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워치 | 2025-10-28 11:24:03
[비즈니스워치] 김보라 기자 bora5775@bizwatch.co.kr

금융위원회·금융감독원·한국거래소로 구성된 '주가조작 근절 합동대응단(이하 합동대응단)'이 NH투자증권 임직원들의 미공개 정보 이용 혐의와 관련해 압수수색을 진행 중이다.
합동대응단은 NH투자증권이 공개매수 업무 관련 업계에서 독보적 지위를 유지해 온 만큼 이번 조사를 통해 내부통제 체계를 스스로 재점검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합동대응단은 28일 NH투자증권 모 임원이 11개 종목의 공개매수 정보를 일반에 공표하기 전 지인 등에게 전달, 20억원 상당의 부당이득을 편취한 혐의로 NH투자증권 본사 압수수색했다고 밝혔다. 압수수색 대상은 미공개 정보를 이용한 혐의를 받는 고위임원의 임원실 및 공개매수 관련 부서 등이다.
공개매수는 경영권 확보 목적 등으로 주식을 확보하기 위해 일정 기간 동안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증권시장 밖에서 주식을 매수하는 행위다. 통상 공개매수 가격은 시세(주가)보다 높게 책정되기 때문에 호재성 정보로 인식한다. 이에 따라 자본시장법은 공정한 시장 질서를 위해 호재성 정보를 일반투자자들에게 공표하기 전 주식매매에 이용하거나 타인에게 이용하는 행위를 금지하고 있다.
하지만 NH투자증권 기업금융(IB)관련 고위임원은 최근 2년여간 NH투자증권이 주관했던 11개 종목의 공개매수 관련 중요정보를 직장동료와 지인 등에 계속·반복적으로 전달했다. 해당 정보를 전달받은 이들은 공개매수 사실이 시장에 공표되기 전 해당 주식을 매수, 공표 후 주가가 오르면 전량 매도하는 방식으로 20억원 상당의 부당이익을 편취한 것으로 합동대응단은 파악했다.
합동대응단은 "매매분석 및 자금추척 내용에 따르면 공개매수 발표 전후 증권사 임원 측과 정보이용자들 간 주식매매 관련 자금으로 보이는 거액의 금전거래를 빈번하게 발견했다"며 "이들 간 부당이득을 공유한 것으로 의심되는 정황도 포착됐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정보를 전달받아 주식을 매매한 혐의자들은 친인척 등 명의의 차명 증권계좌를 다수 사용했고 사용한 차명 계좌도 수시로 바꿔가며 매매한 것으로 파악했다"며 "이러한 행위는 혐의자들이 증권사 내부 또는 금융당국의 감시망을 회피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번 NH투자증권 임직원의 공개매수 관련 미공개 정보 이용행위로 향후 금융감독당국의 공개매수 관련 불공정거래 대응은 더욱 엄정해질 것으로 보인다.
합동대응단은 "한국거래소가 발표한 2024년 불공정거래 통보 자료에 따르면 공개매수 관련 미공개 정보를 이용한 유형은 12건으로 전체 공매개수 건수(26건)의 절반 수준에 달한다"며 "NH투자증권은 공개매수 업무를 총괄하는 주관 증권사로서 독보적 지위를 차지하고 있어, 이번 조사를 계기로 내부통제를 스스로 재점검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짚었다. NH증권은 2023년부터 올해 상반기까지 공개매수 주관분야에서 약 51%(총 55건 중 28건 주관)의 점유율을 차지했다.
합동대응단은 "금융회사 및 상장기업 임직원 등 정보의 우위를 지닌 내부자가 자본시장의 공정성을 훼손하는 행위를 철저히 적발해 엄중한 형사처벌과 행정제재로 이어지도록 조치하겠다"며 "금융회사 및 사무대행사 관계자 등에 대한 점검·조사를 확대, 위법행위 적발 시 무관용 엄중 조치해 자본시장 업계의 미공개정보 이용 행태에 경종을 울리겠다"고 강조했다.
ⓒ비즈니스워치(www.bizwatch.co.kr) -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한줄 의견이 없습니다.























