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워치 | 2025-09-13 10:30:03
[비즈니스워치] 김민지 기자 kmj@bizwatch.co.kr
최근 일상에서 건강을 위해 부담없이 운동을 즐기는 생활체육인들이 크게 늘었습니다. 걷기나 트래킹, 풋살, 축구 등 동호회도 많고요. 생활체육인들을 위한 대회를 여는 지자체도 쉽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건강하려고 하는 운동인데, 안전을 위해 준비 운동을 충분히 해도 갑작스러운 사고를 피하기 어려울 때가 있죠.
이를 대비하기 위한 공제 상품이 있는데요. 스포츠안전재단의 '생활체육인상해공제' 입니다. 생활체육 활동을 규칙적으로 또는 비정기적으로 하는 이들이 상해 위험을 대비할 수 있는 제도입니다.

생활체육인이면 '누구나'…이틀 짜리도 있어요
가입 대상은 생활체육을 하는 동호회·단체 회원 등 일반 국민이에요. '전문 엘리트 체육인'이 아닌 생활체육인이어야 가입할 수 있고요. 여러 종목에서 생활체육활동을 하는 생활체육인도 포함됩니다.
가입 기간은 선택 개시일로부터 2·3·5·7일·1년 중 선택할 수 있어요. 인수심사가 없는 상품으로 과거력, 만성질환자도 동일한 금액으로 가입할 수 있습니다. 150여종이 넘는 스포츠종목이 가입 가능하고, 종목 유형은 종목의 위험도를 기준 5개 등급(A·B1·B2·B3·C)으로 분류합니다.
비교적 위험도가 낮은 이스포츠(E-sports)나 게이트볼 등은 A등급이에요. 레슬링이나 모터스포츠, 스쿠버다이빙 등은 위험도가 비교적 높은 것으로 분류돼 C등급입니다. 흔히 즐기는 트래킹, 풋살, 주짓수, 실내수영은 B1등급이고, 축구의 경우 B2등급으로 분류돼요. 자신이 즐기는 운동의 등급은 공제 가입 시 종목을 검색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수영은 1년 1만6500원, 레슬링은 4만2800원
담보를 살펴 볼까요? 15세 이상은 △상해사망후유장해 △입·통원일당 △골절수술비 △골절치료비 △돌연사 △배상책임 △(휴일)교통상해사망후유장해 등 담보에 가입할 수 있습니다. 15세 이하는 돌연사가 제외되고 (휴일)교통상해사망후유장해대신 교통사고후유장애가 보장됩니다.
공제는 기본형과 고급형이 나뉘는데요. 이는 보장 금액의 차이입니다. 기본형과 고급형은 보장금액이 2배 차이납니다. 담보 중 상해사망후유장애만 보장금액이 종목등급마다 다르고요. 그 외 담보들은 모두 동일해요.
B1~B3등급을 보면 상해사망후유장해는 보장금액이 기본형 3000만원, 고급형 6000만원입니다. 그 외에는(기본형) △입원일당 2만원·통원일당 1만원(4일 이상 30일 한도) △골절수술비 30만원 △골절치료비(진단비) 10만원 △돌연사 1000만원 △배상책임 100만원(자기부담금 5만원)이 보장됩니다. 고급형은 이의 2배 금액이 보장되고요.
위험도가 높은 종목일수록 공제회비가 비싸고, 위험도가 낮은 종목은 저렴합니다.
B1~B3등급(기본형)은 2일 850원으로 보장받을 수 있습니다. 1년에는 1만6500원만 내면 보장되고요. 같은 등급의 고급형은 공제회비가 2일 1250원, 1년 3만9500원입니다. C등급(기본형)은 공제회비가 2일 2900원, 1년 4만2800원입니다.
중복 보상 가능…동호회 여러 개라면 각각 가입
생활체육인상해공제의 장점은 개인상해보험이 있을 시에도 중복 보상이 된다는 점이에요. 다만 피공제자가 다른 사람을 다치게 하거나, 물건을 파손했을 때의 배상책임은 중복 보상에서 제외됩니다.
예를 들어 공제 기본형에 가입한 생활체육인이 골절진단을 받아 골절수술비가 60만원이 나왔다고 할게요. 이 생활체육인은 개인건강보험에서 골절수술비를 20만원 보장받고 있고요. 이 경우 개인보험의 골절수술비 20만원과 공제 골절수술비 30만원을 모두 보상받을 수 있다는 이야깁니다.
주의해야 할 점도 있어요. 피공제자가 생활스포츠활동을 하기 위해 자택에서 이동하는 경로 중 부상은 보장되지 않습니다. 다만 시·군·구 단위 이상 공식대회에 참가하는 경우는 자택과 대회 장소 경로 상 왕복은 보장돼요.
그렇다면 동호회가 여러 개일 경우 동호회마다 가입을 해야 할까요? 앞서 설명했듯 종목마다 위험도가 다르기 때문에 각각의 종목에 맞춰 가입을 해야 합니다.
이처럼 생활체육인상해공제는 생활 속에서 즐기는 운동에 예기치 못한 위험이 따를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 마련된 제도입니다. 종목별 등급, 보장 범위, 보상 제외 항목 등을 충분히 확인하고 본인의 활동 형태에 맞게 가입한다면 더 안전하게 운동을 즐길 수 있겠죠?
ⓒ비즈니스워치(www.bizwatch.co.kr) -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한줄 의견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