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F줍줍] 미래에셋자산·삼성자산·NH-Amundi자산운용
프라임경제 | 2025-07-10 17:04:31
프라임경제 | 2025-07-10 17:04:31
[프라임경제] 매년 고공 성장하는 상장지수펀드(ETF) 시장. 이에 자산운용업계 시장 선점 경쟁도 치열하다. 'ETF줍줍'은 매일 쏟아지는 ETF 업계 최신 뉴스를 모은 브리핑 코너다. 최신 시장 동향·투자 전략·전문가 분석까지 한번에 전달한다.
10일 △미래에셋자산운용 △삼성자산운용 △NH-Amundi자산운용 ETF 뉴스.

◆미래에셋 'TIGER 은행고배당플러스TOP10' 순자산 5000억원 돌파
미래에셋자산운용은 'TIGER 은행고배당플러스TOP10 ETF(466940)' 순자산이 5000억원을 돌파했다고 10일 밝혔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9일 종가 기준 'TIGER 은행고배당플러스TOP10 ETF' 순자산은 5779억원이다.
최근 은행의 주주환원 정책 확대와 배당소득 분리과세 시행에 대한 기대감으로 개인 및 기관 투자자 자금이 집중되면서, 지난해말 기준 순자산 약 2,300억원 대비 2배 이상 증가했다.
'TIGER 은행고배당플러스TOP10 ETF'는 고배당 은행주 10개 종목에 집중 투자한다. 국내 주요 은행주 중에서도 3년 연속 현금 배당을 한 종목 중 예상 배당수익률이 높은 종목들로 구성됐다. KB·우리·하나·신한 등 유동시가총액 5000억원 이상의 주요 금융지주 및 은행주와 고배당 보험주인 삼성화재와 삼성생명 등 총 10종목이다.
주주 환원 정책 등에 힘입어 'TIGER 은행고배당플러스TOP10 ETF'는 9일 기준 연초 이후 54%의 높은 수익률을 기록 중이다. 금융지주들의 주주환원율은 2022년 이후 매년 확대되고 있으며, 올해 대부분 은행 계열 금융지주의 주주환원율은 40%를 넘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또 현재 정부에서 논의중인 배당소득 분리과세 시행 기준에 맞춘 배당성향 확대와 분리과세에 따른 수혜도 예상된다.
월배당형인 'TIGER 은행고배당플러스TOP10 ETF'는 매월 일정금액의 분배금을 지급한다. 배당선진화 정책 도입으로 은행마다 배당 기준일이 분기, 연말 등으로 달라 투자자 입장에서는 배당의 규모를 예측하기 쉽지 않다. 이에 투자자들은 매월 'TIGER 은행고배당플러스TOP10 ETF'의 고정 분배금을 통해 효율적으로 자산을 관리할 수 있다.
정의현 미래에셋자산운용 ETF운용본부장은 "밸류업 공시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은행들의 올해 목표는 자본할당 최적화를 통한 수익성 중시 경영과 주주환원 강화"라며 "은행은 주주환원 정책이 기업 가치로 직결되는 산업으로, 증시 활성화 정책의 가장 직접적인 수혜주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삼성운용 'KODEX AI전력인프라' 2종 합산 순자산 8000억 돌파
삼성자산운용은 국내 최초 미국 AI전력 ETF인 'KODEX 미국AI전력핵심인프라'의 순자산이 5016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국내 최초 한국 전력설비 대표기업에 투자하는 'KODEX AI전력핵심설비'의 순자산은 지난 7일 기준 순자산 3000억원을 돌파했다.
국내 자산운용업계 최초로 미국과 한국의 AI전력인프라에 투자하는 ETF로 지난해 7월9일 동시 상장된 두 상품이 시장을 선도하면서 투자금을 끌어모으고 있다는 분석이다.
KODEX 미국AI전력핵심인프라는 미국의 전력 생산, 송배전망, 데이터센터 등 전력인프라 산업의 핵심 밸류체인 대표 기업 10개를 엄선하여 집중 투자하는 ETF다.
포트폴리오에는 GE버노바, 콘스텔레이션에너지, 비스트라에너지, 이튼, 아리스타네트웍스, 트레인테크놀로지 등을 담고 있다. 인공지능(AI)이 일상생활 속에 확산되면서 이를 뒷받침하기 위한 전력 수요가 급증했고, 이들 전력인프라 기업들의 주가는 고공행진하고 있다.
이에 KODEX 미국AI전력핵심인프라는 지난해 7월9일 상장 이후 올해 전날까지 1년 수익률 48.6%를 기록했다. 같은 기간 나스닥100 지수 대비 약 41.4%포인트, S&P500 지수 대비로는 40.9%포인트 초과 수익률을 올리며 시장을 압도했다. 상장 이후 1년 만에 개인 누적 순매수 1200억원을 돌파하며 개인투자자 사이에서도 인기를 얻었다.
이 같은 인기몰이는 주요 연구기관들이 꾸준히 미국 전력산업 수요 전망치를 상향하는 덕분이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는 2035년까지 미국 데이터센터 전력 소비 전망치를 지난해 2월엔 200TWh로 제시한 뒤 6월엔 400TWh로, 12월엔 900TWh로 꾸준히 상향 조정해왔다.
이 ETF가 담고 있는 대표 전력 기업들의 주가는 빠르게 오르고 있다. ETF 내 편입 비중 약 17%인 GE버노바는 전력 관련 사업부의 실적 전망을 지난 1년 동안 꾸준히 상향 조정하면서 연초 대비 수익률이 63%에 이른다.
김천흥 삼성자산운용 매니저는 "중국 AI 스타트업 딥시크가 등장하며 전력 수요와 AI 데이터센터 증가 추이에 대한 의문이 다소 존재하였으나 그 이후에도 실질 수요는 오히려 증가하고 있다"며 "투자자들이 의심을 거두고 있는 만큼 하반기에도 전력 수요는 계속 늘어날 것"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국내 전력설비 대표기업에 투자하는 KODEX AI전력핵심설비의 성장세도 가파르다. 상장 이후 1년 만에 개인 누적 순매수 1178억원을 기록하며 10일 기준 순자산이 3277억원에 이른다. 연기금에서도 이 달 들어 426억원을 매수하는 등 기관투자자들의 관심도 크다.
KODEX AI전력핵심설비 ETF는 '전력기기 빅3' 기업으로 불리는 효성중공업, HD현대일렉트릭, LS일렉트릭을 약 60% 편입해 국내 전력설비 핵심 10여개 종목에 집중 투자하는 상품이다.
이대환 삼성자산운용 매니저는 "전세계적으로 전력설비 신규수요와 교체수요가 맞물리면서 전력설비 슈퍼사이클이 지속될 것"이라며 "북미뿐 아니라 유럽에서도 영향력을 키우고 있어 하반기에도 KODEX AI전력핵심설비에 투자자들의 관심이 이어질 것"이라고 밝혔다.

◆NH-Amundi자산운용, HANARO 금채굴기업 올해 42% 상승
NH-Amundi자산운용은 HANARO 글로벌금채굴기업 ETF가 국내외 금값을 크게 웃도는 수익률을 기록하고 있다고 밝혔다.
코스콤 ETF CHECK에 따르면 지난 8일 기준 HANARO 글로벌금채굴기업 ETF의 연초 이후 수익률은 42.09%다. 같은 기간 국제 및 국내 금 가격은 각각 25.59%, 16.47%씩 상승했다.
HANARO 글로벌금채굴기업 ETF는 금 가격과 밀접하게 연동되는 글로벌 금 채굴 기업에 투자하는 주식형 펀드다.
기초지수는 'NYSE Arca Gold Miners Index'로 △뉴몬트(Newmont) △애그니코 이글 마인스(Agnico Eagle Mines) △바릭 마이닝(Barrick Mining) 등이 포함돼 있다.
금값이 오를 때 채굴 비용이 크게 오르지 않으면 채굴 기업의 수익성은 높아진다 .
이에 따라 금값보다 채굴 기업의 주가가 더 높게 상승할 수 있다. HANARO 글로벌금채굴기업 ETF가 금에 직접 투자하는 것보다 더 우수한 성과를 기록할 수 있었던 배경이다.
하반기에도 금 채굴 기업의 수익성은 높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금 채굴 비용을 나타내는 AISC(All-In Sustaining Cost)가 올해 들어서도 큰 변동 없이 유지되고 있기 때문이다.
NH-Amundi자산운용에 따르면 뉴몬트, 애그니코 이글 마인스, 바릭 마이닝 3사의 평균 금 판매가격은 지난 2023년 온스당 1949달러에서 지난해 2483달러로 27%나 상승했지만 같은 기간 AISC는 6% 상승하는 데 그쳤다.
올해 1분기에도 금 판매가격이 평균 2893달러로 17% 추가 상승하는 동안 AISC는 10%만 오르며 수익성이 더 높아졌다.
하반기에도 금값은 상승 흐름을 이어갈 가능성이 크다. 미국 금리 인하 기대, 지정학적 불확실성 지속, 글로벌 중앙은행의 금 매입 확대 등 금 수요를 자극하는 요인이 여전하다. 반면 채굴 비용 급등 가능성은 작아 금 채굴 기업의 수익성은 한층 더 개선될 수 있다.
김승철 NH-Amundi자산운용 ETF투자본부장은 "올해 금 채굴 기업의 수익성은 오를 것으로 예상되기에 금값 상승에 적극적으로 투자하고자 하는 투자자라면 금 채굴 기업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라며 "HANARO 글로벌금채굴기업 ETF는 금 투자와 주식 투자의 이점을 동시에 보유한 상품으로 자본이득에 더해 분배금까지 기대할 수 있다"라고 말했다.
이시각 주요뉴스
이시각 포토뉴스


- 한줄 의견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