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워치 | 2025-09-12 10:07:02
[비즈니스워치] 안준형 기자 why@bizwatch.co.kr
포스코그룹이 HMM 인수를 검토하는 가운데 HMM의 공공성이 다시 부각되고 있다. HMM은 2017년 한진해운이 파산한 뒤 한국을 대표하는 국적선사로 남았는데 민영화 과정에서도 공공성이 '변수'로 작용하고 있는 것이다.
포스코그룹 입장에선 수조원대 인수자금을 투입하고도 온전한 경영권을 확보하지 못해 기대만큼 시너지를 내지 못할 우려도 있다.

지난 11일 전재수 해양수산부 장관은 포스코그룹의 HMM 인수 관련 "HMM 지배구조 문제는 단순히 하나의 해운선사 민영화 문제가 아니라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국적선사로서 지배구조 문제를 봐야한다"고 말했다.
HMM의 지분은 한국산업은행(36.02%)과 한국해양진흥공사(35.67%)가 나눠 갖고 있다. 해진공을 관리하고 있는 해수부가 HMM 민영화에 대한 신중한 입장을 보인 셈이다.
2024년 하림의 HMM 인수가 무산된 배경도 해운산업의 공공성이 있었다. 당시 산은과 해진공은 국가 기간 산업인 해운산업의 공공성을 내세우며 정부 측 사외이사 지명권 등을 요구했지만 하림 측은 경영권을 간섭한다며 반발했다.
이번에도 해수부가 HMM의 공공성을 강조하면서 일부 지분만 매각될 시나리오가 거론된다. HMM 지분 매각에 신중한 해수부와 달리 산은은 조기 공적자금 회수에 대한 필요성이 있다. HMM 지분이 산은의 건전성 지표를 떨어트리고 있어서다.
일찌감치 시장에서도 이 같은 분석은 제기되고 있다. 지난 6월 iM증권은 '공적 자금 투자의 모범 사례'라는 제목의 HMM 보고서를 통해 "통매각보다는 일부 지분 매각"을 예상했다.
이 증권사는 "산은의 지분만 매각하거나, 양 기관의 지분을 일부 매각해 인수 주체가 최대 주주가 되는 방안이 가장 현실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이어 "경영상의 자율성을 보장받기 어려울 수 있지만 주주간계약으로 이사 선임 등 권한을 보장받고, 잔여 지분을 장기간에 걸쳐 매각한다는 조건을 붙인다면 매각이 가능하다"고 덧붙였다.
HMM 일부 지분만 인수하면 포스코그룹의 부담은 줄어든다. 현재 HMM의 시가총액은 24조9000억원대로 정부 지분 가치는 17조억원이 넘는다. 여기에 경영권 프리미엄까지 감안하면 몸값은 더 높아질 수 있다. 포스코가 정부의 HMM 지분 중 절반만 인수하게되면 인수대금은 8조원대로 떨어지게 된다.
하지만 대규모 인수자금을 투입하고도 독자적인 경영권을 확보하지 못하게 되면, 사업적 시너지가 떨어질 수 있다.
지난 5일 KB증권은 "포스코는 대부분 벌크선을 활용하는 반면 HMM의 매출액 중 80% 이상은 컨테이너선에서 발생하고 있다는 점에서 시너지가 크지 않다"고 지적했다. 포스코가 사업적 시너지를 위해선 HMM 사업 재편에 나서야 하는데, 이 과정에서 해운산업의 공공성 문제가 다시 불거질 수 있는 것이다.
해운업계도 포스코의 HMM 인수를 반대하고 있다. 지난 11일 해운협회는 "포스코에 HMM이 편입될 경우 자칫 해운 전문기업에 대한 투자보다 주력 산업의 보조 기업으로 전락할 수 있다"며 "포스코그룹의 HMM 인수는 해운 생태계를 파괴하는 처사로 반드시 철회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비즈니스워치(www.bizwatch.co.kr) -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한줄 의견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