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실시간 속보창 보기
  • 검색 전체 종목 검색

뉴스속보

[기자수첩] 반도체, 파격적 인력정책이 절실하다
파이낸셜뉴스 | 2023-03-12 20:41:04

"저희도 반도체 계약학과도 만들고 무지 노력했는데 잘 안 된다."(김기남 삼성전자 SAIT 회장)

"마이크론이 (인재를) 똑똑하게 만들어놓으면 인텔이 데려가고, 마이크론은 빈자리에 삼성과 SK하이닉스 사람을 뽑아간다."(박정호 SK하이닉스 부회장)

반도체 업계 인력부족 사태는 어제오늘 일이 아니다. 미국, 중국, 대만 등 전 세계 반도체 패권 다툼에 한국도 투자를 대폭 늘리고 있지만, 연구개발(R&D)을 담당할 전문인력은 턱없이 부족하다.

기업들은 대학과 협력해 채용을 보장하는 계약학과를 신설하고, 해외인재 유치에도 적극 나서고 있지만 만성적 인력부족을 해소하기에는 역부족이다. 한국반도체산업협회에 따르면 반도체 산업에 필요한 인력은 현재 17만7000명에서 10년 후 30만4000명까지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연간 직업계고·대학(원)에서 배출되는 반도체 산업인력은 5000명 수준에 불과하다. 설상가상 저출산 시계가 빨라지면서 향후 반도체 인력부족 사태는 더 심화될 판이다. 국내에서 전문인력 구인난에 시달리는 기업들로선 상대적으로 인력 풀이 풍부한 해외로 생산거점을 옮기는 선택지를 고를 수밖에 없는 셈이다. 각종 규제에 가로막혀 인력 확보에 어려움을 겪는 기업들의 중장기 경쟁력 하락이 우려되고 있지만, 정부와 국회 차원의 지원책은 좀처럼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다.

정부가 2031년까지 반도체 인력 3만6300명을 양성하는 'K-반도체 전략'을 발표했지만, 업계는 실현 가능성을 낮게 본다. 정부안대로 실현되기 위해서는 수도권 대학의 반도체학과 신설·증원이 필수적이지만, 국가균형발전 명분에 가로막힌 상태다. 현행법상 수도권 대학들은 인구집중 유발시설로 분류돼 정원을 늘리지 못하기 때문이다. 특히 올해 입시에서 서울 주요 대학 반도체학과 합격자 상당수가 등록을 포기하고 있어 인력양성 구상에도 차질이 불가피해졌다. 글로벌 기술패권 경쟁에서 앞서가기 위해 주요국은 인력양성에 사활을 걸고 있다. 미·중 갈등으로 사면초가에 몰린 반도체 업계를 지원하기 위한 파격적인 수준의 지원책이 시급하다.

장민권 산업IT부mkchang@fnnews.com
이시각 주요뉴스
  • 한줄 의견이 없습니다.

한마디 쓰기현재 0 / 최대 1000byte (한글 500자, 영문 1000자)

등록

※ 광고, 음란성 게시물등 운영원칙에 위배되는 의견은 예고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