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워치 | 2025-11-17 16:48:03
[비즈니스워치] 김희정 기자 khj@bizwatch.co.kr
이찬진 금융감독원장이 이끄는 금감원이 또 다시 술렁이고 있다. 임원 인사 전면 재검토가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이 원장이 내부에 공공기관 재지정 가능성 한국은행과의 인력 교환 검토 등을 언급한 것으로 알려지면서다.
일부에서는 이 원장이 대규모 조직 운영 경험이 부족해 불필요한 혼선을 키우고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17일 금융당국에 따르면 최근 이 원장은 저연차 직원들과의 자리에서 "금융위가 금감원 공공기관 재지정에 찬성하는 쪽으로 입장을 바꾼 것으로 알고 있다", "금감원과 한은의 인력 교환을 검토 중"이라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기관 운영의 근간을 흔들 수 있는 핵폭탄급 내용들이 내부에 돌면서 동요가 커진 상황이다.
지난 9월 정부와 여당은 금융위원회 해체와 금감원의 소비자보호 기능 분리를 골자로 한 금융감독 체계 개편을 추진하다 돌연 철회했다. 다만 이는 공공기관 재지정 문제와는 별개의 사안이다.
금감원이 공공기관으로 다시 분류될지 여부는 매년 1월 기획재정부 산하 공공기관운영위원회(공운위)가 판단한다. 이런 상황에서 이 원장이 이 문제를 꺼내면서 금감원이 관련 논의를 사실상 피하기 어려운 국면에 들어섰다는 내부 해석이 나오고 있다.
특히 한은과의 인력 교류가 단순 파견이 아니라 소속 자체를 맞바꾸는 방식이라는 점에서 혼란이 더욱 가중되고 있다. 전례가 없는 일이어서다. 앞서 한은은 감독체계 개편 논의 당시 금융당국의 핵심 권한인 금융사 단독 검사권을 요구한 바 있다. 감독 권한을 둘러싼 양 기관의 미묘한 힘겨루기 속에서 결코 가볍게 볼 수 없는 발언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이 원장이 제시한 첫 임원 인사안이 대통령실에서 '조직 쇄신 필요'를 이유로 반려됐다는 얘기도 퍼지고 있다. 대통령실이 돌려보낸 인사 구상에는 이세훈 수석부원장을 포함한 일부 부원장 유임과 임원 잔여 임기 보장 등이 담긴 것으로 알려졌다. 현직 임원들은 이미 사표를 제출한 상태다.
금감원 고위직 인사는 대통령실 보고와 검증 절차를 거쳐야 하는데 통상 한 달 안팎이 소요된다. 이런 점을 고려하면 이달 내 발표는 현실적으로 쉽지 않다는 분위기가 팽배하다. 고위직 인사가 늦어질 경우 국장급과 일반 직원으로 이어지는 후속 인사도 밀려 전반적인 인사 일정이 내년으로 넘어갈 가능성도 제기된다.
직원들 사이에서 불만이 커지는 배경에는 인사 적체가 꼽힌다. 금감원은 임직원 수가 2000명이 넘어 국장 승진조차 한 번 못해보고 퇴직하는 사례가 적지 않다. 고위직 인사가 정리돼야 아래 직급 승진이 열리는 구조여서 상층부 인사가 지연될수록 조직 전체가 정체되는 결과를 낳는다.
이런 상황이 겹치면서 조직 내에선 이 원장의 리더십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대규모 조직 운영 경험이 전무해 조직 운영에서 한계를 노출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비즈니스워치(www.bizwatch.co.kr) -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한줄 의견이 없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