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실시간 속보창 보기
  • 검색 전체 종목 검색

뉴스속보

금융당국, 롯데카드 해킹 사태에 "최대 수준 엄정 제재 방침"
한국경제 | 2025-09-18 16:14:21
금융당국이 롯데카드 해킹 사태와 관련해 "금융감독원 검사를 통해 위규사
항을 낱낱이 파악해 엄정한 조치를 취할 예정"이라며 "허술한 개인정
보·정보보안 관리 사항에 대해서는 최대 수준의 엄정한 제재가 이뤄지도
록 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금융위원회·금융감독원은 18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조좌진 롯데카드 대표
등과 함께 긴급대책회의를 열고 "현재 사태 전반에 대한 면밀한 검사가
진행 중에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롯데카드는 이날 정보가 유출된 회원 규모는 297만명이라고 밝혔다. 유출된 정
보 용량은 200기가바이트(GB)로, 연계 정보(CI)와 주민등록번호, CVC, 가상 결
제코드, 내부식별번호, 간편결제 서비스 종류 등이 유출된 것으로 확인됐다.


고객 269만명은 CI와 가상결제코드가 유출된 것으로 파악됐다. 다만 이 정보로
는 카드 부정 사용이 불가능하다는 게 회사 측의 설명이다. 나머지 28만명의 유
출된 정보로는 특수 결제 방식을 통해 부정 사용 가능성이 있다. 다만 현재까지
부정 사용 사례는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금융당국과 롯데카드는 정보유출 가능성이 높은 고객군에 대해 추가 본인인증
등을 통해 2차 피해를 차단하기로 했다. 또 침해사고로 인한 부정사용 발생 시
전액을 보상하고 비밀번호 변경과 해외결제 차단, 카드 재발급 등을 지원하기
로 했다.


금융당국은 재발 방지를 위해 금융권 보안관리 태세 긴급점검과 전산보안 관련
근본적 제도 개선에 착수하기로 했다. 이 과정에서 위규사항이 발견되면 즉시
보완을 요구하고 제재 조치에 돌입할 방침이다.


금융당국은 "금융사의 사전적 경각심 강화와 사후적 일벌백계 차원에서 중
대한 보안사고 발생시 일반적 과징금 수준을 뛰어넘는 징벌적 과징금을 도입하
겠다"며 "금융사가 정부의 보완수준 개선요구를 제대로 이행하지 않
은 경우 지속적인 이행강제금을 부과하는 등 금융보안 관련 긴장감 있는 관리가
이뤄지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권대영 금융위 부위원장은 "전 금융사 최고경영자가 보안을 소비자 보호와
금융 신뢰성을 지키기 위한 가장 기본적으로 핵심적인 책무라는 확고한 인식을
가져야 한다"며 "보안투자를 비용으로 가외업무로 인식하는 안이한
태도가 심각한 사태를 초래할 수 있는 만큼 최고경영자 책임 하에 전산 시스템
및 정보보호체계 전반을 전면 점검해달라"고 말했다.


노정동 한경닷컴 기자 dong2@hankyung.com



ⓒ 한국경제 & hankyung.
com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01571H20250918.161407S;1;20250918;161426
1010;0000;0000;0000
0000;0000
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
인천글로벌캠퍼스, 산학협력 활성화 포럼 개최
#####
인천글로벌캠퍼스운영재단(IGC)은 9월 18~19일 서울 양재동 엘타워에서 'I
GC 산학연 협력 활성화 포럼'을 개최한다고 18일 밝혔다.


이번 포럼은 산업통상자원부와 인천경제자유구역청이 주최하고, IGC 운영재단과
한국산업기술기획평가원(이하 KEIT) 국제협력본부가 공동 주관하는 행사다. I
GC 소속 6개 연구기관이 제안한 국제공동 활성화 기획연구 과제를 중심으로 산
·학·연 협력 방안을 논의한다.


행사 내용은 △AI 대전환 시대에 대응한 산업정책 및 국제협력 방향 공유 △IG
C 연구기관별 기획연구 과제 발표 △분야별 산학연 협력 포럼 등이다.


한국인공지능협회와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 전문가가 각각 'AI 정책과
우리나라 경쟁력 현황' 'AI 산업 국제협력 정책 방향”을 주제로
기조 발표를 진행한다.


IGC의 6개 연구기관은 △뉴로모픽 AI SoC 기반 바이오 의료기기(한국뉴욕주립대
) △해조류 기반 지속가능 섬유 플랫폼(겐트대 글로벌캠퍼스) △AI 스마트 시력
교정 렌즈 및 안경(유타대 아시아캠퍼스) △웨어러블 초음파 근기능 센서 패치
(한국조지메이슨대) △커넥티드카 사이버 보안(한국스탠포드센터) △AI-IoT 해
조류 양식 및 바이오리파이너리 시스템(마린유겐트코리아) 등이다.


박병근 IGC 운영재단 대표이사는 “이번 포럼은 해외 연구기관과 국내 산
학연이 보유한 기술을 연결하여 실질적 성과로 이어질 수 있는 공공 R&D 기반을
마련하는 중요한 계기”라고 말했다.


인천=강준완 기자



ⓒ 한국경제 & hankyung.
com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시각 주요뉴스
  • 한줄 의견이 없습니다.

한마디 쓰기현재 0 / 최대 1000byte (한글 500자, 영문 1000자)

등록

※ 광고, 음란성 게시물등 운영원칙에 위배되는 의견은 예고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