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실시간 속보창 보기
  • 검색 전체 종목 검색

언론사별 뉴스

씨아이티(CIT), FIX 2025서 CuFlat-PKGCore™로 혁신상 선정.. "글로벌 반도체 시장 개척 도전"
에이빙 | 2025-10-25 09:36:55
고정밀 구리 증착 기술 ASE 공법을 적용한 유리기판 샘플 모습 | 촬영 - 에이빙뉴스
고정밀 구리 증착 기술 ASE 공법을 적용한 유리기판 샘플 모습 | 촬영 - 에이빙뉴스

주식회사 씨아이티(CIT Co., Ltd., 대표 정승)는 10월 22일(화)부터 25일(토)까지 엑스코(EXCO)에서 열린?'FIX 2025(미래혁신기술박람회)'와 연계 개최되는 '2025 대한민국ICT융합 엑스(ITCE 2025)'에 참가했다.

CIT(Copper Innovation Technology)는 2023년 전기 신호의 전달 효율을 대폭 개선하는 원천 기술 'ASE(Atomic Sputter Epitaxy)'를 골자로, 초고속 통신용 전자 소재를 개발해 온 국내 스타트업이다.

ASE 공법은 세제곱센티미터(㎤) 이내에 1조 개 수준의 구리(Cu) 원자 정렬을 가능케 한다. 이에 따라 유선에선 최대 10Gbps 속도를, 무선에선 1~100GHz 주파수 대역을 지원해 업계 최고 수준의 전송 효율을 발휘한다는 것이 CIT 측 설명이다.

이러한 고효율 기판 제조 기술은 데이터 전송량과 전력 요구가 급증하는 AI(인공지능) 시대에 특히 더 큰 기대를 얻고 있으며, CIT 역시 차세대 AI 가속기용 보드인 'CuFlat-PKGCore™'를?개발해 차세대 AI 반도체 시장 개척을 도모하고 있다.

CuFlat-PKGCore™는 ASE 공법으로 유리 기판에 초평탄 구리를 증착한 제품으로, 기판에 투입되는 전도체 중 구리의 순도를 100%로 극대화한 것이 특징이다. 기존의 기판 제조엔 시드층 형성과 무전해도금, 전기도금, CMP를 비롯한 다단 공정이 요구되었다면, CIT는 단일 ASE 공정으로 그 복잡성을 대폭 단축하는 데 성공했다.

그러면서도 4nm 이하의 표면 조도와 7% 낮은 표면저항, 8:1 비율의 고종횡비 유리 기판에도 균일한 증착이 가능하다. 나아가 기존 구리(100℃)보다 2.5배 높은 온도에 도달해도 산화 작용이 발생하지 않는 만큼, 방대한 전력이 투입되는 환경에서도 AI 가속기의 성능을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다.

촬영 - 에이빙뉴스
촬영 - 에이빙뉴스

이 외에도 CuFlat-PKGCore™는 높은 구리 원자 밀도와 정렬의 균일성을 갖춰 보드 설계의 자유도가 상대적으로 뛰어나며, 다양한 소재의 유리 기판과 광범위한 호환성을 담보한다. 나아가 제조 과정에선 화학 폐수가 발생하지 않고, 재활용 구리 스크랩의 사용도 가능하다는 점에서 친환경적 면모 역시 높이 평가받고 있다.

이처럼 다양한 특장점을 앞세워 차세대 AI 반도체 시장에서 탁월한 잠재력을 인정받은 데 이어, 이번 미래혁신기술박람회(FIX)에선 ICT 융복합 부문 혁신상에 선정되는 영예를 안았다.

씨아이티 측은 "CuFlat-PKGCore™는?성능과 효율은 물론, 유연성과 범용성, 지속 가능성 등 다양한 측면에서 반도체 업계의 니즈를 충족하는 제품"이라며, "특히 AI, 자율주행, 6G 초고속 통신 등 차세대 기술에 대한 비전으로 첨단산업의 발전이 나날이 가속하는 만큼, 제품에 대한 실질 수요 역시 증가할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밝혔다.

이어 "글로벌 반도체 시장으로의 본격 진출을 도모하는 가운데, 한국판 CES인 FIX 2025에서 수상을 달성하는 동시에 업계 전반의 관심을 얻게 되어 기쁘다"라며, "이 기세에 힘입어 내년 초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릴 CES 2026에서도 혁신상에 도전하고, 세계적인 경쟁력을 다시금 인정받는 기회로 삼을 것"이라고 포부를 전했다.

한편, FIX 2025는 미래모빌리티, 로봇, AI(인공지능), 반도체 등 최신 기술을 한자리에서 선보이는 '혁신기술 통합플랫폼'이다. '이미 시작된 미래, All on AI'를 슬로건으로 하는 이번 전시회는 △대한민국 미래모빌리티엑스포 △대구국제로봇산업전 △대한민국 ICT융합 엑스포 등 산업별 전시회와 컨퍼런스, 비즈니스 프로그램, 부대행사, 문화관광 프로그램 등으로 구성됐다.

△대한민국 미래모빌리티엑스포에서는 친환경 모빌리티, 미래 모빌리티, 이차전지, 부품 등이 출품되며, △대구국제로봇산업전에서는 산업용 로봇, 서비스용 로봇, 로봇 부품, AR/VR, AI, IOT, 드론을 전시했다. △대한민국 ICT융합 엑스포에서는 메타버스&플랫폼, 디지털 콘텐츠&시스템 스마트 디바이스, 사이버보안, ICT 융합 서비스를 선보였다. 아울러 스타트업 플랫폼으로 플러그앤플레이코리아엑스포(PNP KOREA EXPO) 2025, 스타트업 아레나(Startup Arena), 글로벌 이노베이터 페스타(GIF)가 마련됐다.

→ 2025 미래혁신기술박람회(FIX 2025) 뉴스 바로 가기

이시각 주요뉴스
  • 한줄 의견이 없습니다.

한마디 쓰기현재 0 / 최대 1000byte (한글 500자, 영문 1000자)

등록

※ 광고, 음란성 게시물등 운영원칙에 위배되는 의견은 예고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