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목현미경]신세계푸드_위험대비 수익률 -2.7로 상위권, 업종지수보다 높아
타임앤포인트 | 2021-07-29 10:58:52
                
	
	타임앤포인트 | 2021-07-29 10:58:52
![]()  |   - 위험대비 수익률 -2.7로 상위권, 업종지수보다 높아 - 관련종목들 상승 우세, 서비스업업종 +0.12% - 증권사 목표주가 135,000원, 현재주가 대비 37% 추가 상승여력 - 기관/개인 순매수, 외국인은 순매도(한달누적) - 상장주식수 대비 거래량은 0.15%로 적정수준 - 외국인투자자의 거래참여 활발, 거래비중 17.13% - 투심 약세 ,거래량 침체, 현재주가는 보통 - 주요 매물구간인 92,800원선이 지지대로 작용.  |   
| 위험대비 수익률 -2.7로 상위권, 업종지수보다 높아  29일 오전 10시50분 현재 전일대비 1.98% 오른 97,900원을 기록하고 있는 신세계푸드는 지난 1개월간 3.55% 하락했다. 같은 기간동안에 위험를 나타내는 지표인 표준편차는 1.3%를 기록했다. 이는 코스피 업종내에서 주요종목들과 비교해볼 때 신세계푸드의 주가가 월간기준으로 선방하는 모습을 보이면서 변동성도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을 유지했다는 뜻이다. 최근 1개월을 기준으로 신세계푸드의 위험을 고려한 수익률은 -2.7을 기록했는데, 주가 약세를 보였지만 변동성이 낮았기 때문에 위험대비 수익률은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을 유지했다. 또한 코스피업종의 위험대비수익률 -3.0보다도 높았기 때문에 업종대비 성과도 긍정적이라고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업종과 시장을 비교해보면 신세계푸드가 속해 있는 코스피업종은 서비스업지수보다 변동성과 수익률이 모두 낮은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다시 말해서 동업종의 탄력은 약한 반면 하락시에도 지수보다 낙폭이 작다는 의미이다.  | 
     | 
| 위험 | 수익율 | 위험대비 수익율 | ||||
| 순위 | % | 순위 | % | 순위 | ||
| SBS미디어홀딩스 | 1위 | 1.8% | 1위 | 7.6% | 1위 | 4.1 | 
| 대교 | 2위 | 1.5% | 4위 | -8.7% | 3위 | -5.7 | 
| 제일파마홀딩스 | 3위 | 1.4% | 5위 | -16.7% | 5위 | -11.9 | 
| 신세계푸드 | 4위 | 1.3% | 2위 | -3.6% | 2위 | -2.7 | 
| 이리츠코크렙 | 5위 | 0.4% | 3위 | -4.2% | 4위 | -10.4 | 
| 서비스업 | - | 0.8% | - | -1.0% | - | -1.2 | 
| 코스피 | - | 0.6% | - | -1.8% | - | -3.0 | 
| 관련종목들 상승 우세, 서비스업업종 +0.12% | 
| 이리츠코크렙 |  5,950원 0 (0.00%) | SBS미디어홀딩스 |  2,280원 0 (0.00%) | 
| 대교 |  4,830원 ▲20(+0.42%) | 제일파마홀딩스 |  21,200원 ▲100(+0.47%) | 
| 증권사 목표주가 135,000원, 현재주가 대비 37% 추가 상승여력 | 
| 상장주식수 대비 거래량은 0.15%로 적정수준 최근 한달간 신세계푸드의 상장주식수 대비 거래량을 비교해보니 일별 매매회전율이 0.15%로 집계됐다. 그리고 동기간 장중 저점과 고점의 차이인 일평균 주가변동률을 2.25%를 나타내고 있다. 외국인투자자의 거래참여 활발, 거래비중 17.13% 최근 한달간 주체별 거래비중을 살펴보면 개인이 69.18%로 가장 높은 참여율을 보였고, 외국인이 17.13%를 보였으며 기관은 12.89%를 나타냈다. 그리고 최근 5일간 거래비중은 개인 비중이 67.7%로 가장 높았고, 기관이 18.02%로 그 뒤를 이었다. 외국인은 13.23%를 나타냈다.  | 
| 투자주체별 누적순매수 | 투자주체별 매매비중 | 
![]()  | ![]()  | 
| *기관과 외국인을 제외한 개인 및 기타법인 등의 주체는 모두 개인으로 간주하였음 | 
| 투심 약세 ,거래량 침체, 현재주가는 보통 | 
| 현주가를 최근의 주가변화폭을 기준으로 본다면 특정 방향으로의 추세는 확인되지 않고, 거래량 지표로 볼 때는 침체국면에 머물러 있다. 실리적인 측면에서는 약세흐름에 투자자들은 불안감을 느끼고 있고 이동평균선들의 배열도를 분석을 해보면 중기 추세선이 하락반전한 이후에 저항선 역할을 하며 단기반등을 억제하고 있다. | 
| 침체 | 약세 | 보통 | 강세 | 과열 | |
| 주가 | 
| 거래량 | 
| 투자심리 | 
| 주요 매물구간인 92,800원선이 지지대로 작용. | 
이시각 주요뉴스
이시각 포토뉴스
	
	- 한줄 의견이 없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