적자를 메울 방법이 없기 때문이다.

배럴당 100달러를 웃도는 고유가 덕에 재정지출을 큰 폭으로 늘였던 중동 산유국들은 30달러 저유가 시대에 막대한 재정적자를 안게 됐다. 감산에 돌입한 지금도 50달러 안팎에서 움직이는 유가 흐름으로 인해 이들의 재정적자는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다.

저유가 상황이라고 허리띠를 졸라맸다간 자칫 정정불안을 부를 수 있어 큰 폭의 재정긴축도 쉽지 않다.

덕분에 이들의 채권발행 규모는 급증했다.

신용평가사 무디스에 따르면 사우디, 아랍에미리트연합(UAE), 바레인, 쿠웨이트, 오만, 카타르 등 걸프협력기구(GCC) 6개국은 2015년 채권시장에서 25억달러를 조달한데 이어 지난해에는 390억달러를 꿨다.

올해도 지난해와 비슷한 규모의 채권을 발행할 것으로 무디스는 예상하고 있다.

그러나 미국의 금리인상 기조로 금리 상승이 예상돼 채권발행 금리 역시 따라 올라갈 가능성이 높은데다 채권발행만으로는 적자를 메우기 어려워 결국 자존심을 버리고라도 석유수출금융으로 눈을 돌릴 것으로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이들의 재정적자는 급증하고 있다. 유가가 100달러를 넘던 2014년 국내총생산(GDP) 대비 5% 수준이었던 GCC 6개국의 재정적자 비율은 지난해 9% 수준으로 늘었다.

게다가 지난해 10월 사우디가 175억달러 채권발행에 나섰지만 이는 재정적자의 22%만을 메우는데 그친다.

GCC 6개국 GDP의 4분의1, 재정수입의 3분의2를 차지하는 석유를 담보로 돈을 빌리는 석유수출금융은 이들에게 막대한 자금을 더 좋은 조건으로 빌릴 수 있는 기회가 된다.

은행들은 산유국들의 석유수출 통계를 갖고 있기 때문에 불확실성을 줄일 수 있고, 이는 대출비용 절감으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다만 산유국들에는 위험이 따를 수도 있다. 유가가 급격히 하락하면 산유량을 늘리거나 상환 기간을 연장해야 한다.

석유수출금융은 북아프리카 산유국들에는 전례가 있다.

가나는 1992년부터 매년 은행들로부터 석유수출을 담보로 수억달러씩 돈을 빌려 코코넛 수매에 나서고 있고, 앙골라 국영석유공사인 손앙골 역시 이를 활용하고 있다.

전례가 없는 GCC 6개국의 석유수출금융은 성사될 경우 규모가 막대할 것으로 보인다.

시티뱅크의 상품거래금융 책임자인 크리스 반 브로크호벤은 재정적자를 메운다는 의미를 갖기 위해서는 이들의 대출 규모가 상당해야 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무디스의 마티아스 안고닌 애널리스트는 "유가가 40달러 수준으로 다시 떨어지면 재정적자가 더 큰 폭으로 확대될 것"이라면서 중동 산유국들의 자금조달 규모가 확대될 수밖에 없다고 예상했다.

dympna@fnnews.com 송경재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이시각 주요뉴스
  • 한줄 의견이 없습니다.

한마디 쓰기현재 0 / 최대 1000byte (한글 500자, 영문 1000자)

등록

※ 광고, 음란성 게시물등 운영원칙에 위배되는 의견은 예고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