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워치 | 2025-07-15 06:44:02
[비즈니스워치] 김준희 기자 kjun@bizwatch.co.kr
지난 2020년 이후 5년 만에 강남권 핵심 입지에서 맞대결을 펼치는 삼성물산 건설부문과 대우건설이 치열한 공방전을 펼치고 있다. 두 건설사는 서울 강남구 일원동 일대 '개포우성7차아파트 재건축정비사업'에 출사표를 던지고 한 발짝도 물러설 수 없다는 각오를 보이고 있다.
특히 사업비 조달 금리 및 외관 특화, 연계 설계 등 조건에서 양사 간 확연한 차이가 드러나는 만큼 조합원들의 선택이 어느 건설사로 향할지 추이가 주목된다.

15일 정비업계에 따르면 삼성물산과 대우건설은 지난 3일부터 개포우성7차 단지 내에 홍보부스를 운영하고 있다. 정식 홍보기간을 앞두고 조합원들의 궁금증을 시공사 입찰 참여사들이 직접 해소해달라는 취지에서다. 삼성물산은 관리사무소 앞 벤치, 대우건설은 107동 앞 벤치 공간에 각각 자리 잡고 조합원들을 대상으로 열띤 홍보전을 펼치고 있다.
▷관련기사: [르포]"폭염보다 뜨겁다"…개포우성7차 재건축 '불꽃 수주전'(7월10일)
양사 모두 수주 의지가 남다른 현장인 만큼 부스 내에서 신경전도 치열했다. 특히 사업비 조달 금리를 비롯해 외관 특화, 연계 설계 등 대다수 사업조건이 대조적으로 드러난다. 상대의 조건에 대한 반박 주장도 엇갈리는 등 첨예한 대립각을 세우고 있다.
양사 간 주요 쟁점 중 첫 번째는 '사업비 조달 금리'다. 지난달 20일 제출된 양사 입찰 제안서를 기준으로 한 비교표에 따르면 삼성물산은 조합 총회에서 의결한 사업비 전액(한도 없음)을 자체 신용등급(AA+)을 바탕으로 한 금융조달시점 시중 최저금리를 적용한다고 명시했다.
대우건설은 입찰보증금 300억원과 총회에서 의결한 필수사업비 전액을 각각 양도성예금증서(CD)+0.0%로 조달하겠다고 제시했다.
삼성물산은 대우건설이 이를 필수사업비 300억원에 한정해 적용하는 것이며 그 외 사업비에 대해서는 신용등급 차이에 따라 자사보다 높은 금리가 적용된다고 지적한다. 반면 대우건설은 입찰보증금 300억원을 비롯해 조합이 총회에서 의결하는 필수사업비 전액에 대해 해당 금리 조건을 적용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두 번째 쟁점은 '스카이브릿지'다. 대우건설은 외관 설계에 2개 동 최상층을 잇는 스카이브릿지를 포함한 반면 삼성물산은 이를 적용하지 않았다.
삼성물산은 최근 개포주공5단지, 개포주공6·7단지 특별계획구역 건축심의에서 스카이브릿지 계획안이 통과되지 않았다며 인허가 불가능이 예상된다는 설명이다. 이에 대해 대우건설은 서초 푸르지오 써밋, 용산 드래곤시티 등에 이미 준공 사례가 있다며 인허가가 가능한 사안이라고 반박하고 있다.
세 번째 쟁점은 '대청역 직결 여부'다. 대우건설은 단지와 대청역을 직통으로 연결하고 해당 공사비 80억원까지 직접 부담한다는 계획이다. 그러나 삼성물산은 대청역 직결이 정비계획에 고시된 정비기반시설(연결녹지)을 임의 변경한 제안으로 서울시 기준 및 조합 입찰지침을 위반했다는 주장이다.
이에 대해 대우건설은 대청역 직결을 검토 중인 공간은 연결녹지에 해당하지 않아 충분히 실현 가능하다는 입장이다. 대우건설 관계자는 "대청역 연결과 관련한 모든 사업 리스크를 검토했고 내부적으로는 문제 없다고 판단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외에도 △전용면적 3.3㎡당 공사비(삼성물산 868만9000원·대우건설 879만6000원) △공사기간(삼성물산 43개월·대우건설 47개월) △공사비 지급방법(삼성물산 분양불·대우건설 분양수입금 내 기성불) △가구수(삼성물산 1112가구·대우건설 1130가구) 등 다수 사업조건에서 차이를 보이고 있어 이에 대한 조합원들의 판단이 수주전 승패 여부를 좌우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지난달 발표된 6·27 대책으로 인해 재건축·재개발 등 정비사업 기본이주비 한도가 6억원으로 제한된 바 있다. 각 건설사가 제시하는 추가이주비 조건이 시공사 선정에 있어 관건이 될 것이라는 게 업계 시선이다. ▷관련기사: 정비사업 이주비도 6억에 묶여…"비싼 재건축 불리"(7월2일)
한편 양사 간 수주 경쟁이 격화하면서 조합 또한 이를 예의주시하는 모양새다. 마종혁 개포우성7차 재건축 조합장은 "최대한 공정하고 투명한 경쟁을 유도하기 위해 홍보부스를 마련했다"며 "(양측 공방전이 치열해지는 상황에 대해서는) 모두 자제해줄 것과 함께 홍보 과정에서 가능한 팩트만 갖고 이야기해달라고 당부하고 있다"고 말했다.
ⓒ비즈니스워치(www.bizwatch.co.kr) -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한줄 의견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