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로운 정보
플라스틱 안 줄이면...2100년 "바다 미세플라스틱 재앙"
뉴스핌 | 2021-06-24 16:00:00

[세종=뉴스핌] 오승주 기자 =우리나라 바닷속 미세플라스틱이 아직은 해양생물에 영향을 주지는 않는 수준으로 분석됐다. 하지만 현재와 같은 플라스틱 사용이 지속된다면 2100년에는 국토 연안 80%의 해양생물이 미세플라스틱 영향으로 신음할 것으로 예측됐다.

해양수산부(장관 문성혁)는 우리나라 연안과 외해역 해수 및 해저퇴적물에 있는 미세플라스틱 농도가 무영향예측농도를 초과하지 않아 아직은 해양생물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추정된다고 24일 밝혔다.

[세종=뉴스핌] 오승주 기자 = 해양 미세플라스틱 모습 [자료=해양수산부] 2021.06.24 fair77@newspim.com

무영향예측농도(PNEC: Predicted No Effect Concentration)는 해당 농도 이하에서는 생물에 미치는 영향이 없을 것으로 추정되는 농도다. 즉, 해양생물이 미세플라스틱 영향을 받기는 하지만 아직은 생물학적으로는 안전하다는 기준 안쪽에 있다는 과학적 판단이다.

이번 연구는 해양수산부가 국내 최초로 미세플라스틱이 해양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2015년부터 6년간 한국해양과학기술원을 통해 해양에서 미세플라스틱 오염 수준을 연구하고 환경위해성을 평가한 것이다.

연구진은 실제 바닷물에 가장 많이 분포하는 미세플라스틱 입자의 크기(20-300㎛)와 파편형, 섬유형(구형 제외) 등 형태를 고려하고, 국내외 문헌에 기록된 미세플라스틱의 독성자료를 기반으로 무영향예측농도를 12n/L(12,000n/m3)로 도출했다.

바닷물 1L에 12개가 들어있는 수준으로 가로와 세로, 높이가 1m인 1m3 의 바닷물에 1만2000개 가량의 미세플라스틱이 들어있다는 것이다.

해수부는 이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연안 96개 정점(363개 시료)과 외해역 22개 정점(102개 시료)의 바닷물을 채취해 미세플라스틱 농도를 측정했다. 그 결과, 해당 농도가 무영향예측농도를 초과하지 않으며 해양생물에 영향을 주는 수준 이하인 것으로 분석했다.

해저퇴적물에서는 관련 독성자료가 제한적이라 시범적으로 무영향예측농도 11만6000n/kg을 도출하고, 2018년부터 2020년까지 우리나라 모래해안(23개 정점), 조하대(간조선에서 수심 40∼60m까지의 연안구역 65개 정점), 외해역(21개 정점), 투기장 해역(11개 정점) 등 총 120개 정점의 표층퇴적물에서 미세플라스틱 농도(20-5000㎛)를 측정하여 오염도와 환경위해성을 평가했다.

조사 결과, 투기장 해역 1개 정점을 제외한 모든 조사 정점에서 무영향예측농도를 초과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됐다.

초과된 1개 정점은 대부분 과거에 배출된 하수종말처리장 슬러지에 따른 오염으로 분석됐다. 2012년 이후에는 해양 슬러지 배출이 금지돼 향후 농도는 더 이상 증가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해수부는 종합 분석 결과, 우리나라 연안과 외해역에서 바닷물 및 해저퇴적물의 미세플라스틱 농도는 해양생물에 영향을 주는 수준 이하인 것으로 판단했다. 하지만 향후 플라스틱 쓰레기에 대한 관리 없이 사용량이 계속 증가할 경우 2066년에는 바닷물의 미세플라스틱 농도가 무영향예측농도를 초과하는 지역이 연안 10%, 외해 0.6%(퇴적물 7.9%)로 증가하고, 2100년에는 연안 82%, 외해 22%(퇴적물 24%)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세종=뉴스핌] 오승주 기자 = 플라스틱의 미세플라스틱 분해화 과정 [자료=해양수산부] 2021.06.24 fair77@newspim.com

해양 미세플라스틱의 국내외 해양 위해성 평가기준은 현재까지 없다. 측정·분석 방법도 국제적으로 표준화돼 있지는 않은 상태다. 이번 연구는 국내 최초 해양 미세플라스틱 오염 실태조사와 환경 위해성 평가를 통해 미세플라스틱 관리의 필요성을 과학적으로 제시하고, 향후 해양 미세플라스틱 저감 연구를 위한 기틀을 마련한 것으로 평가된다.

한편 해양수산부는 지난 5월 제1차 해양폐기물 및 해양오염퇴적물 관리 기본계획(2021∼2030)을 수립하고 해양플라스틱 쓰레기의 발생량을 2030년까지 60% 낮추고, 2050년까지 제로화한다는 목표를 발표했다.

기본계획에 따라 해양플라스틱의 주요 발생원인으로 지목받는 유실 어구와 부표 등에 대한 관리를 대폭 강화하고, 하천으로 유입되는 육상쓰레기 차단, 수거·처리 체계 개선 등을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윤현수 해수부 해양환경정책관은 "앞으로 미세플라스틱이 해양생태계로 유입돼 이동축적되는 과정을 밝힐 계획"이라며 "국내 서식종을 기반으로 해양생태계를 보호하기 위한 환경권고 기준을 마련하는 후속 연구도 추진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fair77@newspim.com

해수부 "2023년부터 운항중인 선박도 온실가스 규제 적용"
해수부 "해양수산건설공사, '가격보다 신기술력' 중심 개편"
해수부, 어촌분야 일반농산어촌개발사업 13개소 선정

저작권자(c)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이시각 주요뉴스
  • 한줄 의견이 없습니다.

한마디 쓰기현재 0 / 최대 1000byte (한글 500자, 영문 1000자)

등록

※ 광고, 음란성 게시물등 운영원칙에 위배되는 의견은 예고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