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실시간 속보창 보기
  • 검색 전체 종목 검색

뉴스속보

[타이어 펑크]③"낮은 마진" 한온에 묶인 한국타이어
비즈니스워치 | 2025-07-16 06:50:03

[비즈니스워치] 백유진 기자 byj@bizwatch.co.kr

/그래픽=비즈워치



한국·금호·넥센 등 국내 타이어 3사가 올 2분기 외형 성장을 이어갈 전망이다. 하지만 속내는 편치 않다. 수익성은 후퇴했고 총수 공백과 통상환경 악화, 생산거점 불안 등 구조적 리스크는 오히려 짙어졌다. 겉으로는 성장처럼 보이지만, 안으로는 흔들리는 형국이다. 실적 착시를 넘어 숨겨진 타이어 3사의 속사정을 들여다본다.[편집자]



최근 순항 중이던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이하 한국타이어)는 오너 리스크가 다시 수면 위로 부상했다. 조현범 한국앤컴퍼니그룹 회장이 최근 횡령·배임 혐의로 법정 구속되면서 그룹 핵심 계열사인 한온시스템의 구조조정 작업에도 빨간 불이 켜진 상태다. 



특히 2분기 한국타이어 실적 부진의 배경으로 한온시스템의 낮은 수익성이 지목된다. 연결 자회사로 편입된 한온시스템 실적이 전사 수익성에 직접 영향을 주는 구조이기 때문이다.




/그래픽=비즈워치



수익성 끌어내리는 '한온 효과'



16일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한온시스템의 2분기 실적 컨센서스(증권사 추정치)는 매출 2조6517억원, 영업이익 327억원이다. 영업이익률은 1.3% 수준에 불과하다. 



이는 모회사인 한국타이어에는 직격타다. 한국타이어는 현재 한온시스템 지분 54.77%를 보유한 최대주주다. 한국타이어그룹은 지난해 사모펀드 한앤컴퍼니가 보유하던 한온시스템 지분 23%를 주당 1만원에 인수하며 경영권을 확보했다. 



이후 올 1분기부터 한국타이어는 한온시스템을 연결 자회사로 회계 처리하고 있다. 한온시스템의 실적이 고스란히 한국타이어의 수익성 지표에 반영되는 구조인 셈이다.



2분기도 예외는 아니다. 한국타이어의 올 2분기 영업이익 컨센서스는 3903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7.1%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기존 사업인 타이어 부문이 아닌 한온시스템이 포함된 열관리 부문이 수익성을 끌어내린 탓이다.




/그래픽=비즈워치



실제 다올투자증권은 2분기 한국타이어 타이어부문의 영업이익을 3547억원, 열관리 부문은 292억원 수준으로 추정했다. 전체 영업이익의 약 91% 수준이 타이어 부문에서 나올 것이라 관측한 것이다. 이에 따르면 양 사업부문의 영업이익률은 각각 14.4%, 1.1% 수준으로 수익성 격차가 크다. 한온시스템이 한국타이어 수익성 하락에 주요 원인으로 꼽히는 이유다.



유지웅 다올투자증권 연구원은 "열관리 사업 손익부진 장기정체 가능성이 높아 합병 이후 손익 효율성에 타격이 나타나고 있다"며 "마진 개선 정체의 배경인 연구개발비 자산화율의 급격한 축소가 요구된다"고 진단했다.



체질 개선 시동 걸었지만…'구심점' 부재



업계에서는 한온시스템의 수익성을 우려가 커지지만, 모회사인 한국타이어는 수익성 개선을 주도할 리더십이 부재한 상황이다. 한온시스템 인수를 주도한 조현범 회장이 횡령·배임 혐의로 법정구속된 탓이다. 지난 5월 조 회장은 특정경제범죄 가중처벌법상 횡령·배임 혐의로 징역 3년을 선고받고 법정 구속된 바 있다.



조 회장은 한온시스템 인수 전부터 글로벌 경영 회의를 수시로 열어 임직원과 의견을 나누며 대응책을 모색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지난 3월에는 경기도 판교 본사 테크노플렉스에서 한온시스템 임원진 등을 모아놓고 '2025년 한온시스템 경영 전략 회의'를 주재하기도 했다.



특히 조 회장은 한온시스템 인수 이후 조직 개편과 체질 개선 작업에 속도를 내왔다. 기존 글로벌 본사 중심 체제를 폐지하고 △아시아·태평양 △중국 △미국 △유럽 등 4개 권역별 '지역 비즈니스 그룹'을 신설했다. 영업, 기획, 생산, 품질 등 주요 기능을 현장 중심으로 분산시키는 전략이었다.



또한 실적이 부진한 해외 법인을 중심으로 통폐합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한온시스템의 조직 혁신과 수익성 개선이 그룹 차원의 핵심 과제로 떠오르던 시점이었던 셈이다.



그러나 조 회장이 지난달 징역 3년형을 선고받고 법정 구속되면서, 구조조정 작업도 동력을 잃은 상황이다. 최종 결정을 내릴 구심점이 부재해 향후 구조조정 작업 추진력이 떨어졌다는 평가가 나오는 이유다.





ⓒ비즈니스워치(www.bizwatch.co.kr) -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이시각 주요뉴스
  • 한줄 의견이 없습니다.

한마디 쓰기현재 0 / 최대 1000byte (한글 500자, 영문 1000자)

등록

※ 광고, 음란성 게시물등 운영원칙에 위배되는 의견은 예고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