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끄러움은 가해자 몫"…성폭행범 공개 재판 세운 여성, 훈장 수여
한국경제 | 2025-07-14 12:15:44
한국경제 | 2025-07-14 12:15:44
자신을 성폭행한 가해자들을 공개 재판에 세운 프랑스 여성이 훈장을 받게 됐다
. 성폭력 가해자와 피해자에 대한 인식을 바꿨다는 평가를 받는다.
13일(현지시간) 프랑스 관보에 따르면 지젤 펠리코(72)가 14일 혁명기념일을 맞
아 최고 권위 훈장인 레지옹 도뇌르 가운데 슈발리에 등급 서훈자로 선정됐다.
지젤은 2011년 7월∼2020년 10월 당시 남편이었던 도미니크 펠리코의 농간으
로 약물에 취해 수십명의 모르는 남성들에게 성폭행당했다. 지난해 열린 피고인
50명의 1심 재판을 공개로 진행해달라고 요구했다. 이 덕분에 프랑스뿐 아니라
전 세계에서 성폭력 가해자와 피해자에 대한 인식을 변화시켰다고 평가받고 있
다.
당시 지젤은 "부끄러움은 피해자가 아닌 피고인들 몫이어야 한다"고
말해 많은 성폭행 피해 여성에게 용기의 아이콘이 됐다. 지젤은 올해 3월 미국
타임지가 선정한 2025년 올해의 여성 중 한 명으로 선정되기도 했다.
레지옹 도뇌르는 1802년 나폴레옹 1세가 제정했다. 군공(軍功)이 있거나 프랑스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스포츠 등 각 분야에서 공적이 있는 사람에게 수여된
다. 최고 등급인 그랑크루아를 포함해 그랑도피시에, 코망되르, 오피시에, 슈발
리에 등 5개 등급으로 나뉜다.
진영기 한경닷컴 기자 young71@hankyung.com
ⓒ 한국경제 & hankyung.
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01853H20250714.122354S;1;20250714;122356
0802;0000;0000;0000
0000;0000
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
정동영 “통일부 명칭 변경, 검토할 가치 충분…'한반도부'도 대안”
#####
정동영 통일부 장관 후보자가 통일부 명칭 변경에 대해 충분히 검토할 사안이라
고 밝혔다.
정 후보자는 14일 국회 외교통일위원회의 인사청문회에서 더불어민주당의 윤후
석 의원의 관련 질의에 "통일부 명칭 변경을 검토하는 것이 필요하다&quo
t;며 "국민의 대표기관인 국회에서 여야가 함께 의논해야 할 아주 중요한
사안"이라고 말했다. 통일부 명칭 대안 중 하나로 '한반도부'를
제시하기도 했다.
정 후보자는 북한이 2023년 말 남북관계를 '적대적 두 개 국가론'이라
고 선언한 원인에 대해 "강대 강의 산물이라고 생각한다. 남쪽 정부에서
'주적'을 얘기하고 '선제타격'을 얘기한 데 대해서 북의 대응
이라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그는 과거 동·서독의 통일을 '실용적 접근'이라고 규정했다. 이
어 "사실상의 두 국가를 인정하면서 화해와 교류 협력을 통해서 통일로 다
가간 것"이라며 "이재명 정부가 가야 할 길은 바로 실용주의 노선&q
uot;이라고 말했다.
'두 개 국가론'을 헌법에 반영하라는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지시가 이행
돼 북한의 헌법이 개정됐는지에 관해 정 후보자는 "아직 헌법에 반영하지
는 않았다. 아직 헌법에 반영된 것은 없다"고 답했다. 다만 구체적인 근거
는 제시하지 않았다.
정 후보자는 한미 연합훈련에 관한 질의에 "2018년 한반도에 봄을 열었던
것이, 평창올림픽을 앞두고 2017년 말 당시 문재인 대통령이 '3월로 예정
된 한미 군사연습을 연기하겠다. 이것을 미국에 제안하겠다'고 한 것이 (대
화의) 물꼬를 텄던 것은 중요한 함의가 있다"며 "앞으로 국가안전보
장회의(NSC) 등을 통해 논의해야 할 사안"이라고 답했다.
진영기 한경닷컴 기자 young71@hankyung.com
ⓒ 한국경제 & hankyung.
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성폭력 가해자와 피해자에 대한 인식을 바꿨다는 평가를 받는다.
13일(현지시간) 프랑스 관보에 따르면 지젤 펠리코(72)가 14일 혁명기념일을 맞
아 최고 권위 훈장인 레지옹 도뇌르 가운데 슈발리에 등급 서훈자로 선정됐다.
지젤은 2011년 7월∼2020년 10월 당시 남편이었던 도미니크 펠리코의 농간으
로 약물에 취해 수십명의 모르는 남성들에게 성폭행당했다. 지난해 열린 피고인
50명의 1심 재판을 공개로 진행해달라고 요구했다. 이 덕분에 프랑스뿐 아니라
전 세계에서 성폭력 가해자와 피해자에 대한 인식을 변화시켰다고 평가받고 있
다.
당시 지젤은 "부끄러움은 피해자가 아닌 피고인들 몫이어야 한다"고
말해 많은 성폭행 피해 여성에게 용기의 아이콘이 됐다. 지젤은 올해 3월 미국
타임지가 선정한 2025년 올해의 여성 중 한 명으로 선정되기도 했다.
레지옹 도뇌르는 1802년 나폴레옹 1세가 제정했다. 군공(軍功)이 있거나 프랑스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스포츠 등 각 분야에서 공적이 있는 사람에게 수여된
다. 최고 등급인 그랑크루아를 포함해 그랑도피시에, 코망되르, 오피시에, 슈발
리에 등 5개 등급으로 나뉜다.
진영기 한경닷컴 기자 young71@hankyung.com
ⓒ 한국경제 & hankyung.
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01853H20250714.122354S;1;20250714;122356
0802;0000;0000;0000
0000;0000
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
정동영 “통일부 명칭 변경, 검토할 가치 충분…'한반도부'도 대안”
#####
정동영 통일부 장관 후보자가 통일부 명칭 변경에 대해 충분히 검토할 사안이라
고 밝혔다.
정 후보자는 14일 국회 외교통일위원회의 인사청문회에서 더불어민주당의 윤후
석 의원의 관련 질의에 "통일부 명칭 변경을 검토하는 것이 필요하다&quo
t;며 "국민의 대표기관인 국회에서 여야가 함께 의논해야 할 아주 중요한
사안"이라고 말했다. 통일부 명칭 대안 중 하나로 '한반도부'를
제시하기도 했다.
정 후보자는 북한이 2023년 말 남북관계를 '적대적 두 개 국가론'이라
고 선언한 원인에 대해 "강대 강의 산물이라고 생각한다. 남쪽 정부에서
'주적'을 얘기하고 '선제타격'을 얘기한 데 대해서 북의 대응
이라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그는 과거 동·서독의 통일을 '실용적 접근'이라고 규정했다. 이
어 "사실상의 두 국가를 인정하면서 화해와 교류 협력을 통해서 통일로 다
가간 것"이라며 "이재명 정부가 가야 할 길은 바로 실용주의 노선&q
uot;이라고 말했다.
'두 개 국가론'을 헌법에 반영하라는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지시가 이행
돼 북한의 헌법이 개정됐는지에 관해 정 후보자는 "아직 헌법에 반영하지
는 않았다. 아직 헌법에 반영된 것은 없다"고 답했다. 다만 구체적인 근거
는 제시하지 않았다.
정 후보자는 한미 연합훈련에 관한 질의에 "2018년 한반도에 봄을 열었던
것이, 평창올림픽을 앞두고 2017년 말 당시 문재인 대통령이 '3월로 예정
된 한미 군사연습을 연기하겠다. 이것을 미국에 제안하겠다'고 한 것이 (대
화의) 물꼬를 텄던 것은 중요한 함의가 있다"며 "앞으로 국가안전보
장회의(NSC) 등을 통해 논의해야 할 사안"이라고 답했다.
진영기 한경닷컴 기자 young71@hankyung.com
ⓒ 한국경제 & hankyung.
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시각 주요뉴스
이시각 포토뉴스


- 한줄 의견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