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에프씨, 무상증자 결정에 52주 최고가 경신
한국경제 | 2025-08-05 09:27:54
한국경제 | 2025-08-05 09:27:54
무상증자를 결정한 엔에프씨의 주가가 급등하고 있다.
5일 오전 9시26분 현재 엔에프씨는 전일 대비 1000원(9.47%) 오른 1만2560원에
거래되고 있다. 주가는 장중 1만2980원까지 치솟기도 했다. 52주 최고가다.
무상증자 소식이 상승세에 불을 붙였다. 엔에프씨는 전날 보통주 1주당 1주를
신주 배정하는 무상증자를 결정했다고 공시했다. 신주배정기준일은 오는 20일이
며 신주 상장예정일은 오는 9월 8일이다.
무상증자는 주주 입장에서 추가로 돈을 들이지 않으면서 더 많은 주식을 가질
수 있고 거래도 활성화할 수 있어 호재로 해석되는 경향이 있다.
진영기 한경닷컴 기자 young71@hankyung.com
ⓒ 한국경제 & hankyung.
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03090H20250805.092901S;1;20250805;092904
0400;0119;0000;0000
0000;0000
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
적자늪 깨끗한나라, 12년만에 CB발행…대주주의 자본 ‘수혈’도
#####
이 기사는 08월 04일 11:07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제지회사 깨끗한나라가 12년만에 120억원 규모의 전환사채(CB)를 발행하며 외부
자금 조달에 나섰다. 지난달 추진했던 공모 회사채 발행이 시장 수요 부족으로
좌절된데 다른 것이다. 대주주도 사재를 털어 자금 대여에 나서는 등 유동성
위기 해소를 위해 절치부심하는 모습이다. 전환사채 발행으로 자금조달
4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깨끗한나라는 지난달 21일 연 2% 금리로 120억
원 규모의 전환사채를 발행했다. 전환가액은 2200원으로 최근 시장에서 거래되
는 시세와 비슷하다. 전환시 발행되는 주식 수는 540만5405주로 전체 주식 수의
14.37%에 해당한다.
전환 청구는 2026년 7월 29일부터 2030년 6월 29일까지 할 수 있고, 조기상환청
구권(풋옵션)도 포함됐다. 이번 조달한 자금은 펄프와 종이자원 매입 등 원자재
매입에 사용될 예정이다.
전환사채에 투자한 곳은 시너지아이비(65억원)와 하나은행(40억원), 신한투자증
권(15억원) 등이다. 전환사채는 이자를 받으며 일반 채권처럼 운용하다가 주가
가 전환가를 초과하면 주식으로 전환해 자본 차익을 기대할 수 있는 투자상품이
다. 통상 회사채 및 기업어음 발행이 어려운 기업이 전환사채를 통해 자금을 조
달한다.
앞서 깨끗한나라는 올 2월에도 연 4.6% 금리로 사모 영구채 300억원을 발행해
자금을 조달하기도 했다. 사모채는 공모채와 달리 투자자 수요예측 절차를 생략
할 수 있어 미매각에 따른 평판 리스크가 적다는 장점이 있다.
깨끗한나라는 지난해 12월 LG화학 출신의 이동열 대표가 새로 선임된 이후 자금
조달 전략에 변화를 주고 있다. 이 대표는 2022년 깨끗한나라의 최고재무책임자
(CFO)로 선임되며 합류했다. 대주주도 사재 출연
깨끗한나라의 재무 건전성은 2022년 이후 악화되고 있다. 깨끗한나라의 사업 부
분은 제지와 생활용품으로 나눌 수 있는데, 제지 부문이 2022년 4분기 이후 계
속 영업적자를 기록하며 수익성이 악화되고 있다.
2023년 매출 5149억원, 영업손실 189억원을 기록한 뒤 지난해에는 매출 5370억
원, 영업손실 9억원으로 2년 연속 적자를 이어가고 있다. 올해 1분기에도 매출
1308억원, 영업손실 39억원으로 손실 폭이 커지고 있다.
차입금 부담 역시 늘고 있다. 2021년말 2343억원이던 총차입금 규모는 지난 3월
기준 3329억원으로 증가했다. 이에 따라 신용등급도 하락했다. 한국신용평가는
지난해 2월 깨끗한나라의 신용등급 전망으로 BBB+(안정적)에서 BBB+(부정적)으
로 조정한 데 이어 같은 해 12월에는 등급 자체를 BBB+(부정적)에서 BBB(안정적
)로 한 단계 하향 조정했다.
이같은 유동성 위기를 타개하기 위해 회사 오너들도 분주한 모습이다. 회사 지
분 4.9% 가량을 보유한 구미정씨는 올 1분기 깨끗한나라에 100억원의 자금을 대
여한 것으로 공시됐다. 연 이자율은 4.6%다. 구씨는 최병민 깨끗한나라의 아내
이며, 회사 경영을 맡고 있는 최현수 깨끗한나라 사장의 모친이다.
LG그룹 창업주인 고 구인회 명예회장의 손녀이자 고 구자경 명예회장의 딸이기
도 하다. 구광모 LG그룹 회장에게는 고모다. 구씨의 친오빠인 구본능 희성그룹
회장은 깨끗한나라가 어려움에 처했던 2009년과 2018년에도 대규모 자금을 투
입해 회사를 도운 바 있다.
배정철 기자 bjc@hankyung.com
ⓒ 한국경제 & hankyung.
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5일 오전 9시26분 현재 엔에프씨는 전일 대비 1000원(9.47%) 오른 1만2560원에
거래되고 있다. 주가는 장중 1만2980원까지 치솟기도 했다. 52주 최고가다.
무상증자 소식이 상승세에 불을 붙였다. 엔에프씨는 전날 보통주 1주당 1주를
신주 배정하는 무상증자를 결정했다고 공시했다. 신주배정기준일은 오는 20일이
며 신주 상장예정일은 오는 9월 8일이다.
무상증자는 주주 입장에서 추가로 돈을 들이지 않으면서 더 많은 주식을 가질
수 있고 거래도 활성화할 수 있어 호재로 해석되는 경향이 있다.
진영기 한경닷컴 기자 young71@hankyung.com
ⓒ 한국경제 & hankyung.
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03090H20250805.092901S;1;20250805;092904
0400;0119;0000;0000
0000;0000
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
적자늪 깨끗한나라, 12년만에 CB발행…대주주의 자본 ‘수혈’도
#####
이 기사는 08월 04일 11:07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제지회사 깨끗한나라가 12년만에 120억원 규모의 전환사채(CB)를 발행하며 외부
자금 조달에 나섰다. 지난달 추진했던 공모 회사채 발행이 시장 수요 부족으로
좌절된데 다른 것이다. 대주주도 사재를 털어 자금 대여에 나서는 등 유동성
위기 해소를 위해 절치부심하는 모습이다. 전환사채 발행으로 자금조달
4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깨끗한나라는 지난달 21일 연 2% 금리로 120억
원 규모의 전환사채를 발행했다. 전환가액은 2200원으로 최근 시장에서 거래되
는 시세와 비슷하다. 전환시 발행되는 주식 수는 540만5405주로 전체 주식 수의
14.37%에 해당한다.
전환 청구는 2026년 7월 29일부터 2030년 6월 29일까지 할 수 있고, 조기상환청
구권(풋옵션)도 포함됐다. 이번 조달한 자금은 펄프와 종이자원 매입 등 원자재
매입에 사용될 예정이다.
전환사채에 투자한 곳은 시너지아이비(65억원)와 하나은행(40억원), 신한투자증
권(15억원) 등이다. 전환사채는 이자를 받으며 일반 채권처럼 운용하다가 주가
가 전환가를 초과하면 주식으로 전환해 자본 차익을 기대할 수 있는 투자상품이
다. 통상 회사채 및 기업어음 발행이 어려운 기업이 전환사채를 통해 자금을 조
달한다.
앞서 깨끗한나라는 올 2월에도 연 4.6% 금리로 사모 영구채 300억원을 발행해
자금을 조달하기도 했다. 사모채는 공모채와 달리 투자자 수요예측 절차를 생략
할 수 있어 미매각에 따른 평판 리스크가 적다는 장점이 있다.
깨끗한나라는 지난해 12월 LG화학 출신의 이동열 대표가 새로 선임된 이후 자금
조달 전략에 변화를 주고 있다. 이 대표는 2022년 깨끗한나라의 최고재무책임자
(CFO)로 선임되며 합류했다. 대주주도 사재 출연
깨끗한나라의 재무 건전성은 2022년 이후 악화되고 있다. 깨끗한나라의 사업 부
분은 제지와 생활용품으로 나눌 수 있는데, 제지 부문이 2022년 4분기 이후 계
속 영업적자를 기록하며 수익성이 악화되고 있다.
2023년 매출 5149억원, 영업손실 189억원을 기록한 뒤 지난해에는 매출 5370억
원, 영업손실 9억원으로 2년 연속 적자를 이어가고 있다. 올해 1분기에도 매출
1308억원, 영업손실 39억원으로 손실 폭이 커지고 있다.
차입금 부담 역시 늘고 있다. 2021년말 2343억원이던 총차입금 규모는 지난 3월
기준 3329억원으로 증가했다. 이에 따라 신용등급도 하락했다. 한국신용평가는
지난해 2월 깨끗한나라의 신용등급 전망으로 BBB+(안정적)에서 BBB+(부정적)으
로 조정한 데 이어 같은 해 12월에는 등급 자체를 BBB+(부정적)에서 BBB(안정적
)로 한 단계 하향 조정했다.
이같은 유동성 위기를 타개하기 위해 회사 오너들도 분주한 모습이다. 회사 지
분 4.9% 가량을 보유한 구미정씨는 올 1분기 깨끗한나라에 100억원의 자금을 대
여한 것으로 공시됐다. 연 이자율은 4.6%다. 구씨는 최병민 깨끗한나라의 아내
이며, 회사 경영을 맡고 있는 최현수 깨끗한나라 사장의 모친이다.
LG그룹 창업주인 고 구인회 명예회장의 손녀이자 고 구자경 명예회장의 딸이기
도 하다. 구광모 LG그룹 회장에게는 고모다. 구씨의 친오빠인 구본능 희성그룹
회장은 깨끗한나라가 어려움에 처했던 2009년과 2018년에도 대규모 자금을 투
입해 회사를 도운 바 있다.
배정철 기자 bjc@hankyung.com
ⓒ 한국경제 & hankyung.
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시각 주요뉴스
이시각 포토뉴스


- 한줄 의견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