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실시간 속보창 보기
  • 검색 전체 종목 검색

글로벌마켓

트럼프의 첫 관세 서한에서 EU가 제외한 이유는?
파이낸셜뉴스 | 2025-07-08 06:47:03
트럼프 협상 잘 안되면 관세율 50% 부과 으름장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유럽연합 집행위원장이 7일(현지시간) 프랑스 스트라스부르 유럽의회 본회의에서 연설하고 있다. AFP 연합뉴스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유럽연합 집행위원장이 7일(현지시간) 프랑스 스트라스부르 유럽의회 본회의에서 연설하고 있다. AFP 연합뉴스



[파이낸셜뉴스]유럽연합(EU)은 1차 관세 서한을 받지 못했다. 이 때문에 오는 9일(현지시간)까지 관세에 대한 원칙적 합의를 목표로 미국과 협상 중이라고 7일(현지시간) 밝혔다.

AFP 등에 따르면 스테판 더케이르스마커르 EU 집행위원회 수석부대변인은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EU 집행위원장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전날 통화에서 "좋은 의견을 나눴다"며 "모든 수준에서 합의를 이루기 위해 작업 중"이라고 전했다.

올로프 길 무역담당 대변인은 "수요일(9일)까지 최소한의 원칙적 합의에 도달하기 위해 모든 노력을 다하고 있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한국과 일본 등 10여개국에 부과하는 상호관세율을 새로 책정해 각국에 보낸 서한을 공개했으나 EU는 포함되지 않았다.

EU는 내달 1일로 연장된 관세 유예기간 이후에도 최종 협상 타결 때까지 기본관세 10%를 유지하는 내용의 예비 협정을 체결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폰데어라이엔 집행위원장은 지난 3일 "워낙 큰 규모여서 (협상시한인) 90일 안에 세부적으로 협상하는 건 불가능하다"고 말한 바 있다.

EU는 항공기와 항공기 부품, 와인, 주류 등 핵심 품목에 대해 10% 기본관세 면제를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 자동차와 자동차 부품(25%), 철강·알루미늄(50%)에 부과된 품목관세 부담을 줄이기 위해 예외 조치도 요청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4월 EU산 수입품에 20%의 상호관세를 매기겠다고 발표했다가 오는 9일 0시(미국 동부시간)까지 유예했다. 5월에는 협상에 진전이 없다며 6월부터 50%의 관세를 부과한다고 했다가 또 연기했다.

당초 8일까지였던 상호관세 유예기한은 이날 트럼프 대통령의 행정명령에 따라 내달 1일로 공식 연기됐다. 이때까지 양측 협상에 성과가 없으면 EU산 물건에 50%의 상호관세가 붙을 수 있다.
이시각 주요뉴스
  • 한줄 의견이 없습니다.

한마디 쓰기현재 0 / 최대 1000byte (한글 500자, 영문 1000자)

등록

※ 광고, 음란성 게시물등 운영원칙에 위배되는 의견은 예고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