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리 지금 뭐 보고 있어"..."그러는 과장님은요"
파이낸셜뉴스 | 2025-07-11 05:01:03
파이낸셜뉴스 | 2025-07-11 05:01:03
직장인 2명중 1명 이직활동...3분의 1은 실제 이직
성공 요인은 ‘직무경험’, 실패 이유는 ‘공고 부족’
[파이낸셜뉴스] 올해 상반기 직장인 2명 중 1명은 이직 활동에 나섰고, 이 중 3분의 1은 실제 이직에 성공한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커리어 플랫폼 사람인이 직장인 1302명을 대상으로 ‘상반기 이직 현황’을 설문한 결과 전체 응답자의 50.2%가 '이직 활동을 했다'고 밝혔다.
직급별로는 대리(56.2%), 과장(51.8%), 사원(51.4%) 순으로 이직 활동 비중이 높았다. 부장(48.1%)과 임원(34.7%)은 다소 낮았다. 기업 형태별로는 대기업(61.6%)과 외국계기업(54.8%) 재직자들이 상대적으로 활발한 이직 활동을 벌였다. 반면 중견기업(47.3%), 중소기업(49.6%) 재직자들은 이보다 낮은 수치를 보였다.
이직 활동 유형으로는 ‘채용공고 탐색’(80%, 복수응답)이 가장 많았다. 이어 ‘이력서·자기소개서·포트폴리오 작성’(65%), ‘면접 준비’(33.6%), ‘자격증 준비’(21.7%) 등이 뒤를 이었다.
이직에 성공한 직장인은 전체 응답자의 28%였다. 이들의 평균 이직 준비 기간은 5.6개월로 집계됐다. 이직 성공자 가운데 42.6%는 '기존보다 더 나은 근무 조건의 회사로 옮겼다'고 응답했다. 조건이 비슷하다는 응답은 33.9%, 오히려 조건이 낮아졌다는 응답은 23.5%였다.
성공 요인으로는 ‘적합한 직무 경험 보유’(74.3%)가 압도적이었다. ‘적극적인 구직 의사 홍보’(24.6%), ‘성실한 이력서 관리’(24.6%), ‘면접 준비’(16.9%) 등이 뒤를 이었다.
이직에 실패한 직장인(471명)은 가장 큰 원인으로 ‘지원할만한 공고 부족’(64.8%)을 꼽았다. 이외에도 ‘직무 경험 부족’(20.6%), ‘이력서·포트폴리오 소홀’(20%), ‘외국어 능력 부족’(15.3%) 등의 응답이 있었다.
사람인 관계자는 “직장인들은 경력을 기반으로 한 직무 역량과 평판이 평가의 중요한 기준이 되므로, 평소 근무에 최선을 다하는 한편 주기적으로 이력서와 포트폴리오를 정리하고 부족한 스킬은 별도로 보완해야 한다”며 “사람인 등 플랫폼에 이력서를 구직 상태로 공개하고, 주변에 구직 의사를 알리는 셀프 브랜딩도 효과적인 전략”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직장인들이 꼽은 기업 선택 기준은 ‘연봉 등 경제적 보상’(71.7%)이 가장 많았다. 이어 ‘고용 안정성’(53.1%), ‘정시 퇴근 등 워라밸’(43.7%), ‘직무 적합성’(39.7%), ‘복리후생’(34.5%) 순이었다. ‘성장 가능성’(33.8%), ‘조직문화’(28.9%), ‘상사·동료의 인성 및 역량’(28%)에 대한 고려도 적지 않았다.
성공 요인은 ‘직무경험’, 실패 이유는 ‘공고 부족’
![]() |
사람인이 직장인 1302명을 대상으로 올해 상반기 이직 활동 여부에 대해 물은 결과. 사람인 제공 |
[파이낸셜뉴스] 올해 상반기 직장인 2명 중 1명은 이직 활동에 나섰고, 이 중 3분의 1은 실제 이직에 성공한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커리어 플랫폼 사람인이 직장인 1302명을 대상으로 ‘상반기 이직 현황’을 설문한 결과 전체 응답자의 50.2%가 '이직 활동을 했다'고 밝혔다.
직급별로는 대리(56.2%), 과장(51.8%), 사원(51.4%) 순으로 이직 활동 비중이 높았다. 부장(48.1%)과 임원(34.7%)은 다소 낮았다. 기업 형태별로는 대기업(61.6%)과 외국계기업(54.8%) 재직자들이 상대적으로 활발한 이직 활동을 벌였다. 반면 중견기업(47.3%), 중소기업(49.6%) 재직자들은 이보다 낮은 수치를 보였다.
이직 활동 유형으로는 ‘채용공고 탐색’(80%, 복수응답)이 가장 많았다. 이어 ‘이력서·자기소개서·포트폴리오 작성’(65%), ‘면접 준비’(33.6%), ‘자격증 준비’(21.7%) 등이 뒤를 이었다.
이직에 성공한 직장인은 전체 응답자의 28%였다. 이들의 평균 이직 준비 기간은 5.6개월로 집계됐다. 이직 성공자 가운데 42.6%는 '기존보다 더 나은 근무 조건의 회사로 옮겼다'고 응답했다. 조건이 비슷하다는 응답은 33.9%, 오히려 조건이 낮아졌다는 응답은 23.5%였다.
성공 요인으로는 ‘적합한 직무 경험 보유’(74.3%)가 압도적이었다. ‘적극적인 구직 의사 홍보’(24.6%), ‘성실한 이력서 관리’(24.6%), ‘면접 준비’(16.9%) 등이 뒤를 이었다.
이직에 실패한 직장인(471명)은 가장 큰 원인으로 ‘지원할만한 공고 부족’(64.8%)을 꼽았다. 이외에도 ‘직무 경험 부족’(20.6%), ‘이력서·포트폴리오 소홀’(20%), ‘외국어 능력 부족’(15.3%) 등의 응답이 있었다.
사람인 관계자는 “직장인들은 경력을 기반으로 한 직무 역량과 평판이 평가의 중요한 기준이 되므로, 평소 근무에 최선을 다하는 한편 주기적으로 이력서와 포트폴리오를 정리하고 부족한 스킬은 별도로 보완해야 한다”며 “사람인 등 플랫폼에 이력서를 구직 상태로 공개하고, 주변에 구직 의사를 알리는 셀프 브랜딩도 효과적인 전략”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직장인들이 꼽은 기업 선택 기준은 ‘연봉 등 경제적 보상’(71.7%)이 가장 많았다. 이어 ‘고용 안정성’(53.1%), ‘정시 퇴근 등 워라밸’(43.7%), ‘직무 적합성’(39.7%), ‘복리후생’(34.5%) 순이었다. ‘성장 가능성’(33.8%), ‘조직문화’(28.9%), ‘상사·동료의 인성 및 역량’(28%)에 대한 고려도 적지 않았다.
이시각 주요뉴스
이시각 포토뉴스


- 한줄 의견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