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 ‘블록체인 기반 배터리 전주기 관리’ 구현한다
파이낸셜뉴스 | 2025-08-07 19:05:03
파이낸셜뉴스 | 2025-08-07 19:05:03
과기정통부 공공사업 공모 선정
34억 예산 들여 플랫품 구축·실증
전기차 배터리 이력을 여권처럼 관리하는 플랫폼이 블록체인 기술로 구현된다.
부산시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이 주관하는 '2025년 블록체인 공공분야 집중사업' 공모에 시가 제안한 '블록체인 기반 배터리 여권 플랫폼 구축' 사업이 최종 선정됐다고 7일 밝혔다.
블록체인 기반 배터리 여권 플랫폼 구축은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배터리 전 주기 시스템을 구축하고 실증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이다.
이번 공모 선정으로 시는 34억6000만원의 예산을 들여 전기차 배터리의 제조부터 운행, 사용후 배터리까지 전 주기 이력을 통합 관리하는 '블록체인 기반 배터리 여권 플랫폼'을 구축한다. 배터리의 제작정보, 운행이력, 성능, 잔존수명 등 주요 데이터를 투명하게 수집·관리할 수 있게 된다.
시 소재 전기차 2500대 및 관련 배터리 기업을 대상으로 실증이 추진된다.
시를 주관기관으로 부산산학융합원, 포항시, 한국전기차산업협회가 참여하고 한국인터넷진흥원의 평가 공모를 통해 선정된 민간사업자인 ㈜피엠그로우 컨소시엄이 사업을 수행한다.
이를 통해 유럽연합(EU)이 모든 제품을 여권처럼 관리하도록 의무화한 제도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방침이다.
박형준 시장은 "이번 사업을 통해 지역 특화 배터리 여권 플랫폼의 선도적 모델을 구축해 지역 내 배터리 관련 기업들의 경쟁력을 확보하게 될 것"이라며 "나아가 부산이 배터리 데이터 통합 관리의 거점지역이 되도록 산업 생태계를 강화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bsk730@fnnews.com 권병석 기자
34억 예산 들여 플랫품 구축·실증
![]() |
전기차 주차장에서 충전하고 있는 전기차. 연합뉴스 |
부산시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이 주관하는 '2025년 블록체인 공공분야 집중사업' 공모에 시가 제안한 '블록체인 기반 배터리 여권 플랫폼 구축' 사업이 최종 선정됐다고 7일 밝혔다.
블록체인 기반 배터리 여권 플랫폼 구축은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배터리 전 주기 시스템을 구축하고 실증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이다.
이번 공모 선정으로 시는 34억6000만원의 예산을 들여 전기차 배터리의 제조부터 운행, 사용후 배터리까지 전 주기 이력을 통합 관리하는 '블록체인 기반 배터리 여권 플랫폼'을 구축한다. 배터리의 제작정보, 운행이력, 성능, 잔존수명 등 주요 데이터를 투명하게 수집·관리할 수 있게 된다.
시 소재 전기차 2500대 및 관련 배터리 기업을 대상으로 실증이 추진된다.
시를 주관기관으로 부산산학융합원, 포항시, 한국전기차산업협회가 참여하고 한국인터넷진흥원의 평가 공모를 통해 선정된 민간사업자인 ㈜피엠그로우 컨소시엄이 사업을 수행한다.
이를 통해 유럽연합(EU)이 모든 제품을 여권처럼 관리하도록 의무화한 제도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방침이다.
박형준 시장은 "이번 사업을 통해 지역 특화 배터리 여권 플랫폼의 선도적 모델을 구축해 지역 내 배터리 관련 기업들의 경쟁력을 확보하게 될 것"이라며 "나아가 부산이 배터리 데이터 통합 관리의 거점지역이 되도록 산업 생태계를 강화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bsk730@fnnews.com 권병석 기자
이시각 주요뉴스
이시각 포토뉴스


- 한줄 의견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