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해외지원금 삭감에 2030년까지 1400만명 추가 사망 예측
한국경제 | 2025-07-01 21:30:02
한국경제 | 2025-07-01 21:30:02
미국 국제개발처(USAID)에 대한 대규모 예산 삭감으로 2030년까지 1400만명이
추가로 사망하고 말라리아, 호흡기 감염 등 각종 질병 퇴치 성과가 후퇴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30일(현지 시간) 파이낸셜타임스에 따르면 영국 의학 전문 학술지 란셋에 실린
논문은 USAID 예산 삭감 시나리오에 따라 2025년부터 2030년까지 매년 사망자
수가 178만 명에서 250만 명 더 발생할 것으로 내다봤다.
논문 공동 저자이자 바르셀로나 글로벌보건연구소 교수인 다비데 라셀라는 &qu
ot;이러한 구조적 예산 삭감은 수십 년 만에 세계 보건에 가장 중대한 후퇴 중
하나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이에 따라 수백만 건의 예방 가능한 사망이 발생하고, 특히 취
약 계층에 피해를 주며 보건 및 사회경제 발전을 저해할 위험이 있다"고
말했다.
논문에 따르면 2001년부터 2021년까지 USAID 지원 프로그램으로 약 9180만 명의
사망을 예방했다. 이중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HIV), 에이즈(AIDS) 사망자는 3
분의 2가량 감소해 2550만 명이 목숨을 구했다. 말라리아, 설사병, 소외 열대병
, 하기도 감염으로 인한 사망 3100만 건도 막았다.
마코 루비오 미 국무장관은 지난 3월 USAID 프로그램의 83%가 취소되고, 나머지
는 국무부가 운영할 것이라고 밝혔다. 2023년 USAID 예산은 약 424억 달러였다
. 예산 삭감 규모는 불확실하지만, 일부 예산 삭감 조치를 두고 법정 공방 중이
다.
로버트 F. 케네디 주니어 미 보건복지부 장관은 지난주 미국이 USAID를 통해 지
원해 온 세계백신면역연합(Gavi·가비)에 대한 자금 지원을 중단한다고
밝혔다. 미국은 지난해 약 3억 달러를 지원했다.
사우샘프턴대 글로벌 보건 수석연구원 마이클 헤드는 "미국의 새로운 국제
협력 접근법은 실제 생명을 위협하고 있다"며 "전 세계 보건 자금이
개혁돼야 한다는 데 동의하지 않을 사람은 없지만, 대규모 자금을 갑자기 철수
하는 방식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주장했다.
장지민 한경닷컴 객원기자 newsinfo@hankyung.com
ⓒ 한국경제 & hankyung.
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01577H20250701.214529S;U;20250701;215206
0408;0000;0000;0000
0000;0000
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
2분기 美자동차 판매 1.7%↑…관세반영전 선행수요
#####
지속적인 수요로 미국내 자동차 판매량이 2분기에 약 1.7% 증가했을 것으로 예
상됐다.
1일(현지시간) 로이터에 따르면, 시장조사업체 콕스 오토모티브는 2분기 미국
신차 판매량이 전년 동기 대비 약 1.7% 증가한 418만대에 달할 것으로 추산했다
. 그러나 업계 전문가들은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로 인해 앞으로 몇 달간 가격
압박을 받을 것으로 전망했다.
S&P 글로벌 모빌리티의 수석 분석가인 크리스 홉슨은 "신차 가격의 상승
가능성으로 하반기에 신차 구매가 둔화될 것으로 우려된다"고 말했다.
이 기간에 제너럴 모터스가 가장 많은 차량을 판매했으며 이어서 도요타 자동차
,포드 순으로 많이 팔렸다.
트럼프 대통령이 자동차에 대한 관세 부과를 결정하자 처음에는 가격이 상승하
기전 구매 수요가 늘어났지만, 관세가 반영돼 가격이 오르면 이 같은 수요 증가
는 사라질 것으로 예상된다.
콕스 오토모티브의 수석 경제학자인 찰리 체스브러는 “4월과 5월에 판매
를 촉진했던 선행 수요가 대부분 충족됐기 때문에 앞으로 몇 달간 자동차에 대
한 소비자 수요가 약해질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콕스 오토모티브에 따르면, 2분기에 테슬라는 작년 대비 2분기 자동차 판매량이
약 21% 감소했다.
관세는 주로 외국에서 생산되는 포드의 소형 매버릭 픽업트럭과 GM의 저렴한 쉐
보레 트랙스 크로스오버 등 수입 모델의 신차 평균 가격이 5만달러에 가까워지
면서 큰 타격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김정아 객원기자 kja@hankyung.com
ⓒ 한국경제 & hankyung.
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추가로 사망하고 말라리아, 호흡기 감염 등 각종 질병 퇴치 성과가 후퇴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30일(현지 시간) 파이낸셜타임스에 따르면 영국 의학 전문 학술지 란셋에 실린
논문은 USAID 예산 삭감 시나리오에 따라 2025년부터 2030년까지 매년 사망자
수가 178만 명에서 250만 명 더 발생할 것으로 내다봤다.
논문 공동 저자이자 바르셀로나 글로벌보건연구소 교수인 다비데 라셀라는 &qu
ot;이러한 구조적 예산 삭감은 수십 년 만에 세계 보건에 가장 중대한 후퇴 중
하나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이에 따라 수백만 건의 예방 가능한 사망이 발생하고, 특히 취
약 계층에 피해를 주며 보건 및 사회경제 발전을 저해할 위험이 있다"고
말했다.
논문에 따르면 2001년부터 2021년까지 USAID 지원 프로그램으로 약 9180만 명의
사망을 예방했다. 이중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HIV), 에이즈(AIDS) 사망자는 3
분의 2가량 감소해 2550만 명이 목숨을 구했다. 말라리아, 설사병, 소외 열대병
, 하기도 감염으로 인한 사망 3100만 건도 막았다.
마코 루비오 미 국무장관은 지난 3월 USAID 프로그램의 83%가 취소되고, 나머지
는 국무부가 운영할 것이라고 밝혔다. 2023년 USAID 예산은 약 424억 달러였다
. 예산 삭감 규모는 불확실하지만, 일부 예산 삭감 조치를 두고 법정 공방 중이
다.
로버트 F. 케네디 주니어 미 보건복지부 장관은 지난주 미국이 USAID를 통해 지
원해 온 세계백신면역연합(Gavi·가비)에 대한 자금 지원을 중단한다고
밝혔다. 미국은 지난해 약 3억 달러를 지원했다.
사우샘프턴대 글로벌 보건 수석연구원 마이클 헤드는 "미국의 새로운 국제
협력 접근법은 실제 생명을 위협하고 있다"며 "전 세계 보건 자금이
개혁돼야 한다는 데 동의하지 않을 사람은 없지만, 대규모 자금을 갑자기 철수
하는 방식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주장했다.
장지민 한경닷컴 객원기자 newsinfo@hankyung.com
ⓒ 한국경제 & hankyung.
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01577H20250701.214529S;U;20250701;215206
0408;0000;0000;0000
0000;0000
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
2분기 美자동차 판매 1.7%↑…관세반영전 선행수요
#####
지속적인 수요로 미국내 자동차 판매량이 2분기에 약 1.7% 증가했을 것으로 예
상됐다.
1일(현지시간) 로이터에 따르면, 시장조사업체 콕스 오토모티브는 2분기 미국
신차 판매량이 전년 동기 대비 약 1.7% 증가한 418만대에 달할 것으로 추산했다
. 그러나 업계 전문가들은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로 인해 앞으로 몇 달간 가격
압박을 받을 것으로 전망했다.
S&P 글로벌 모빌리티의 수석 분석가인 크리스 홉슨은 "신차 가격의 상승
가능성으로 하반기에 신차 구매가 둔화될 것으로 우려된다"고 말했다.
이 기간에 제너럴 모터스가 가장 많은 차량을 판매했으며 이어서 도요타 자동차
,포드 순으로 많이 팔렸다.
트럼프 대통령이 자동차에 대한 관세 부과를 결정하자 처음에는 가격이 상승하
기전 구매 수요가 늘어났지만, 관세가 반영돼 가격이 오르면 이 같은 수요 증가
는 사라질 것으로 예상된다.
콕스 오토모티브의 수석 경제학자인 찰리 체스브러는 “4월과 5월에 판매
를 촉진했던 선행 수요가 대부분 충족됐기 때문에 앞으로 몇 달간 자동차에 대
한 소비자 수요가 약해질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콕스 오토모티브에 따르면, 2분기에 테슬라는 작년 대비 2분기 자동차 판매량이
약 21% 감소했다.
관세는 주로 외국에서 생산되는 포드의 소형 매버릭 픽업트럭과 GM의 저렴한 쉐
보레 트랙스 크로스오버 등 수입 모델의 신차 평균 가격이 5만달러에 가까워지
면서 큰 타격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김정아 객원기자 kja@hankyung.com
ⓒ 한국경제 & hankyung.
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시각 주요뉴스
이시각 포토뉴스


- 한줄 의견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