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민석 총리 “한미 관세협상 대선 때 끝냈다면 수렁에 빠졌을 것”
파이낸셜뉴스 | 2025-10-23 20:11:04
파이낸셜뉴스 | 2025-10-23 20:11:04
합의문 도출 막판까지 예측어려워
[파이낸셜뉴스]
김민석 국무총리는 23일 한미 관세협상과 관련해 “초반에 간극이 컸던 쟁점들이 상당히 좁혀진 것은 분명하다”며 협상 진전을 평가하면서도 “막판까지 예측은 어렵다”고 신중한 입장을 밝혔다.
김 총리는 이날 오후 경주에서 출입기자단과 만나 “지난 대선 시기에 한미 관세협상을 끝내려 했다면 새 정부는 걷잡을 수 없을 정도의 깊은 수렁에 빠졌을 것”이라며 “한덕수 전 국무총리가 지난 정부 막판에 그러려고 했다”고 말했다.
그는 이번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기간 한미 간 관세협상 타결 가능성과 관련해 “협상 초기엔 간극이 컸지만 지금은 많이 좁혀졌다”며 “다만 APEC 시점까지 합의문이 완성될지는 아직 알 수 없다”고 했다.
이재명 대통령이 “시간이 걸릴 것”이라고 밝힌 데 대해선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이 말한 ‘막바지 단계’와 같은 의미”라며 “협상은 진척됐지만 막판은 늘 변수”라고 설명했다.
김 총리는 “미국 측 최초 요구는 우리가 감당하기 쉽지 않은 수준이었다”며 “그 점에 대해 여야를 막론하고 공감대가 있다. 협상은 쉬운 모험이 아니었다”고 평가했다. 이어 “정부가 감당 가능한 방향으로 협상을 끌고 가고 있다”며 “결과가 말해줄 것”이라고 말했다.
김 총리는 APEC 정상회의 준비 상황에 대해서도 “큰 틀에서 공사나 인프라 준비는 다 끝났다”며 “새로 지은 건물의 냄새를 빼는 것까지 고려할 정도로 디테일을 챙기는 단계”라고 말했다.
‘준비가 몇 퍼센트냐’는 질문에는 “마지막 남은 1%는 하늘이 도와주실 것”이라고 답했다.
그는 “처음엔 경주 개최를 걱정했지만 지금은 잘한 선택이라 확신한다”며 “역사 콘텐츠와 인프라가 결합된 도시로, 세계 정상들을 맞기 충분하다”고 평가했다.
김 총리는 또 “APEC 이후엔 서울뿐 아니라 지방으로 문화·관광이 확산되도록 전략을 짜고 있다”며 “서울에서 경주로 이어지듯 K관광이 지역으로 퍼지는 계기로 만들겠다”고 밝혔다.
이어 “회의실에 앉아 보고받는 행정에서 벗어나 국민 목소리를 직접 듣고 정책으로 연결하겠다”며 “내각 전체가 현장 행보를 강화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파이낸셜뉴스]
![]() |
김민석 국무총리가 23일 APEC 2025 정상회의 만찬장이 마련된 라한셀렉트 경주 조리실에서 오유경 식품의약품안전처장과 함께 현장을 점검하고 있다. 뉴스1 |
김민석 국무총리는 23일 한미 관세협상과 관련해 “초반에 간극이 컸던 쟁점들이 상당히 좁혀진 것은 분명하다”며 협상 진전을 평가하면서도 “막판까지 예측은 어렵다”고 신중한 입장을 밝혔다.
김 총리는 이날 오후 경주에서 출입기자단과 만나 “지난 대선 시기에 한미 관세협상을 끝내려 했다면 새 정부는 걷잡을 수 없을 정도의 깊은 수렁에 빠졌을 것”이라며 “한덕수 전 국무총리가 지난 정부 막판에 그러려고 했다”고 말했다.
그는 이번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기간 한미 간 관세협상 타결 가능성과 관련해 “협상 초기엔 간극이 컸지만 지금은 많이 좁혀졌다”며 “다만 APEC 시점까지 합의문이 완성될지는 아직 알 수 없다”고 했다.
이재명 대통령이 “시간이 걸릴 것”이라고 밝힌 데 대해선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이 말한 ‘막바지 단계’와 같은 의미”라며 “협상은 진척됐지만 막판은 늘 변수”라고 설명했다.
김 총리는 “미국 측 최초 요구는 우리가 감당하기 쉽지 않은 수준이었다”며 “그 점에 대해 여야를 막론하고 공감대가 있다. 협상은 쉬운 모험이 아니었다”고 평가했다. 이어 “정부가 감당 가능한 방향으로 협상을 끌고 가고 있다”며 “결과가 말해줄 것”이라고 말했다.
김 총리는 APEC 정상회의 준비 상황에 대해서도 “큰 틀에서 공사나 인프라 준비는 다 끝났다”며 “새로 지은 건물의 냄새를 빼는 것까지 고려할 정도로 디테일을 챙기는 단계”라고 말했다.
‘준비가 몇 퍼센트냐’는 질문에는 “마지막 남은 1%는 하늘이 도와주실 것”이라고 답했다.
그는 “처음엔 경주 개최를 걱정했지만 지금은 잘한 선택이라 확신한다”며 “역사 콘텐츠와 인프라가 결합된 도시로, 세계 정상들을 맞기 충분하다”고 평가했다.
김 총리는 또 “APEC 이후엔 서울뿐 아니라 지방으로 문화·관광이 확산되도록 전략을 짜고 있다”며 “서울에서 경주로 이어지듯 K관광이 지역으로 퍼지는 계기로 만들겠다”고 밝혔다.
이어 “회의실에 앉아 보고받는 행정에서 벗어나 국민 목소리를 직접 듣고 정책으로 연결하겠다”며 “내각 전체가 현장 행보를 강화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시각 주요뉴스
이시각 포토뉴스


- 한줄 의견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