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실시간 속보창 보기
  • 검색 전체 종목 검색

뉴스속보

민관, '안전한 전기차' 한목소리..국토부 "전주기 배터리 관리"
파이낸셜뉴스 | 2025-07-08 17:11:03
자동차기자협회 주관 '2025 전동화 시대로의 대전환'
글로벌 e-모빌리티 네트워크 포럼 개최
국토부 "국민들, 전기차 안심하게 인식하도록 할 것"
현대차 "배터리 안전 확보 다중 안전망 구축으로 고객 절대 안전 확보"


한국자동차기자협회(KAJA)가 8일 제주 신화월드 한라룸에서 ‘2025 전동화 시대로의 대전환’을 주제로 글로벌 e-모빌리티 네트워크 포럼을 개최한 가운데, 김대환 세계e-모빌리티협의회 회장(앞줄 왼쪽 다섯번째)을 비롯한 주요 관계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김학재기자
한국자동차기자협회(KAJA)가 8일 제주 신화월드 한라룸에서 ‘2025 전동화 시대로의 대전환’을 주제로 글로벌 e-모빌리티 네트워크 포럼을 개최한 가운데, 김대환 세계e-모빌리티협의회 회장(앞줄 왼쪽 다섯번째)을 비롯한 주요 관계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김학재기자

【제주=김학재 기자】정부와 기업이 전기차 활성화를 위해 배터리 안정성을 높이기 위한 제도적, 기술적 안정성을 높이기 위한 대안 마련에 대한 의지를 피력했다.

국토교통부는 전기차 배터리 제조단계부터 폐기까지 전주기적 관리체계를 마련하고, 현대차는 배터리 안전 확보를 위한 다중 안전망 구축으로 차별화된 배터리 기술 달성에 집중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한국자동차기자협회(KAJA)가 8일 제주 신화월드 한라룸에서 '2025 전동화 시대로의 대전환'을 주제로, 글로벌 e-모빌리티 네트워크 포럼을 개최한 가운데 전기차 안전성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계획이 제시됐다.

올해가 전기차 보급 확산의 중요한 시점이란 점에서 전기차 안전성이 필수가 된다는 점에서 민관에서 배터리 안정성 강화에 대한 비전을 밝혔다.

에너지 공급과 출력 성능을 담당하는 중고전압 배터리 시스템이 전기차의 핵심역할을 하면서도 열폭주를 통한 화재와 같은 안전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는 점에서 배터리 안정성 확보 이슈는 이날 포럼의 주요 화두로 거론됐다.

전기차 배터리 화재 예방 단계에서 BMS(배터리 관리 시스템)를 활용한 이상 감지 및 경고 시스템이 개발된 것 외에도, 배터리 셀 내부 구성 열적 강화 등 여러 화재 방지 기술이 있음이 소개됐다.

박용선 국토부 자동차정책과장은 "정부는 전기차가 본격적으로 확산되기 시작한 시점부터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여러 제도들을 마련해 왔다"면서 "앞으로의 정책 방향은 전기차 생태계 전반의 안전 정착에 초점을 두고 있다"고 설명했다.

박 과장은 "이를 위해 정부는 배터리 제조단계부터 폐기까지 전주기적 관리체계를 마련하고, 소비자와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한 유연한 정책 설계를 통해 실효성을 높이겠다는 방침"이라면서 "단지 사고를 예방하는 수준을 넘어 국민들이 전기차를 '안심하고 선택할 수 있는 교통수단'으로 인식하게 만드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창호 현대차·기아 기술연구소 배터리성능개발실장은 "향후 중국 배터리와 전기차를 포함한 글로벌 경쟁이 더욱 격화되는 상황에서 획기적인 경쟁력 강화가 필수"라면서 "전기차에서 가장 중요한 구성 요소인 배터리 시스템이 경쟁력 강화의 중심에 있다"고 설명했다.

정 실장은 "현대차는 배터리 안전 확보 관점에서 하드웨어-소프트웨어를 아우르는 다중 안전망 구축을 기본 방향성으로 설정하고 있다"면서 "이러한 다중 안전망을 통해 고객 절대 안전을 확보하는 것을 기본으로 배터리 기술의 차별화를 달성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주제발표와 패널 토론 이후 채택된 포럼 공동선언문에는 △정책과 기술 혁신의 연계 △국제 협력과 공동 대응 강화 △지속 가능한 e-모빌리티 생태계 구축 등이 담겼다.
이시각 주요뉴스
  • 한줄 의견이 없습니다.

한마디 쓰기현재 0 / 최대 1000byte (한글 500자, 영문 1000자)

등록

※ 광고, 음란성 게시물등 운영원칙에 위배되는 의견은 예고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