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정비사업, 수의계약 "탈피 시도" 본격화
프라임경제 | 2025-09-15 11:35:42
프라임경제 | 2025-09-15 11:35:42

[프라임경제] 서울 일부 정비사업 조합들이 시공사 선정 방식에서 '수의계약'을 벗어나 경쟁 입찰을 유도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15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국토교통부 시공능력평가 기준 10대 건설사의 올해 1~8월 도시정비사업 신규 수주액은 총 31조6833억원으로, 이미 지난해 연간 수주액(27조6695억원)을 넘어섰다.
2023년에도 수주액이 20조1796억원에서 7조원 이상 증가했으며, 올해 역시 연말까지 시공사 선정이 예정된 사업장이 다수 남아 있는 만큼, 수주 규모는 더욱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이러한 활황 속에서도 대형 건설사들은 무분별한 참여보다는 선별 수주에 집중하는 흐름이다. 고급화 요구, 안전 기준 강화 등으로 인한 공사비 상승 부담이 커진 데 따른 것이다.
특히 정부가 건설현장의 사망사고 근절을 위한 정책과 제재를 강화하면서, 현장 안전관리 수준도 함께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안전 확보를 위한 추가 비용 지출이 불가피하다는 인식이 업계 전반에 확산되고 있으며, 이는 건설사들의 보수적인 수주 전략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일부 서울 정비사업 조합들은 시공사 선정 방식을 기존의 수의계약에서 경쟁 입찰 방식으로 전환하려는 시도를 하고 있다. 건설사 간 경쟁을 통해 보다 유리한 조건을 이끌어내고, 조합원에게 실질적인 이익을 돌려주기 위한 움직임이다.
실제 현행 도시정비법상 시공사 선정 과정에서 두 차례 연속 단독 입찰이 이뤄질 경우, 조합은 해당 건설사와 수의계약을 체결할 수 있다. 이 경우 조합원은 찬반 투표만 가능해 실질적인 조건 비교가 어렵다. 반면, 복수 건설사가 참여하는 경쟁 입찰 방식에선 설계안과 금융 조건 등에서 제안 경쟁이 가능해 조합원 선택 폭이 넓어진다.
◆재건축 수주전, 경쟁 구도 '불발'…조합, 입찰 재공고로 방향 선회
우선 서울 강남구 개포우성4차 재건축조합은 이달 예정된 시공사 선정 입찰을 연기하고 재공고를 준비 중이다. 1985년 준공된 이 단지는 총 6498억원 규모로, 최고 49층·1080가구 재건축이 추진되고 있다.
당초 삼성물산(028260), 포스코이앤씨, 롯데건설 간 경쟁이 예상됐으나, 현장 설명회에 삼성물산이 불참하고, 포스코이앤씨도 안전사고 여파로 참여가 불투명해지면서 조합은 입찰 무산 가능성을 우려한 것으로 보인다. 최근에는 일정 문제로 참여를 보류했던 현대건설(000720)과 GS건설(006360)이 최근 다시 관심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압구정 아파트지구 특별계획2구역(압구정2구역) 조합 역시 입찰 경쟁이 무산된 데 대해 강한 아쉬움을 드러내고 있다. 해당 사업은 1982년 준공된 신현대아파트(9·11·12차) 1942가구를 2571가구로 재건축하는 대형 프로젝트로, 당초 삼성물산과 현대건설의 맞대결이 예상됐다.
양사는 수주전 분위기를 고조시키며 홍보전을 벌였으나, 입찰 공고 직후 삼성물산이 참여하지 않겠다는 의사를 밝히면서 현대건설이 단독 입찰로 우선협상대상자에 선정됐다. 삼성물산은 일부 입찰 조건 완화를 요청했지만, 조합이 이를 수용하지 않으면서 결국 참여를 철회한 것으로 알려졌다.
성수1지구 조합도 비슷한 상황을 겪었다. 기존 입찰공고를 철회하고 재입찰을 준비하고 있는데, 이는 일부 입찰 지침이 건설사의 참여를 가로막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기 때문이다.
현대건설, GS건설, HDC현대산업개발(294870) 등이 유력한 참여 후보로 거론됐지만, 입찰 조건 중 경쟁력 있는 제안을 금지한 부분에 대해 일부 건설사가 반발했고, 조합은 이를 반영해 입찰 조건을 수정하고 재공고에 나서기로 했다.
일각에선 조합이 무리하게 수주 경쟁을 유도할 경우 오히려 사업 일정이 지연되거나 내부 갈등 등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입찰 조건을 반복적으로 조정하거나 공고를 재차 내는 과정에서 사업 추진력이 떨어지고, 조합원 간 의견 충돌로 이어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지적이다.
정비업계 관계자는 "특정 건설사의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입찰공고를 다시 낸 사례가 있지만, 결국 수주 경쟁이 성사되지 않아 사업 일정만 늦어진 경우도 있다"며 "지나친 기대감보다는 현실적인 전략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시각 주요뉴스
이시각 포토뉴스


- 한줄 의견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