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생태복원 20년 최고 복원지는 김천 바람재"
파이낸셜뉴스 | 2025-09-15 12:23:03
파이낸셜뉴스 | 2025-09-15 12:23:03
산림청, 제20회 산림생태복원 기술대전 왕중왕전 결과 발표
[파이낸셜뉴스] 산림청은 ‘산림생태복원 기술대전’ 20주년을 기념해 열린 산림생태복원 왕중왕전에서 ‘경북 김천 바람재’가 대상을 차지했다고 15일 발표했다.
이번 기술대전은 2005년 첫 대회를 시작으로 지난 20년간 축적된 산림생태복원 성과를 돌아보는 한편, 역대 수상 사례지 중 가장 우수한 복원지를 선정하기 위해 마련됐다. 심사는 △상징성 △사업의 관리성 △적용기술의 효과성 △우수성 △확산 가능성 등을 전문가의 현장심사 70%와 국민투표 30%(2181명 참여)를 합산해 최종 선정했다.
대상을 차지한 김천 바람재로 옛 군시설지와 진입로를 산림복원한 구미국유림관리소가, 최우수상은 고성 향로봉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 내 군시설지를 산림복원한 양양국유림관리소와 지리산 노고단 군부대 및 야영장 지형·식생 복원을 한 지리산국립공원 전남사무소가 받았다. 우수상은 백두대간 육십령 마루금 생태축을 복원한 서부지방산림청과 해남 산이 구성지구 해안림을 복원한 전남도가 수상했다.
백두대간의 바람재 산림복원 사업은 지난 1970년대 군사시설과 진입로로 훼손된 백두대간 마루금을 과거 지형도 등을 활용해 원형에 가깝게 복원한것은 물론, 자연친화적 공법을 적용해 생태계의 빠른 회복을 이끌어낸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아울러, 장기간에 걸쳐 체계적인 사후관리로 식생 천이가 안정적으로 진행돼 향후 유사 사업의 모범 사례로 확산 가능성이 크다는 점도 고려됐다.
최영태 산림청 산림보호국장은 “왕중왕전은 지난 20년간 우리나라 산림생태복원의 발전 과정을 국민과 함께 확인한 자리였다”면서 “앞으로도 우수 사례들이 널리 공유되어 산림복원 정책 전반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최종 결과는 산림청과 한국산지보전협회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시상식은 오는 11월 ‘산림복원 워크숍’에서 열릴 예정이다.
![]() |
경북 김천 바람재 복원 전(왼쪽)과 복원 후 모습. |
이번 기술대전은 2005년 첫 대회를 시작으로 지난 20년간 축적된 산림생태복원 성과를 돌아보는 한편, 역대 수상 사례지 중 가장 우수한 복원지를 선정하기 위해 마련됐다. 심사는 △상징성 △사업의 관리성 △적용기술의 효과성 △우수성 △확산 가능성 등을 전문가의 현장심사 70%와 국민투표 30%(2181명 참여)를 합산해 최종 선정했다.
대상을 차지한 김천 바람재로 옛 군시설지와 진입로를 산림복원한 구미국유림관리소가, 최우수상은 고성 향로봉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 내 군시설지를 산림복원한 양양국유림관리소와 지리산 노고단 군부대 및 야영장 지형·식생 복원을 한 지리산국립공원 전남사무소가 받았다. 우수상은 백두대간 육십령 마루금 생태축을 복원한 서부지방산림청과 해남 산이 구성지구 해안림을 복원한 전남도가 수상했다.
백두대간의 바람재 산림복원 사업은 지난 1970년대 군사시설과 진입로로 훼손된 백두대간 마루금을 과거 지형도 등을 활용해 원형에 가깝게 복원한것은 물론, 자연친화적 공법을 적용해 생태계의 빠른 회복을 이끌어낸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아울러, 장기간에 걸쳐 체계적인 사후관리로 식생 천이가 안정적으로 진행돼 향후 유사 사업의 모범 사례로 확산 가능성이 크다는 점도 고려됐다.
최영태 산림청 산림보호국장은 “왕중왕전은 지난 20년간 우리나라 산림생태복원의 발전 과정을 국민과 함께 확인한 자리였다”면서 “앞으로도 우수 사례들이 널리 공유되어 산림복원 정책 전반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최종 결과는 산림청과 한국산지보전협회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시상식은 오는 11월 ‘산림복원 워크숍’에서 열릴 예정이다.
이시각 주요뉴스
이시각 포토뉴스


- 한줄 의견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