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상호관세 유예 만료 앞두고 '숨고르기'…외인 '팔자'
한국경제 | 2025-07-02 09:21:00
한국경제 | 2025-07-02 09:21:00
코스피지수가 트럼프 행정부가 지정한 상호관세 유예 만료 기한을 앞두고 투자
심리가 위축되며 숨고르기에 나섰다.
2일 오전 9시8분 현재 코스피지수는 전일 대비 20.87포인트(0.68%) 하락한 306
8.78을 기록 중이다.
간밤 뉴욕증시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상호관세 발언, 트럼프 대통령과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 간의 갈등 등을 주시하며 혼조세를 나타
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플로리다주를 방문한 뒤 워싱턴DC로 돌아오는 전용기 안
에서 상호관세 유예 시한을 연장할 수 있냐는 취재진 질문에 "아니다. 유
예에 대해서는 생각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상호관세 유예 만료 시한은 오는 8일(현지시간)까지로 일주일 남은 상황이다.
트럼프 행정부는 상호관세 유예기간 각국과 무역 협상을 벌여왔는데 아직 영국
외에는 협상을 타결한 국가가 없다.
이 시각 유가증권시장에서 개인이 3600억원 순매수하고 있다.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2185억원과 1089억원 매도우위다.
코스피 시가총액 상위주들은 등락이 엇갈리고 있다. 삼성전자(-0.5%), SK하이닉
스(-2.63%), 삼성바이오로직스(-0.3%), LG에너지솔루션(-1.01%) 등이 하락하고
있다. 반면 현대차(0.95%), KB금융(1.17%), 기아(0.41%) 등은 상승하고 있다.
합병을 발표한 HD현대건설기계와 HD현대인프라코어는 장 초반 15.5%와 4.72%씩
오르고 있다. 최근 단기 급등세를 보였던 한화(-8.36%), LS(-7.06%), 노루홀딩
스(-5.1%) 등 지주사들의 주가는 약세다.
코스닥지수도 하락하고 있다. 이 시각 현재 코스닥지수는 0.18% 내린 782.24를
기록 중이다. 코스닥시장에선 외국인이 818억원 순매도를 나타내고 있다. 개인
과 기관은 각각 889억원과 21억원 매수우위다.
코스닥 시총 상위주들은 혼조세다. 알테오젠이 5%대 급등하고 있는 가운데 에코
프로비엠, 에코프로, HLB, 레인보우로보틱스, 파마리서치 등은 하락하고 있다.
원·달러 환율은 하락세다. 이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
은 전일 대비 0.9원 내린 1355원에 개장했다.
노정동 한경닷컴 기자 dong2@hankyung.com
ⓒ 한국경제 & hankyung.
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01618H20250702.092110S;1;20250702;092111
0101;0000;0000;0000
0000;0000
03264;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
'LG유플러스' 52주 신고가 경신, 7월 전략 - 셀온 나올 수 있지만 추가 상승 여지 있다 - 하나증권, BUY
#####
◆ 최근 애널리스트 분석의견
- 7월 전략 - 셀온 나올 수 있지만 추가 상승 여지 있다 - 하나증권, BUY
06월 27일 하나증권의 김홍식 애널리스트는 LG유플러스에 대해 "투자의견 매수
를 유지하며, 12개월 목표주가를 14,000원에서 16,000원으로 상향 조정한다. 최
근 시장 Multiple 상승과 금리 하락을 반영한 결과이다. LGU+ TP 16,000 원은
25년 추정 실적 기준 PBR 0.8배, 기대배당수익률 4.1%, 주주환원수익률 5.1%에
해당 한다. 7월만 보면 가격 부담이 존재해 경쟁사대비 투자 매력도가 낮다고
판단하나 여전히 중/장기적인 측면에서 보면 상승 여력이 높다고 평가한다. 추
천 사유는 1) 밸류업 재료가 본격 가세 중이고, 2) 일회성 마케팅 이벤트를 감
안 시 2분기 실적도 양호할 전망이며, 3) 상반기 실적 흐름을 감안 시 2025년에
는 당초 예상대로 두 자리 수 영업이익 증가가 유력 해졌고, 4) 여전히 저평가
상황이기 때문이다. 자사주 소각 및 추가 매입/2분기 실적 호전 기대감이 이미
주가에 기반영되어 있어 경영진 주주환원정책/실적 발표 시 단기 셀온 가능 성
이 존재한다. 그러나 일회성 이벤트가 아닌 장기 주주이익환원 정책 강화, 본격
실적 호전 사이클 진입 가능성이 높은 바 중/장기 매수 전략은 여전히 유효해
보인다."이라고 분석하며, 투자의견 'BUY', 목표주가 '16,000원'을 제시했다.
한경로보뉴스
이 기사는 한국경제신문과 금융 AI 전문기업 씽크풀이 공동 개발한 기사 자동생
성 알고리즘에 의해 실시간으로 작성된 것입니다.
ⓒ 한국경제 & hankyung.
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심리가 위축되며 숨고르기에 나섰다.
2일 오전 9시8분 현재 코스피지수는 전일 대비 20.87포인트(0.68%) 하락한 306
8.78을 기록 중이다.
간밤 뉴욕증시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상호관세 발언, 트럼프 대통령과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 간의 갈등 등을 주시하며 혼조세를 나타
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플로리다주를 방문한 뒤 워싱턴DC로 돌아오는 전용기 안
에서 상호관세 유예 시한을 연장할 수 있냐는 취재진 질문에 "아니다. 유
예에 대해서는 생각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상호관세 유예 만료 시한은 오는 8일(현지시간)까지로 일주일 남은 상황이다.
트럼프 행정부는 상호관세 유예기간 각국과 무역 협상을 벌여왔는데 아직 영국
외에는 협상을 타결한 국가가 없다.
이 시각 유가증권시장에서 개인이 3600억원 순매수하고 있다.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2185억원과 1089억원 매도우위다.
코스피 시가총액 상위주들은 등락이 엇갈리고 있다. 삼성전자(-0.5%), SK하이닉
스(-2.63%), 삼성바이오로직스(-0.3%), LG에너지솔루션(-1.01%) 등이 하락하고
있다. 반면 현대차(0.95%), KB금융(1.17%), 기아(0.41%) 등은 상승하고 있다.
합병을 발표한 HD현대건설기계와 HD현대인프라코어는 장 초반 15.5%와 4.72%씩
오르고 있다. 최근 단기 급등세를 보였던 한화(-8.36%), LS(-7.06%), 노루홀딩
스(-5.1%) 등 지주사들의 주가는 약세다.
코스닥지수도 하락하고 있다. 이 시각 현재 코스닥지수는 0.18% 내린 782.24를
기록 중이다. 코스닥시장에선 외국인이 818억원 순매도를 나타내고 있다. 개인
과 기관은 각각 889억원과 21억원 매수우위다.
코스닥 시총 상위주들은 혼조세다. 알테오젠이 5%대 급등하고 있는 가운데 에코
프로비엠, 에코프로, HLB, 레인보우로보틱스, 파마리서치 등은 하락하고 있다.
원·달러 환율은 하락세다. 이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
은 전일 대비 0.9원 내린 1355원에 개장했다.
노정동 한경닷컴 기자 dong2@hankyung.com
ⓒ 한국경제 & hankyung.
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01618H20250702.092110S;1;20250702;092111
0101;0000;0000;0000
0000;0000
03264;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
'LG유플러스' 52주 신고가 경신, 7월 전략 - 셀온 나올 수 있지만 추가 상승 여지 있다 - 하나증권, BUY
#####
◆ 최근 애널리스트 분석의견
- 7월 전략 - 셀온 나올 수 있지만 추가 상승 여지 있다 - 하나증권, BUY
06월 27일 하나증권의 김홍식 애널리스트는 LG유플러스에 대해 "투자의견 매수
를 유지하며, 12개월 목표주가를 14,000원에서 16,000원으로 상향 조정한다. 최
근 시장 Multiple 상승과 금리 하락을 반영한 결과이다. LGU+ TP 16,000 원은
25년 추정 실적 기준 PBR 0.8배, 기대배당수익률 4.1%, 주주환원수익률 5.1%에
해당 한다. 7월만 보면 가격 부담이 존재해 경쟁사대비 투자 매력도가 낮다고
판단하나 여전히 중/장기적인 측면에서 보면 상승 여력이 높다고 평가한다. 추
천 사유는 1) 밸류업 재료가 본격 가세 중이고, 2) 일회성 마케팅 이벤트를 감
안 시 2분기 실적도 양호할 전망이며, 3) 상반기 실적 흐름을 감안 시 2025년에
는 당초 예상대로 두 자리 수 영업이익 증가가 유력 해졌고, 4) 여전히 저평가
상황이기 때문이다. 자사주 소각 및 추가 매입/2분기 실적 호전 기대감이 이미
주가에 기반영되어 있어 경영진 주주환원정책/실적 발표 시 단기 셀온 가능 성
이 존재한다. 그러나 일회성 이벤트가 아닌 장기 주주이익환원 정책 강화, 본격
실적 호전 사이클 진입 가능성이 높은 바 중/장기 매수 전략은 여전히 유효해
보인다."이라고 분석하며, 투자의견 'BUY', 목표주가 '16,000원'을 제시했다.
한경로보뉴스
이 기사는 한국경제신문과 금융 AI 전문기업 씽크풀이 공동 개발한 기사 자동생
성 알고리즘에 의해 실시간으로 작성된 것입니다.
ⓒ 한국경제 & hankyung.
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시각 주요뉴스
이시각 포토뉴스


- 한줄 의견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