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 2025-10-05 23:18:57
[프라임경제] 대한민국 농산어촌은 지금 거대한 구조적 위기다. 2024년 기준 농촌 고령화율은 47%를 넘어섰고, 청년 인구 비중은 10%에도 미치지 못한다. 전국 228개 시·군 중 절반 이상이 '소멸 위험 지역'으로 분류되고 있으며, 어촌의 고령화율 역시 60%에 달하는 곳이 적지 않다.
이제 농어촌의 위기는 단순한 지역 문제가 아니라 국가의 존립과 직결된 생존 과제가 되었다.
그럼에도 농산어촌에는 여전히 풍부한 잠재력이 있다. 농·축·어업 자원은 물론, 지역 고유의 문화와 관광 자산이 결합될 경우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다. 특히 최근 청년층과 귀농·귀촌인의 유입은 농산어촌 혁신의 새로운 동력으로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이들의 도전은 체계적 지원의 부족으로 성과로 이어지지 못하고 있는 현실이다. 개인의 열정에만 기대기엔 한계가 분명하다. 이제는 전문성과 지속성을 갖춘 제도적 지원 플랫폼이 절실하며, 그 해답이 바로 ‘농산어촌 창업지원센터’다.
농산어촌 창업지원센터는 단순한 창업 지원 기관이 아니다. 창업을 통해 일자리를 만들고, 인구를 늘리며, 지역 공동체를 회복시키는 국가적 혁신 플랫폼이다. 예비 창업자에게는 상품 개발과 마케팅 역량을, 기존 사업자에게는 정책 변화와 시장 대응 능력을, 청년과 귀농·귀촌인에게는 안정적인 정착 기반을 제공한다.
농업 분야에서는 스마트팜 도입과 가공·체험·관광을 결합한 6차 산업화, 공동 브랜드 육성을 추진하고, 축산업 분야에서는 친환경·동물복지형 축산, 가공·유통 연계, 스마트 축산기술 보급을 지원한다. 어업 분야는 수산물 가공 및 수출 지원, 어촌관광과 해양레저 결합 창업을 통해 새로운 시장을 연다.
여기에 창업 교육과 멘토링, 자격·인증 취득, 온·오프라인 판로 개척, ESG 기반 경영 지원이 더해진다면 창업의 "시작성장지속" 전 과정을 아우르는 체계적 지원이 가능해진다. 이는 창업 실패율을 줄이고, 지역경제의 지속 가능성을 높이는 핵심 전략이 될 것이다.
창업지원센터의 성과가 일회성에 머물지 않기 위해서는 농업기술센터의 기능을 대규모 산업단지 수준으로 확장해야 한다. 단순한 기술 보급이나 교육을 넘어, 스마트 농업기술의 집적과 실증, 농축수산 가공·저장·유통시설의 집적화, 청년 창업과 로컬 기업의 클러스터화, 문화·관광 자원과의 6차 산업 융합이 가능한 '농업생산기술산업단지'로 발전시켜야 한다.
농촌 전체를 하나의 경제 생태계로 전환하는 거점, 즉 창업지원센터가 개인을 지원하는 플랫폼이라면 농업생산기술산업단지는 이를 지역·국가 차원의 산업 생태계로 확장하는 허브 역할을 하게 된다. 두 축이 결합할 때 농산어촌의 혁신은 비로소 지속 가능한 구조로 자리 잡게 된다.
농산어촌의 미래는 곧 대한민국의 미래다. 수도권 집중은 지방 소멸로 이어지고, 지방 소멸은 결국 국가 경쟁력의 약화로 귀결된다. 농축어업 기반의 창업과 산업화는 국가의 식량 안보를 지키는 일이자, 재생에너지·친환경 농축산·스마트 어업 등 탄소중립 시대를 선도할 핵심 산업으로 발전할 수 있다. 더불어 창업과 산업단지가 만들어내는 일자리와 소득은 인구 유입으로 이어지고, 다시 교육·복지·문화로 확산되며 지역공동체 회복의 선순환을 만들어낸다.
해외 사례를 보더라도 지역 창업 지원은 이미 국가 전략의 핵심으로 자리 잡고 있다. 일본의 '로컬벤처 지원센터', 유럽연합(EU)의 농촌개발정책은 농산어촌이 단순한 지원 대상이 아니라 국가 경쟁력의 원천임을 보여준다. 우리 역시 농산어촌 창업지원센터와 농업생산기술산업단지를 결합해, 지역의 활력을 넘어서 국가의 지속 가능한 성장 전략으로 발전시켜야 한다.
농산어촌 창업지원센터는 창업을 매개로 한 혁신 플랫폼이고, 농업생산기술산업단지는 이를 산업 생태계로 확장하는 성장 거점이다. 두 축이 맞물릴 때 농촌 소멸을 막고 국가 경쟁력을 높일 수 있다. 지금이야말로 정부와 지자체, 공공과 민간이 힘을 모아 이 두 기관의 설립과 활성화에 나서야 할 시점이다. 이것은 농어촌만의 문제가 아니라 대한민국의 미래를 지키는 국가적 과제다.
농산어촌 창업지원센터와 농업생산기술산업단지는 지역의 활력을 넘어, 대한민국의 지속 가능한 성장과 국가 경쟁력 강화를 이끄는 새로운 디딤돌이 되어야 한다.


- 한줄 의견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