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실시간 속보창 보기
  • 검색 전체 종목 검색

뉴스속보

[편집국에서] 일상화된 해킹 위협…우린 위험사회에 살고 있다
한국경제 | 2017-06-28 17:52:08
[ 김태훈 기자 ] 랜섬웨어 공포가 다시 밀려오고 있다. 27일(현지시간) 유럽과
미국에서 랜섬웨어 ‘페티야’의 공격으로 공공기관, 대기업 시스템
이 마비되는 피해가 속출했다. 우크라이나 정부 전산망과 체르노빌 방사능 감지
시스템, 덴마크의 세계 최대 해운사 머스크가 공격받았다.

랜섬웨어는 중요 파일에 암호를 건 뒤 풀어주는 대가로 금품을 요구하는 악성코
드다. 해킹이 정치적·종교적 목적의 사이버 테러뿐만 아니라 돈벌이 수
단으로도 활용되면서 랜섬웨어 공격이 극성을 부리고 있다. 랜섬웨어 ‘워
너크라이’는 지난달 세계 150여 개국에서 수십만 대의 컴퓨터를 감염시켰
다. 미국 보안업체 시만텍은 워너크라이의 배후로 북한을 지목하기도 했다. 북
한이 국제금융거래망 해킹을 통해 2015~2016년 최소 9400만달러(약 1050억원)를
탈취했다는 분석도 내놨다.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등의 정보기술(IT)이 모든 산업에 접목되는 4차
산업혁명이 가속화되면서 해킹은 이제 예외적인 일이 아니라 일상의 위협이 되
고 있다. 과학기술 발전이 물질적 풍요를 가져다줬지만 동시에 새로운 위험을
몰고 왔다는 독일의 사회학자 울리히 벡의 ‘위험사회론’을 절감할
수 있는 분야가 해킹이다.

해커들은 PC뿐만 아니라 인터넷에 연결된 홈 카메라나 전등, 스피커, 도어록 같
은 IoT 기기까지 좀비로 만들어 공격에 활용하고 있다. 지난해 미국 인터넷의
절반을 마비시킨 ‘미라이봇넷’ 디도스 공격이 이 같은 사례다.

한국은 해커 집단에 거액의 돈을 건넨 나쁜 선례까지 남겼다. 웹호스팅업체 인
터넷나야나는 지난 10일 랜섬웨어에 감염된 뒤 데이터를 복구하기 위해 13억원
상당의 대가를 치렀다. 해당 서비스를 이용하던 기업, 대학, 단체의 웹사이트
5000여 개를 되살리려는 고육책이었지만 사이버 범죄자들에게는 ‘한국은
돈벌이가 되는 곳’이란 인식을 심어줄 수 있는 해결 방식이었다. 오비이
락(烏飛梨落)일까. 국제 해킹그룹 아르마다 콜렉티브는 지난 20일 국내 금융기
관에 비트코인을 보내지 않으면 공격하겠다고 협박한 데 이어 26일에는 실제 공
격까지 감행했다.

전쟁터를 방불케 하는 곳에서 살고 있지만 기업과 정부의 방어 태세는 허술하기
짝이 없다. 지난해 기준 국내 기업 가운데 정보보호 예산을 편성한 곳은 10곳
중 3곳(32.5%)뿐이었다. 정부 예산도 쌈짓돈이긴 마찬가지다. 올해 정보보안
예산은 3508억원으로 국가 예산의 0.088%에 불과하다.

상당수 스타트업(신생 벤처기업)이 숙박 교통 이사 등 온·오프라인 연계
(O2O) 서비스에 뛰어들고 있지만 민감한 사생활 정보를 다루는 이들 대다수가
보안 사각지대로 방치되고 있는 것도 문제다. 지난 3월 발생한 모바일 숙박 예
약 서비스인 여기어때 해킹은 그 위험성을 잘 보여준다. 해커들은 회원의 숙박
기록을 이용해 4817건의 협박성 음란문자를 발송했다.

해킹이 야기하는 사회적 파장은 갈수록 커지고 있다. 개인들은 치명적인 사생활
노출의 피해를 볼 수 있고 기업은 공들여 키워온 회사의 문을 일순간 닫아야
하는 위기에 내몰릴 수 있다. 보안을 부가적인 비용쯤으로 여기는 생각부터 버
려야 한다. 회사의 핵심 자산을 지키는 것은 물론 서비스를 완성하는 필수 투자
가 보안이다. 우리는 언제든 해커의 먹잇감이 될 수 있는 위험사회에 살고 있다
.

김태훈 IT과학부 차장 taehun@hankyung.com


ⓒ 한국경제 & hankyung.
com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시각 주요뉴스
  • 한줄 의견이 없습니다.

한마디 쓰기현재 0 / 최대 1000byte (한글 500자, 영문 1000자)

등록

※ 광고, 음란성 게시물등 운영원칙에 위배되는 의견은 예고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