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실시간 속보창 보기
  • 검색 전체 종목 검색

주요뉴스

[마켓인사이트][단독] 'M&A의 힘'..AJ렌터카 링커블 인수해 카셰어링 회사로 변신
한국경제 | 2018-04-17 17:42:43
≪이 기사는 04월17일(04:41)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국내 3위 렌터카 업체인 AJ렌터카가 차량공유 서비스(카셰어링) 회사로 탈바꿈
한다. 기업 인수·합병(M&A) 1건이 회사의 사업모델을 통째로 바꿔놓을
전망이다.

17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AJ렌터카는 이달초 카셰어링 서비스 회사인
링커블의 경영권(인수지분 50% 이상)을 인수하는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다
음달 중으로 주식매매계약(SPA)을 맺을 예정이다. AJ렌터카는 링커블의 가치를
약 200억원으로 평가한 것으로 알려졌다. 2014년 창업한 링커블은 기아자동차
의 카셰어링 서비스 ‘위블’과 글로벌 무인시승 시스템인 ‘핸
즈온’을 개발한 실력파 스타트업(신생 벤처기업)이다. 지난해 위블에 사
용되는 카셰어링 플랫폼을 ‘네이비’라는 독자 브랜드로 출시했다.


인수가 마무리되면 AJ그룹은 AJ렌터카를 카셰어링 회사로 탈바꿈한다. 법인 부
문을 제외한 전 사업부 브랜드를 아예 ‘빌리카’로 바꾸기로 했다.
AJ렌터카의 텃밭 제주도에서 시범운영에 성공한 카셰어링 브랜드다. 브랜드 이
름만 바꾸는게 아니라 링커블의 차량공유 플랫폼에 전국 180개 AJ렌터카 지점
및 영업네트워크를 결합해 사업방식을 완전히 바꾼다. AJ렌터카가 링커블을 인
수하는 것도 ‘카셰어링 회사로 전환하자’는 구호만으로는 변신이
불가능해서다. 카셰어링 사업이 ‘렌터카에 IT기술을 접목한 무인화&rsqu
o;로 보이기 쉽지만 차량 구매방법부터 배차방식까지 사업구조가 전혀 다르기
때문이다. 글로벌 렌터카 회사도 자체적인 카셰어링 회사 변신에 성공한 사례가
없다. IB업계 관계자는 “유료 온라인 전환을 강조하는 신문사들이 종이
신문을 탈피하지 못하는 것과 마찬가지”라며 “국내 1위 롯데렌탈이
그린카를 인수해 렌터카와 별도로 카셰어링 서비스를 하고, SK네트웍스(2위 렌
터카)를 보유한 SK그룹이 쏘카 지분을 인수한 이유”라고 말했다.

그런 점에서 링커블 인수는 국내에서 처음 시도되는 렌터카 회사의 카셰어링 서
비스 변신이다. 카셰어링 회사화(化)가 마무리되면 빌리카는 1만7000대의 차량
을 보유한 국내 최대 카셰어링 브랜드가 된다. 카셰어링의 대표 격인 쏘카와 그
린카의 보유대수는 각각 8200대와 6500대다. AJ렌터카가 카셰어링 회사로 변신
을 시도하는 것은 4차산업의 물결을 활용해 성장정체 상태를 탈피하기 위해서다
. 롯데그룹이 KT렌탈을 인수해 렌터카 시장에 뛰어들고 SK네트웍스가 공세를 강
화하면서 AJ렌터카는 2016년 업계 2위자리 마저 내줬다. 롯데 SK 현대차그룹 등
대기업들이 경쟁을 벌이는 렌터카 시장에서 벗어나 새로운 시장에서 돌파구를
찾겠다는 것이다.

국내 카셰어링 제도가 아직은 ‘지역별로 확보한 주차장(카셰어링존)에서
렌터카를 분 단위로 빌려주는 사업’ 수준이어서 AJ렌터카의 성공 가능성
은 상당히 높다는 분석이다. 기존 카셰어링은 불특정 다수가 빌려쓰는 시스템이
다보니 회사 입장에서는 차량관리가 어렵고, 고객은 대면 서비스가 아쉽다는 평
가를 받았다. 카셰어링 업계 관계자는 “‘공유’라기보다 &ls
quo;공용’에 가깝다보니 고객은 차를 험하게 다루고, 영업망이 부족한 회
사는 세차와 정비 등 차량점검이 미흡했다”고 말했다.

링커블은 지난해 8월 ‘네이비’ 브랜드를 출시해 ‘커뮤니티
카셰어링’이라는 개념을 도입했다. 비슷한 환경에 사는 커뮤니티 구성원
들만 차를 공유하도록 하면 ‘내 차 처럼’ 차량관리가 된다는 점에
착안했다. 이미 서울 래미안강남힐즈, 반포 아크로리버파크, 부산 해운대 에이
치스위트 등 부촌과 사무실 공유 서비스인 위워크의 서울 전지점, 구글 코리아
등에 입점했다. 공유차량은 모두 벤츠, BMW, 재규어 등 고급 외제차와 전기자
동차 테슬라 등 ‘한 번은 타보고 싶은 차’들이다. 자동차 메이커로
서는 무인시승대 역할을 해 신차판매 홍보효과도 거둘 수 있다.

김홍균 링커블 공동대표는 “대형 아파트 단지와 오피스텔이 많은 한국의
주거문화에는 네이비와 계약한 아파트 단지나 회사 빌딩 주차장에 공유차량을
늘려나가는 속도가 기존 카셰어링 업체들이 도심에 주차장을 확보하는 것 보다
훨씬 빠를 것”이라고 말했다. AJ렌터카의 전국 지점망을 거점으로 주변
지역에 카셰어링 존(주차장)만 확보해 나가면 사업확장도 손쉽다는 설명이다.
기존 카셰어링 서비스와 유사한 ‘카키’, 기업 전용 카셰어링 서비
스인 ‘블랙’, 차량관리 플랫폼인 ‘그린’ 등 링커블의
다른 서비스들도 활용폭도 넓어지게 됐다.

링커블 창업자들은 매각 후에도 주요 주주로 남아 AJ렌터카의 플랫폼사업본부장
을 맡기로 했다. 플랫폼사업본부는 링커블 창업자들에게 카셰어링 회사로의 전
환작업을 맡기기 위해 AJ렌터카가 새로 만든 사업부다.

정영효 기자 hugh@hankyung.com


ⓒ 한국경제 & hankyung.
com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시각 주요뉴스
  • 한줄 의견이 없습니다.

한마디 쓰기현재 0 / 최대 1000byte (한글 500자, 영문 1000자)

등록

※ 광고, 음란성 게시물등 운영원칙에 위배되는 의견은 예고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