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데 아이폰이 왜 이렇게 많아요"···이재용의 그 말, 사실이었다
파이낸셜뉴스 | 2025-11-04 07:41:03
                
	
	파이낸셜뉴스 | 2025-11-04 07:41:03
		지난 7월 한국갤럽 '스마트폰 이용자 조사', 아이폰 점유율 상승
      
[파이낸셜뉴스] 지난달 30일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은 '아이폰'을 견제하는 농담을 여러 차례 했다.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과의 치킨집 '깐부' 회동에선 옆자리 손님이 아이폰을 내밀며 셀카 촬영을 요청하자 웃으며 “갤럭시 가져오셔야죠”라고 말했다.
치킨집 회동 직후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엔비디아 그래픽카드인 지포스 한국 출시 25주년 기념행사에 깜짝 등장했을 때도 '아이폰' 이야기를 꺼냈다.
젠슨 황 CEO의 소개로 무대에 올라 인사하던 이 회장은 관중석을 향해 "왜 이렇게 아이폰이 많냐"고 농담을 던졌다. 현장에선 폭소가 터졌지만, 이 회장에겐 뼈아픈 농담이었다.
실제 지난 7월 한국갤럽의 국내 스마트폰 이용자 조사를 보면 10·20대(18~29세) 스마트폰 점유율은 아이폰이 60%, 갤럭시는 40%였다.
40대의 경우 지난해 갤럽 조사에서 아이폰 사용률이 19%에 그치는 게 올해 31%로 수직 상승하며 갤럭시 사용률은 떨어졌다. 30대는 갤럭시 53%에 아이폰 43%로 차이를 좁히고 있다.
50대와 60대, 70대 이상 등 장년층 이상의 갤럭시 사용률이 높을 뿐이었다.
그러면서 갤럭시를 쓰면 '아저씨'라는 이미지가 고착화됐다. 과거 가수 성시경은 본인의 유튜브에서 갤럭시 스마트폰을 사용하다 겪은 일화를 전하면서 "얼마 전 어린 여자애를 만났는데 '갤레기 써요?'라고 하더라. 어린애들은 당연히 아이폰이어야 하는 그런 인식이 있는 것 같다"고 말하기도 했다.
이에 삼성전자는 ‘갤럭시S25’와 얇은 두께가 특징인 ‘갤럭시Z 폴드7’ 등 인기작을 앞세워 젊은 층을 갤럭시로 유입시키려는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다.
신제품 인기로 최근 3분기 실적 발표에서 스마트폰 사업부의 매출과 영업이익도 전년 대비 각각 12%, 28% 올랐다.
다만 경쟁사들의 공세도 만만치 않다. 애플은 신제품 ‘아이폰17’ 시리즈의 흥행에 이어 내년엔 폴더블 신제품까지 내놓을 예정이다.
샤오미도 국내 점유율은 위협적이지 않지만, 세계 시장에선 삼성, 애플에 이은 3위로 시장에서 영향력을 확장하고 있다.
	
          
![]()  |   
|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오른쪽)이 지난달 30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엔비디아 그래픽카드인 지포스 한국 출시 25주년 기념행사에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과 무대에 올랐다./사진=연합뉴스 | 
[파이낸셜뉴스] 지난달 30일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은 '아이폰'을 견제하는 농담을 여러 차례 했다.
 셀카 찍을 때도 "갤럭시 가져오셔야죠" 뼈있는 농담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과의 치킨집 '깐부' 회동에선 옆자리 손님이 아이폰을 내밀며 셀카 촬영을 요청하자 웃으며 “갤럭시 가져오셔야죠”라고 말했다.
치킨집 회동 직후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엔비디아 그래픽카드인 지포스 한국 출시 25주년 기념행사에 깜짝 등장했을 때도 '아이폰' 이야기를 꺼냈다.
젠슨 황 CEO의 소개로 무대에 올라 인사하던 이 회장은 관중석을 향해 "왜 이렇게 아이폰이 많냐"고 농담을 던졌다. 현장에선 폭소가 터졌지만, 이 회장에겐 뼈아픈 농담이었다.
 1020세대 60%가 아이폰 이용자.. 삼성, 갤폴드7로 반격
실제 지난 7월 한국갤럽의 국내 스마트폰 이용자 조사를 보면 10·20대(18~29세) 스마트폰 점유율은 아이폰이 60%, 갤럭시는 40%였다.
40대의 경우 지난해 갤럽 조사에서 아이폰 사용률이 19%에 그치는 게 올해 31%로 수직 상승하며 갤럭시 사용률은 떨어졌다. 30대는 갤럭시 53%에 아이폰 43%로 차이를 좁히고 있다.
50대와 60대, 70대 이상 등 장년층 이상의 갤럭시 사용률이 높을 뿐이었다.
그러면서 갤럭시를 쓰면 '아저씨'라는 이미지가 고착화됐다. 과거 가수 성시경은 본인의 유튜브에서 갤럭시 스마트폰을 사용하다 겪은 일화를 전하면서 "얼마 전 어린 여자애를 만났는데 '갤레기 써요?'라고 하더라. 어린애들은 당연히 아이폰이어야 하는 그런 인식이 있는 것 같다"고 말하기도 했다.
이에 삼성전자는 ‘갤럭시S25’와 얇은 두께가 특징인 ‘갤럭시Z 폴드7’ 등 인기작을 앞세워 젊은 층을 갤럭시로 유입시키려는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다.
신제품 인기로 최근 3분기 실적 발표에서 스마트폰 사업부의 매출과 영업이익도 전년 대비 각각 12%, 28% 올랐다.
다만 경쟁사들의 공세도 만만치 않다. 애플은 신제품 ‘아이폰17’ 시리즈의 흥행에 이어 내년엔 폴더블 신제품까지 내놓을 예정이다.
샤오미도 국내 점유율은 위협적이지 않지만, 세계 시장에선 삼성, 애플에 이은 3위로 시장에서 영향력을 확장하고 있다.
이시각 주요뉴스
이시각 포토뉴스
	
	- 한줄 의견이 없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