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실시간 속보창 보기
  • 검색 전체 종목 검색

뉴스속보

자고나면 뛰는 대출금리…주택담보대출 5%대 눈앞
한국경제 | 2021-10-17 11:54:16
정부의 대출 죄기에 따라 가계대출 문턱이 높아지고 시장금리가 급등하면서 은
행 대출금리가 빠르게 치솟고 있다. 주요 은행의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약 한 달
새 0.5%포인트 올라 5%대 진입을 눈앞에 뒀다. 지난 8월만 해도 고신용자라면
어렵지 않게 받을 수 있었던 2%대 금리는 자취를 감췄다.

대출 금리 상승세는 앞으로도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금융당국이 전세대출을
제외한 가계대출 관리 강화에 연일 드라이브를 걸고 있는데다 한국은행도 다음
달 기준금리를 한 차례 더 인상할 가능성이 높다.

17일 금융권에 따르면 국민·신한·하나·우리은행의 주택
담보대출 변동금리(신규취급액 코픽스 기준)는 18일 기준 연 3.031~4.67% 수준
이다. 8월 말(연 2.62~4.19%)에 비해 불과 한 달 반 사이에 0.41~0.48%포인트
올랐다.

주택담보대출 혼합형(고정형) 금리도 같은 기간 연 2.92~4.42%에서 연 3.14~4
.95%로 올랐다. 최고 금리는 0.53%포인트 뛰어 5%대 금리에 근접했다. 시장금리
급등에 은행들 가산·우대금리 조정
가파른 대출 금리 상승세 뒤에는 우선 시장금리 급등이 있다. 지난 8월 한국은
행 기준금리 상승 이후 수신 금리가 소폭 오른 데 이어 물가 상승의 영향으로
시장금리가 빠르게 오르고 있다. 은행 입장에서는 대출 원가가 오른 셈이어서
이와 연동한 대출 금리도 따라 오르게 된다.

은행권 주택담보대출 변동금리의 기준이 되는 신규 코픽스(COFIX·자금
조달비용지수)는 9월 1.16%로 전달(1.02%)보다 0.14%포인트 뛰었다. 2017년 12
월(0.15%포인트) 이후 가장 큰 상승폭이다.

코픽스는 국내 8개 은행이 조달한 자금의 금리를 가중평균한 값이다. 은행이
실제 취급한 예적금과 금융채·양도성예금증서 등의 금리 변동이 반영된
다. 코픽스가 올랐다는 것은 은행이 대출에 쓸 자금을 조달하는 데 드는 비용이
전보다 늘었다는 뜻이어서 그만큼 대출 금리도 오르게 된다.

주택담보대출 변동금리의 또 다른 지표인 금융채 금리도 연일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금융투자협회 채권정보센터에 따르면 은행채 5년물(AAA) 금리는 지난 8
월 말 1.891%에서 15일 현재 2.342%로 0.451%포인트 올랐다.

하지만 이보다 대출 금리를 더 빠르게 밀어올리는 것은 은행별 가산·우
대금리 축소 조치다. 은행들은 금융당국의 가계대출 총량 규제에 따라 대출 증
가세를 억제하기 위해 가산금리를 올리고 우대금리를 대폭 깎는 방식으로 대출
금리를 잇달아 올리고 있다. 기준금리 추가인상에 가계부채 죄기도 계속
대출금리 상승세 더 이어질 듯
대출 금리 상승세는 한동안 이어질 전망이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지난 1
5일 국정감사에서 "(한국은행의) 경제 예상에 따르면 11월에 기준금리를
인상해도 큰 어려움이 없지 않을까 예상한다"며 사실상 기준금리 추가 인
상을 예고했다.

이에 따라 대출자의 이자 부담도 늘어날 수밖에 없다. 한은 분석에 따르면 기
준금리가 연내 추가로 0.25%포인트 오를 경우 가계의 연간 이자 부담은 지난해
말보다 5조8000억원 더 늘어날 것으로 추산됐다. 대출자 1인당 연간 이자 부담
규모는 같은 기간 271만원에서 301만원으로 30만원 더 늘어난다.

다만 이는 지난 8월 0.25%포인트 인상에 이어 오는 11월 추가 인상으로 가계
대출금리가 올해 총 0.5%포인트 오르는 것을 가정한 결과다. 기준금리보다 실제
가계에 적용되는 대출금리의 상승폭이 더 크다는 점을 감안하면 실제 대출자가
부담하는 이자는 이보다 더 많이 늘 것으로 보인다.

정부도 가계대출 고삐를 더욱 죄겠다는 방침이다. 금융당국은 최근 실수요 중
심의 전세대출은 연말까지 가계대출 총량 관리(연 증가율 6%대)에서 제외해주는
대신 나머지 가계대출에 대한 관리는 더욱 강화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냈다.

금융당국은 다음주께 추가 가계부채 관리 대책을 내놓을 예정이다. 대출 종류
를 불문하고 대출자의 전체 대출 원리금 규모를 소득 대비 40% 이내로 줄이는
개인별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를 앞당겨 확대 도입하는 방안이 유력하
게 거론된다.

빈난새 기자 binthere@hankyung.com


ⓒ 한국경제 & hankyung.
com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시각 주요뉴스
  • 한줄 의견이 없습니다.

한마디 쓰기현재 0 / 최대 1000byte (한글 500자, 영문 1000자)

등록

※ 광고, 음란성 게시물등 운영원칙에 위배되는 의견은 예고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