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실시간 속보창 보기
  • 검색 전체 종목 검색

뉴스속보

[기자수첩] KT, 이제 은폐 꼼수 멈춰야 할 때
프라임경제 | 2025-11-26 16:26:48
[프라임경제] KT(030200)가 고객 신뢰를 잃었다. 악성코드 감염 사실을 1년 넘게 은폐하고, 무단 소액 결제·해킹 관련 브리핑에서도 거짓말 논란을 일으켜서다.

특히 KT의 자진신고가 아닌 민관합동조사단의 조사를 통해 진실이 밝혀져 더 큰 비난을 샀다.

민관합동조사단은 중간 조사 결과 KT가 지난해 3∼7월 BPF도어(BPFDoor), 웹셸 등 악성코드 감염 서버 43대를 발견하고도 정부에 신고 없이 자체 조치했다고 발표했다. 망 관리 부실로 불법 펨토셀(초소형 기지국)이 KT 내부망에 쉽게 접속할 수 있는 환경이었던 점도 발견했다.

KT는 무단 소액결제 사태 대응 과정에서도 오락가락 해명으로 고객들에게 혼란만 일으켰다. 수차례 피해자, 피해액을 정정하면서 피해 규모를 축소하려다 사태를 키운 것이다. "개인정보 유출은 없다"고 단언했으나, 이용자 2만여명의 단말기 식별번호(IMEI), 휴대폰 번호 등 개인정보가 유출된 정황도 드러났다.

반복적인 사고 은폐·축소 시도가 드러났는데도 KT의 대응은 지나치게 소극적이다.

올해 국정감사에서 KT는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과방위) 위원들로부터 전 고객을 대상으로 위약금을 면제해야 한다는 거센 압박을 받았다.

그러나 KT는 현재 개인정보 유출 정황이 확인된 2만2000여명에게만 위약금을 면제하고 있다.

민관합동조사단 중간 조사 결과 발표 이후 위약금 면제 대상을 전 고객으로 확대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국회 과방위원장인 최민희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지난 17일 입법조사처에 민관합동조사단이 발표한 중간 조사 결과를 토대로 KT 고객들이 위약금을 면제받을 수 있는지 조사를 의뢰한 결과 'KT의 약관 위반 중대성이 더 커졌다'고 회신받았다고 밝혔다. KT의 전 고객 위약금 면제 필요성이 더욱 커졌다는 의미다.

손바닥으로 하늘을 가린다고 가려지는 게 아니다. 진실은 은폐하려고 해도 숨길 수 없다. KT는 이제 은폐를 멈추고 고객 신뢰를 회복하기 위해 전 고객의 위약금을 면제하는 등 적극적인 대응에 나설 때다.

박지혜 기자 pjh@newsprime.co.kr <저작권자(c)프라임경제(www.newsprime.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이시각 주요뉴스
  • 한줄 의견이 없습니다.

한마디 쓰기현재 0 / 최대 1000byte (한글 500자, 영문 1000자)

등록

※ 광고, 음란성 게시물등 운영원칙에 위배되는 의견은 예고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