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의회예산국장 “트럼프 관세가 인플레 자극...재정적자 감축에는 효과적”
파이낸셜뉴스 | 2025-09-16 03:17:04
파이낸셜뉴스 | 2025-09-16 03:17:04
[파이낸셜뉴스]
미국 의회예산국(CBO) 수장이 15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이 인플레이션(물가상승)을 끌어올릴 것이라고 경고했다.
시장이 인플레이션에 조금 안도하고 있는 가운데 이런 경고가 나왔다.
앞서 미 노동부가 지난 10일 발표한 8월 생산자물가지수(PPI)는 전월비 0.3% 올랐을 것이라던 전망과 달리 0.1% 내린 것으로 나타났다. 이튿날인 11일 공개된 8월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시장 예상과 같은 전년동월비 2.9% 상승세로 확인됐다.
트럼프의 관세가 본격적으로 영향을 미치면서 인플레이션이 큰 폭으로 오를 것으로 전망됐지만 아직은 수출 업체들과 수입 업체들이 관세 부담을 흡수하면서 그 충격이 소비자 가격으로 직접 전달되는 비중이 작다는 점이 입증됐다.
필립 스웨이글 CBO 국장은 그러나 15일 CNBC에 출연해 트럼프 관세로 인해 미 인플레이션이 이미 자극받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CBO 이코노미스트들이 당초 예상했던 것보다 인플레이션이 더 높아지고 있다는 것이다.
트럼프 관세가 인플레이션을 결국 끌어올리기는 하겠지만 아직 현실화하지는 않았다고 평가하는 월스트리트 이코노미스트들과 다른 견해다.
스웨이글은 CBO 분석에 따르면 미 경제는 이미 1월부터 둔화되기 시작했고, 이 때문에 인플레이션이 아직 본격적으로 꿈틀대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소비, 고용 둔화로 인해 인플레이션이 잠잠한 것처럼 보이지만 물밑에서는 인플레이션이 서서히 끓어오르고 있다는 것이다.
스웨이글은 그렇지만 트럼프 관세가 미 재정적자 완화에는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했다.
그에 따르면 CBO는 관세 덕에 미 연방정부 재정적자가 앞으로 10년에 걸쳐 4조달러 감소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스웨이글은 관세로 3조3000억달러 세수가 확보되는 한편 그만큼 국채 발행을 피할 수 있어 당초 예상됐던 국채 이자 비용 7000억달러를 아끼면서 모두 4조달러 재정적자 감소 효과가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경제 둔화, 인플레이션을 별개로 하면 관세가 재정적자 감축에 미치는 영향은 상당하다고 평가했다.
다만 걸림돌은 있다.
대법원이 11월 초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이 월권인지를 따지는 소송 심리를 시작한다는 점이다. 앞서 하급심에서는 트럼프 관세가 대통령 권한을 벗어났다며 위헌 판결을 내린 바 있다.
스웨이글은 대법원의 관세 소송이 “미 경제의 주요 불확실성 가운데 하나”라고 지적했다.
다만 CBO의 최근 보고서에 따르면 이 불확실성 역시 시간이 지나면서 사라질 전망이다.
CBO는 “정책 불확실성 충격이 시간이 가면서 줄어들고, 2027년 말에는 완전히 사라질 것”이라면서 “무역정책 불확실성이 없었다면 이뤄졌을 투자도 회복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4일(현지시간) 뉴저지주 모리스타운에서 대통령 전용기를 타고 이동하기 앞서 기자들과 대화하고 있다. AP 연합 |
미국 의회예산국(CBO) 수장이 15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이 인플레이션(물가상승)을 끌어올릴 것이라고 경고했다.
시장이 인플레이션에 조금 안도하고 있는 가운데 이런 경고가 나왔다.
앞서 미 노동부가 지난 10일 발표한 8월 생산자물가지수(PPI)는 전월비 0.3% 올랐을 것이라던 전망과 달리 0.1% 내린 것으로 나타났다. 이튿날인 11일 공개된 8월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시장 예상과 같은 전년동월비 2.9% 상승세로 확인됐다.
트럼프의 관세가 본격적으로 영향을 미치면서 인플레이션이 큰 폭으로 오를 것으로 전망됐지만 아직은 수출 업체들과 수입 업체들이 관세 부담을 흡수하면서 그 충격이 소비자 가격으로 직접 전달되는 비중이 작다는 점이 입증됐다.
필립 스웨이글 CBO 국장은 그러나 15일 CNBC에 출연해 트럼프 관세로 인해 미 인플레이션이 이미 자극받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CBO 이코노미스트들이 당초 예상했던 것보다 인플레이션이 더 높아지고 있다는 것이다.
트럼프 관세가 인플레이션을 결국 끌어올리기는 하겠지만 아직 현실화하지는 않았다고 평가하는 월스트리트 이코노미스트들과 다른 견해다.
스웨이글은 CBO 분석에 따르면 미 경제는 이미 1월부터 둔화되기 시작했고, 이 때문에 인플레이션이 아직 본격적으로 꿈틀대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소비, 고용 둔화로 인해 인플레이션이 잠잠한 것처럼 보이지만 물밑에서는 인플레이션이 서서히 끓어오르고 있다는 것이다.
스웨이글은 그렇지만 트럼프 관세가 미 재정적자 완화에는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했다.
그에 따르면 CBO는 관세 덕에 미 연방정부 재정적자가 앞으로 10년에 걸쳐 4조달러 감소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스웨이글은 관세로 3조3000억달러 세수가 확보되는 한편 그만큼 국채 발행을 피할 수 있어 당초 예상됐던 국채 이자 비용 7000억달러를 아끼면서 모두 4조달러 재정적자 감소 효과가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경제 둔화, 인플레이션을 별개로 하면 관세가 재정적자 감축에 미치는 영향은 상당하다고 평가했다.
다만 걸림돌은 있다.
대법원이 11월 초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이 월권인지를 따지는 소송 심리를 시작한다는 점이다. 앞서 하급심에서는 트럼프 관세가 대통령 권한을 벗어났다며 위헌 판결을 내린 바 있다.
스웨이글은 대법원의 관세 소송이 “미 경제의 주요 불확실성 가운데 하나”라고 지적했다.
다만 CBO의 최근 보고서에 따르면 이 불확실성 역시 시간이 지나면서 사라질 전망이다.
CBO는 “정책 불확실성 충격이 시간이 가면서 줄어들고, 2027년 말에는 완전히 사라질 것”이라면서 “무역정책 불확실성이 없었다면 이뤄졌을 투자도 회복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시각 주요뉴스
이시각 포토뉴스


- 한줄 의견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